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비
비교
대치
점검
대립
체크
확인
뉴스
"
대조
"(으)로 총 73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침을 든든히 먹으면 정말 살이 빠질까
2019.03.12
논문 열세 편을 대상으로 했다. 분석한 논문이 몇 편 안 되는 이유는 선정 기준인 ‘
대조
군을 포함한 제대로 된 연구’가 그만큼 적기 때문이다. 대부분은 ‘관찰 연구’라는 말이다. 어떤 집단을 조사했더니 비만율이 낮았는데 아침을 챙겨 먹는 비율은 높더라. 그러니 아침을 먹는 게 비만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완벽주의가 일을 망친다
2019.02.09
보였다.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면서 신경증이 조금씩 감소하고 걱정이 줄어드는 것과는
대조
되는 결과이다. 경험을 쌓아가면서 실패한다고 해서 삶이 끝나는 게 아니라고, 그렇게 애쓰지 않아도 된다고 자신의 부족함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평정심을 배워가는 사람들과 달리, 계속해서 자신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홍역은 어떻게 면역 기억상실을 일으킬까
2019.01.29
4~13세 어린이 확진 환자 23명을 대상으로 발진 전후에 혈액시료를 채취했다. 그 결과
대조
군(홍역에 걸리지 않은 또래)에 비해 적응면역에 관여하는 T세포와 B세포의 수가 크게 줄어 있음을 확인했다. 이들 세포의 표면에는 CD150이 고밀도로 분포해 있어 홍역 바이러스의 집중 공격을 받은 결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다이어트도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때
2019.01.02
위해 제한군에게 영양이 없는 성분을 많이 포함해 영양밀도를 희석한 먹이를 주고
대조
군처럼 아무 때나 마음껏 먹게 할 경우 칼로리제한 효과가 반감된다. 영양밀도가 낮은 음식을 시도 때도 없이 먹으면 설사 칼로리 섭취량이 30% 줄더라도 효과가 떨어진다는 말이다. 배고픈 다이어트를 하면서 ... ...
내 나이 8살, 비로소 산타 진실을 알게 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5
실수로 선물을 떨어뜨린 경우도 있었다. 한 응답자는 산타의 편지를 아버지와 필적과
대조
해 거짓임을 알게 됐다는 사례도 소개됐다. 부모님이 실수로 자신의 이름을 적은 선물을 받으면서 진실을 알게 된 사례도 있다. 학교도 산타에 대한 환상을 깨뜨린 '동심 파괴자' 역할을 하는 것으로 ... ...
[해 넘기는 라돈사태]요원한 제품수거, 처리방법 없어 손놓은 업체들(상)
2018.12.23
제공하는 자동차 리콜센터 홈페이지에서 현재 진행중인 리콜 현황을 볼 수 있는 것과
대조
된다. ● 업체 측도 발만 동동...“물품 수거해도 함부로 처리 못해” 홈케어가 수거 제품인 '에버조이 잠드림 메모리폼 베개'를 보관하고 있는 경기도 광주에 있는 홈케어 물류창고. - 광주=고재원 기자 ... ...
"모유 수유, 다이어트 효과는 사실" 678명 연구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18.12.18
끼치지 않도록 모유수유 자체에 대한 성향점수(Propensity Score)를 매겼다. 각 실험군과
대조
군이 가지고 있는 성향을 점수로 산출해 모유수유를 제외한 다른 특성들이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통계 방식이다. 연구진은 이 방법을 사용해 모유 수유를 한 여성과 그렇지 않은 여성 간이 차이를 ... ...
태아 뇌는 보헤미안 랩소디를 클래식으로 생각한다.과학으로 분석한 퀸 음악
2018.12.08
지 반백년이 다 되어가는 지금 들어도 주옥같은 퀸의 명곡들, 반면 화려한 명성과는
대조
되는 프레디 머큐리의 불안했던 삶에 많은 관객들이 빠져들고 있는데요. 팝의 역사에 한 획을 그은 락 밴드 퀸을 과학으로 만나보겠습니다. 프레디 머큐리. 위키피디아 프레디 머큐리의 노래가 감미로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세놀리틱은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을까
2018.11.28
죽을 때까지 격주로 ‘D+Q’를 투여했다. 그 결과 이들의 평균 잔여 수명은 191일로
대조
군의 140일보다 36%나 더 길었다. 채소와 과일 많이 먹어야 하는 이유 이 결과가 사람에서도 그대로 재현되리라는 보장은 없지만 연구자들은 그럴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다만 노화를 늦추겠다고 ... ...
면역세포 제기능 못하는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4
생쥐를 대상으로 조절 T세포에서 Id2 단백질 발현을 높였다. 그 결과, 흑색종의 크기가
대조
군에 비해 현저히 줄어든 것을 확인했다. 임 교수는 “Id2 단백질의 발현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조절 T세포가 상황에 맞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면 자가면역질환과 암 치료제 개발에 큰 도움이 될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