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도
감성
섬세
민감
뉴스
"
민감도
"(으)로 총 1,410건 검색되었습니다.
소리로 병 진단하고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14
소리를 이용해 병을 치료하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겐트대 제공 미국 과학자들이 소리로 우울증 증상의 정도를 알아내는 새로운 진단 방법을 개발했다. 캐럴 에스피윌슨 미국 메릴랜드대 전기 및 컴퓨터공학부 교수는 이달 8일(현지시간) 온라인으로 열린 미국음향학회에서 우울증에 걸 ... ...
[팩트체크]백신 맞고 하루이틀이면 술 마셔도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6.10
게티이미지뱅크 국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백신을 한 번 이상 맞은 사람이 1000만을 넘어섰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은 이날 오전 11시 기준 1006만705명이 백신 1차 접종을 마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전체 인구(지난해 12월 기준 5134만9116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근시와 보랏빛
2021.06.08
근시의 증가는 동아시아 젊은이들에게 특히 많이 보인다. 지나친 실내생활로 햇빛을 충분히 받지 못한 것이 주요한 요인으로 밝혀진 바 있다. 픽사베이 제공 최근 책을 읽다가 뜻밖의 사실을 알았다. 노인들에게 살아오면서 후회하는 일이 무어냐고 물었더니 “젊었을 때 치아 관리를 제대로 한 안 ... ...
정신과 가면 기록 남아 입시·취업·보험가입 불이익?…전문가들 "근거없는 가짜정보"
동아사이언스
l
2021.06.05
정신건강에 문제를 겪은 사람이 전체 성인의 10%에 이르는 상황에서 관련된 확실한 정보전달이 필요하다는 전문가의 목소리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한국의 10대들은 정신과 상담이 필요하다고 생각해도 대학입시에 불이익이 주어질 것을 우려해 정신과를 찾지 못한다는 분석결과가 나 ... ...
'킁킁킁' 냄새로 코로나19 감염자 찾아내는 '인공 코'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04
수 있는 수준이다. 무증상 감염자에 대한
민감도
는 75.8%로 더 높았다. 연구팀은 “
민감도
가 표준 진단검사인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RT-PCR)’에 비해 떨어지고 아직 상용화되진 않았지만 추가 연구를 통해 극복이 가능하다”며 “지금 수준에서도 대량으로 빠르게 진단검사를 하는데 도움이 될 ... ...
'금전'주는 백신 인센티브 효과 있나…"인센티브 기대감만 키워 추가접종 때 역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21.06.03
미국 메릴랜드주는 백신 접종자에게 복권을 지급하는 '금전 인센티브' 전략을 활용한다. 메릴랜드 복권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백신 접종률을 높이기 위해 전 세계가 각종 인센티브 대책을 내놓고 있다. 미국에서는 접종률을 높이기 위해 현금을 직접 주거나 복권 추첨 ... ...
잎 따고 냄새 맡고,물 마시고 의사소통까지…'코끼리 코, 못하는 게 뭐야'
동아사이언스
l
2021.06.03
코끼리 코는 먹거나 마시기 위해 비상용 물을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위키미디어 제공. 코끼리 코는 생물학적으로 보면 경이롭다. 관절이나 뼈가 없이 순전히 근육으로만 만들어진 코끼리 신체 기관이다. 나무를 통째로 뽑을 수도 있을 만큼 근육의 힘은 세며 코 끝의 움직임은 나무에 붙은 나 ... ...
[과기원은 지금] DGIST, 초박막 리튬 음극 제조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6.01
팀이 공동 연구를 통해 메타물질로 적외선을 이용한 물질의 성분 분석 기술의
민감도
를 100배 높이는 데 성공했다고 31일 밝혔다. 그간 검출하려는 물질이 시료에 극미량 포함된 경우에는 빛의 세기차가 거의 없어 적외선 분광법으로 확인이 어려웠다. 연구진은 빛 파장보다 작은 초미세구조가 배열된 ... ...
"코로나19 가볍게 앓아도 94.2%는 1년간 항체 유지"
연합뉴스
l
2021.05.26
교수는 "세 가지 검사 방법은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를 측정하지만, 검사의
민감도
가 조금씩 다를 수 있다"며 "94.2%에서 1년까지 항체가 검출됐다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대한의학회지'(JKMS) 최근호에 게재됐다. ... ...
[한 토막 과학상식] "이황화탄탈럼은 부도체" 40년 물리학계 논쟁 종결
동아사이언스
l
2021.05.16
박노정 울산과학기술원(UNIST) 물리학과 교수(오른쪽)와 마무트 오카야이 연구원 연구팀은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와 공동으로 이황화탄탈륨의 이론 예측 오류를 발견하고 영하 73.15도에서 부도체임을 밝혔다. UNIST 제공 이황화탄탈럼(TaS₂)은 물리학자들의 많은 관심을 받았다. 작은 온도 변화에도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