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식
감식
구별
차별
인종차별
남녀 차별
이해
뉴스
"
식별
"(으)로 총 726건 검색되었습니다.
‘1000조분의 1초’ 빛으로 ‘왼손잡이 분자’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7
밝혔다. 이한주 책임연구원은 “펨토초 레이저를 이용해 키랄 분자의 입체화학 구조를
식별
하는 기술은 아직 전 세계적으로도 거의 보고되지 않은 새롭고 어려운 분야”라며 이 기술을 광학현미경과 결합시켜 키랄 분자를 영상화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게 다음 목표”라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 ...
2018년 과학에서 배운 교훈
동아사이언스
l
2018.12.23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DNA 검사를 한 적 없어도 자신의 DNA가 사촌들의 DNA를 통해
식별
될 수 있음을 증명한 셈이다. 미국 샌디에이고야생동물원에서 생활하다 2014년 죽은 수컷 북부흰코뿔소 앙갈리푸의 모습. 이제 지구상에는 암컷 북부흰코뿔소 두마리만 남았다. -위키피디아 제공 ⑦끊이지 않는 ... ...
범인도 쫓고 고객 동선을 읽는다…지능형CCTV 특허 3년새↑
동아사이언스
l
2018.12.23
인터넷프로토콜(IP)나 사물인터넷(IoT)에 연결돼 사람 얼굴이나 차량번호에 대한
식별
및 산불과 같은 재난 감시 등의 분야에서 출원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장 팀장은 또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와 연결되기 때문에 해킹 방지와 보안 관련 출원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 ...
ISS 우주인 8시간 유영…소유스 캡슐 구멍 조사
동아사이언스
l
2018.12.13
수행한 코노넨코와 프로코피예프는 모스크바 외곽의 지상 관제센터에서 쉽게
식별
할 수 있도록 각각 붉은 줄과 푸른 줄이 들어간 우주복을 착용했다. 소유스 MS-09 캡슐까지 약 30m의 거리를 왕복하는데 약 6시간이 걸렸다. 기중기 팔에 안전장치를 걸고 소유스 MS-09 캡슐로 접근하는데만 4시간이 ... ...
본격 의학 연구로 영역 넓히는 구글AI
동아사이언스
l
2018.12.03
수 있을 때까지 신경망에 단백질 정보를 입력했고 아미노산만으로 수천 개의 단백질을
식별
하는 훈련을 시켰다. 새로운 단백질이 제시되면 알파폴드는 신경망을 이용해 아미노산 사이의 거리와 이를 연결하는 화학 결합 간의 각도를 예측한다. 예측한 각도와 거리를 기반으로 3D형태의 단백질을 ... ...
소방관들이 배터리 과충전 '화재 패턴' 밝혔다
연합뉴스
l
2018.11.28
구멍(천공)은 없었다. 엑스레이로 내부를 촬영했더니 전극 기재 잔해와 많은 용융이
식별
됐다. [대전시 소방본부 제공=연합뉴스] 외부 화염에 따른 결과는 이와 달랐다. 누출된 가스에 불이 붙으면서, 폭죽이 아닌 마치 버너의 연소 형태처럼 타올랐다. 내부 전극은 형태를 유지하고 있었고, 용융은 ... ...
[암호기술 혁명]③생체정보 철벽 보호하며 2.5초 만에 신원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8.11.24
활용하면 개인의 익명성을 보호하면서 정보를 투명하게 공유하는 새로운 디지털 개인
식별
솔루션이 될 수 있다. 문대표는 “새로운 인증 솔루션 개발을 위해 현재 유럽의 블록체인 커뮤니티와 협업하는 중”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과학동아 2018년 5월호, 암호기술 혁명, ... ...
[과학게시판] 연구실 안전의 날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8.11.19
데이터를 풀지 않고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기술로, 이를 활용하면 개인정보를
식별
할 필요 없이 각종 통계분석이 가능하다. 이번 세미나에선 동형암호 기술의 글로벌 동향에 대한 천정희 서울대 수학과 교수의 주제 발표가 진행됐고, 생체인증이나 신용평가 등 실제 산업 분야의 활용 ... ...
안전한 데이터 활용을 위한 동형암호 기술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9
확보할 수 있음을 검증했다. 김정원 과기정통부 인터넷융합정책관은 “최신 암호와 비
식별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과 실증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며 “이를 통해 의료나 금융 등 전 산업 분야에서 데이터를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술 기반을 마련해 갈 것”이라고 밝혔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TV의 과잉스펙 시대
2018.11.13
가정하면, 10배 떨어진 3m 거리에서는 해상도가 1㎜이므로 우리 눈은 UHD와 HD의 차이를
식별
하지 못한다는 말이 된다. ‘내가 제대로 계산했나...’ 필자의 느낌을 뒷받침하는 결과이지만 필자의 기억과 추론을 믿을 수 없어 인터넷에서 적당한 키워드로 검색을 해봤는데 놀랍게도 ‘우리 눈이 UHD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