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부
출장소
분관
지사
센터
장소
현장
뉴스
"
지점
"(으)로 총 1,609건 검색되었습니다.
중국 로켓, 통제불능 상태로 이달 11일 전에 지구 대기권 진입할 듯
동아사이언스
l
2021.05.06
'우주물체 추락예측 프로그램'을 이용해 창정5B가 추락하기 12시간 전에 추락 시간과 추락
지점
을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했다. 한편 창정5B를 쏘아 올린 중국측은 걱정 할 것 없다는 입장이다. 중국 관영 매체인 글로벌타임스는 5일 전문가의 말을 인용해 창정5B의 파편이 바다에 떨어질 확률이 높아 ... ...
‘트랜스포머 로버’로 달 뒷면에 1km 전파망원경 10일 만에 설치
동아사이언스
l
2021.05.06
로버 한 대는 땅에 지지대를 박아 자신을 고정하고 나머지 한 대가 그물망을 설치할
지점
까지 전선을 끌고 가 임무를 수행한다. 임무를 완수한 뒤에는 돌아와 합체한다. 연구팀은 이런 방식으로 10일 안에 LCRT 설치를 끝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번에 LCRT 프로젝트가 2단계에 돌입하면서 ... ...
중국 우주정거장 실어나른 로켓, 8~12일 '통제불능' 상태서 지구로 떨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05
지면 6시간 내로 파편이 땅에 도달하는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륙 예상
지점
도 좁혀질 것으로 보인다. 창정5B는 지난해 5월 유인 우주선을 발사한 후 지구에 진입했을 때도 통제불능 상태로 지구에 떨어졌다. 당시 타고 남은 금속 파편 일부가 코트디부아르 시가지에 떨어져 일부 ... ...
드론 비행하고 산소 만들고...인류의 화성 유인 탐사 가능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5.01
약 5m 고도로 2.1미터 가량 비행한 데 이어 25일에는 약 5m 고도로 50m를 비행한 뒤 이륙
지점
으로 돌아와 무사히 착륙했다. 궤도선과 지표면에서 움직이는 로버 외에 공중에서 화성을 넓게 관측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셈이다. 무인 화성 헬기 인저뉴이티가 화성에서 인류 첫 동력 비행에 성공했다. ... ...
1~2시간 내 코로나19 진단한다는 신속PCR 쟁점3
과학동아
l
2021.05.01
더 적은 일반적인 경우의 정확도는 더 낮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의견이 갈리는
지점
은 이런 진단시약을 실제 방역 현장에 적용해도 될지 여부다. 신속PCR을 옹호하는 전문가들은 다소 정확도가 떨어져도 이를 적극 활용해 방역을 세밀하게 보완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 ...
더는 춥지 않은 대한과 소한…기후변화로 24절기 뒤죽박죽
동아사이언스
l
2021.04.28
적었다. 연평균기온은 관측기간 동안 10년에 0.2도씩 꾸준히 올랐다. 기상청 제공
지점
별로는 내륙과 해안, 도시화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대구는 최근 30년 연평균기온이 14.4도로 과거보다 2도 올랐다. 서울도 12.8도로 1.9도 올라 비교적 높았다. 반면 목포는 13.2도에서 14도로 0.8도 상승해 상승폭이 ... ...
보이저 1·2호도 못 간 1000AU까지…인류 역사상 최장 우주 탐사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27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NASA는 2030년대 인터스텔라 프로브 발사를 계획하고 있다. 목표
지점
까지 초속 90km로 비행해 15년 안에 도착할 예정이다. 보이저 2호보다 속도는 5배 빠르고, 기간은 20년 단축했다. 인터스텔라 프로브의 임무 기간은 50년이다. APL 연구팀은 역사상 최장 거리 비행에 우주 ... ...
"전국 32개 해역 방사능 농도 연 1회→매월 공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26
원자력안전위원회가 1년에 한 번 공개했던 국내 32개
지점
바닷물 속 방사능 물질 분석 결과를 26일부터 검사 즉시 공개하기로 했다. 원 ... 상단메뉴 '해양환경방사능 감시'에 들어가 '해수방사능 분석
지점
' 지도를 클릭하면 32개
지점
별로 최근 방사능 물질 농도 분석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 ...
화성 무인 헬기 ‘인저뉴이티’ 왕복 100m 날았다...“3차 비행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1.04.26
16피트(약 5m) 고도로 날아올라 2차 비행보다 훨씬 먼 거리인 50m를 비행한 뒤 이륙
지점
으로 돌아와 정확히 착륙했다. 왕복 이동거리만 328피트(약 100m)에 달한다. 인저뉴이티의 3차 비행 거리는 2차 비행 때에 비해 25배다. 2차 비행에서는 약 2.1m 가량 옆으로 비행했지만 이번에는 50m 떨어진 곳까지 ... ...
방사성 물질 이용해 ‘미세먼지 발원지’ 추적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21
오염원을 추적하는 데 적극 활용될 예정이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각기 다른
지점
에서 발생한 미세먼지 속 방사성 물질을 분석해 미세먼지의 발생지를 추적하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팀은 그간 중성자 방사화 분석법을 활용해 미세먼지에 포함된 핵종 30여 종을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