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존재
인생
실존
서바이벌
잔존
존속
생계
스페셜
"
생존
"(으)로 총 69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내 기억력의 품질, 관리하기 나름
2017.12.19
홍수를 준비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경험의 데이터 더미 속에서 ‘남겨 두는 게
생존
에 유리하다’고 판단돼 뇌에서 별도의 작업을 한 결과가 (장기)기억이다. 그런데 망각에 이 정도 ‘지위’를 부여하려면 그에 걸맞는 정교한 메커니즘이 갖춰져 있어야 할 것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그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사피엔스, 퇴행은 이미 시작되었나?
2017.12.12
건강과 수명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즉 주변 온도가 20~26도 사이일 때 인간의
생존
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지구온난화로 이보다 기온이 높은 기간이 점점 길어지기 때문이다. 선진국이라고 예외는 아니어서 지난 2003년 서유럽에 40도가 넘는 폭염이 닥치면서 프랑스 1만5000명을 ... ...
북아메리카 비둘기가 멸종한 원인은?
동아사이언스
l
2017.11.19
여행비둘기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41개와 핵 유전자 2개를 분석했다. 그리고 그 결과를
생존
하는 비둘기 중에 여행비둘기와 가장 가까운 친척인 띠무늬꼬리비둘기(Band-tailed Pigeon) 유전 정보와 비교했다. 그 결과 여행비둘기의 유전적인 다양성이 낮은 사실을 확인했다. 또한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발표된, 힉스 메커니즘을 제안한 논문 세 편의 저자 여섯 명 가운데 다섯 명이 당시
생존
해 있었다. 결국 위원회는 가장 늦은 논문의 저자 세 사람 가운데 한 명을 선택하는 걸 포기하고 두 사람(프랑수아 앙글레르와 피터 힉스)만 선정했다. 세 명 가운데 제럴드 구럴닉이 2014년 78세에, 톰 키블이 201 ... ...
삶이 허무하지 않고 '의미있다'고 느끼게 할 수 있는 3가지 방법
2017.10.06
우선 맛있는 걸 먹자는 것이다. GIB 제공 하지만 생각해보면 잘 먹고 잘 자는 등의 기본
생존
활동을 우리는 중요하게 여기는 듯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것 같다. 하루 중 가장 큰 고민이 ‘점심 뭐 먹지’와 ‘저녁 뭐 먹지’인 걸 보면 많이들 중요하게 여기는 것 같지만, 어쩔 수 없이 하는 고민일 ... ...
[표지로 읽는 과학]일본산 굴이 하와이에서 발견된 까닭은?
동아사이언스
l
2017.10.01
이동해 왔다는 결론을 냈다. 그리고 이곳에 유입된 외래 해양 생물들은 20%가
생존
해 수년간 지내고 있다. 이 연구는 허리케인, 홍수 등 자연재난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상황에서 바다의 종 다양성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특히 재난으로 인한 파편은 생분해성 재료가 아닌 플라스틱 등 ... ...
식물의 ‘잎 크기’ 결정하는 요인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9.03
또 잎이 가늘기 때문에 물도 많이 필요하지 않다. 나무에 공급되는 물의 양이 적어도
생존
할 수 있단 의미다. 물과 함께 발산하는 열도 적기 때문에 열 손실도 줄일 수 있다. 이처럼 서식지의 온도, 습도 등의 조건은 식물의 잎 크기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하지만 이런 전통적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의 앞발이 손이 되지 못한 사연
2017.08.01
신경회로를 많이 할당할 경우 이동 같은 움직임에 필요한 신경회로가 부실해져 오히려
생존
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생쥐를 포함한 사족보행 포유류에서 이 회로가 퇴화했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포유류의 역사에서 오늘날 원숭이처럼 주로 나무에서 생활하게 적응한 동물에서 이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
2017.07.25
일사병처럼 체온 조절에 문제가 생기는 온열질환에 걸릴 수도 있다. 이처럼 건강(
생존
)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는 상황이므로 후텁지근한 날씨가 불쾌하게 느껴지는 건 당연한 현상일지도 모른다(그래야 적극적으로 피하려고 할 테니). 그런데 우리는 어떻게 그냥 ‘고온’과 ‘고온다습’을 ... ...
심장이 잘려 나가도
생존
하는 제브라피쉬의 비결
동아사이언스
l
2017.06.11
사이언스 제공 [표지로 읽는 과학] 사이언스 아주 작은 심장을 촬영한 장면이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를 장식했다. 사진의 주인공은 크기가 5㎝에 불과한 열대어 제브라피쉬다. 이 사진은 제브라피쉬가 심실의 아랫 부분에 크게 손상을 입은 뒤 7일 후 촬영된 모습이다. 사람과 달리 제브라피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