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간
시력
시점
때
조준
안력
보이기
스페셜
"
시각
"(으)로 총 692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자기비하 그만! ‘#너그러워지기’
2016.12.06
‘과장’하지 않는 것이다. 부정적인 감정에만 주의가 휩쓸려가지 않게 ‘균형잡힌’
시각
을 유지하려고 노력하는 것이다. 하루 아침에 되는 것이라기보다 꾸준한 연습이 필요한 일이다. 그래도 그만한 가치가 있는 일이니 해보도록 하자. ‘너그러움 일기’를 쓰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한다. ... ...
서민이 보수정당에 투표하는 이유
2016.11.30
던지다시피 한 일에 대해서는 백인들이 자신들의 기득권을 사수하려한 발버둥으로 보는
시각
이 있다. 잘 사는 사람들이 보수적인 정당에 투표하는 것 역시 세금을 덜 내고 자신의 재산을 지키기 위한 나름의 합리적인 행동이라고 이야기 된다. 하지만 잘 이해되지 않는 부분은, 왜 약자들이, ... ...
사이코패스가 리더가 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2016.11.22
‘권력’이 사람을 바꾼다기보다 원래 본성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할뿐이라고 보는
시각
들이 있다. 평소에도 도덕적이지 않고 막무가내로 구는 사람이 높은 자리에 가면 갑자기 도덕적이게 될 확률보다는 더 많은 비리와 부정부패를 마구 저지를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이 때문이라도 리더의 ... ...
보노보도 노안은 못 피해!
2016.11.14
초점을 맞추지 못한다. - 하버드대 제공 반면 노안은 말 그대로 나이가 들면서 생기는
시각
장애로 가까운 거리의 대상을 선명하게 볼 수 없는 상태다. 그리고 안구가 아니라 수정체의 문제다. 무한대의 공간을 안구 내벽의 망막이라는 휘어진 2차원 공간에 재현하기 위해 수정체는 곡률을 조절할 수 ... ...
[표지로 읽는 과학]그린란드에 살던 바이킹 후손들은 15세기 왜 갑자기 사라졌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6.11.14
전기화학신호를 주고받는 부위인 수상돌기가 제대로 작동하는 모습을 확인했다. 쥐에게
시각
자극을 주면 새로 생긴 뉴런이 반응해 수상돌기에서 신호를 만들었다. 그동안 알츠하이머병이나 파킨슨병처럼 뇌의 일부가 손상되는 질병에 걸리면 딱히 복구할 방법이 없었다. 이번 연구는 질병이나 ... ...
표범의 추억
2016.11.08
육식동물인 고양잇과에 특이적으로 보존도가 높은 유전자 1436개 가운데 다수는
시각
과 신경 등 사냥에 필요한 기능에 관여한다. - 게놈 연구 제공 ● 표범과 사람, 육식으로 인한 암 위험성 차이나는 이유 최근 유행인 ‘고지방 저탄수화물 다이어트’에 시사점을 던지는 결과도 있다. 고양잇과 ... ...
독서의 계절 가을, 독서 문외한을 위한 안내서
2016.10.21
것이다. 이를 위해 일반 시민들도 오디오북 제작에 참여하는 낭독봉사 활동도 있다.
시각
장애인들을 위해 일종의 재능기부를 하는 셈인데, 테스트-선발-교육-녹음 등의 절차로 이루어진다. 테스트를 통과하면 녹음은 물론 기본 편집까지 직접 하는 교육을 받는다. 남들보다 좀 더 편안한 목소리를 ... ...
고산증 극복하고 말라리아에도 저항… 환경적응 유전자 ‘총정리’
동아사이언스
l
2016.10.09
덕이다. 최근 몇몇 과학자 그룹이 쥐를 이용해 실험한 결과 시상하부 앞쪽에 있는
시각
교차앞구역(preoptic area)에 히스타민, 노르아드레날린, 세로토닌이 작용하면 잠에 빠져들게 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진은 논문을 통해 “잠을 유발하는 신경세포는 스트레스 호르몬이나 사이토카인 ... ...
지속가능한 건강식단 가능할까?
2016.09.26
글을 쓴 적이 있지만 펄머터 박사는 너무 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책에 새로운
시각
을 갖게 하는 정보도 많지만 과거 ‘지방 혐오 탄수화물 예찬’의 오류를 비판하다 ‘탄수화물 혐오 지방 예찬’이라는 새로운 오류로 빠진 게 아닌가 해서 씁쓸했다. 지난해 번역서가 나온 우리나라에서는 ... ...
37억 년 전 지구엔 이미 생물이 번성했다!
2016.09.12
논문이 실렸다. 지구에서 생물의 역사를 획기적으로 늘린 연구결과였음에도 회의적인
시각
도 만만치 않았다. 무엇보다도 현미경에서 미화석이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사실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에서 미생물이 보이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이렇게 오래 된 암석에서는 더 기대하기 어렵다. 몇몇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