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d라이브러리
"
사람
"(으)로 총 14,404건 검색되었습니다.
꽃의 여왕, 장미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0
(국립원예특작연구원 농학박사) 생활의 달인이 되다장미의 활약은 아름다움으로
사람
들을 매료시키는 데 그치지 않아요. 장미는 생활에 도움을 주는 꽃이거든요. 고대 로마와 그리스에서는 장미 뿌리와 열매로 생약을 만들어 썼어요. 또 장미 오일의 향기를 맡으면 행복할 때 분비되는 ... ...
1. 생활 속 안전 지킴이
수학동아
l
200910
6~7배에 이르는 충격을 받는다. 시속 60km로 달리는 자동차를 운전하는 몸무게 60kg인
사람
이 사고가 나서 0.02초동안 충격을 받았을 때 운전자가 받는 힘을 살펴보자. 이것은 5층 건물에서 떨어지는 충격과 같다. 머리나 무릎의 한 부위에 이 힘이 그대로 전해지면 크게 다칠 수밖에 없다. 하지만 ... ...
2. 모양 속에 안전 있다
수학동아
l
200910
저건 왜 저렇게 생겼을까? 모양 속엔 수학적 안전의 원리가 담겨있다. 맨홀 뚜껑은 왜 동그랄까?길을 가다 보면 곳곳에 동그란 맨홀 뚜껑이 눈에 띈다. 상수 ... 함부로 올라서다간 미끄러져 넘어지기 쉽다. 항구의 안전을 책임지는 테트라포트지만 부주의한
사람
에게는 위험할 수 있다 ... ...
소수점 하나가 세상을 바꾼다!
수학동아
l
200910
'되'는 둘 다 부피 단위인데, '되'는 1.8L짜리 페트병에 들어가는 양이고 '말'은 그 열 배다.
사람
들의 한 말의 절반만큼의 물의 양을 표현 하기 위해 '말'보다 더 작은 단위인 '되'를 만들어 썼다. 같은 방법으로 1보다 작은 수를 표한할 때, 작은 단위를 계속 새로 만들어서 사용했다.첨단 과학기술이 ... ...
마술과 함께 수학의 세계로!
수학동아
l
200910
아폴로에게 재앙의 해결책을 묻기 위해 델로스 신전에서 열심히 기도했다. 아폴로는
사람
들의 정성에 감동받아 "신전 앞에 놓여 있는 정육면체의 제단은 그 모양이 좋으나 크기가 조화롭지 못하니 모양은 그대로 두고 부피가 정확하게 두 배인 정육면체로 바꿔라. 그러면 재앙은 사라지고 좋은일이 ... ...
언어가 사고를 지배하는가
과학동아
l
200910
증거다. 한편 미국의 수화 교사인 샐러는 27세까지 농아였다가 수화를 뒤늦게 배운
사람
도 수화를 배우기 이전의 경험들을 표현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언어를 배우기 전에 이미 사고를 할 수 있었음을 보여주는 예다.미국 버클리대 언어학과 폴 캐이 교수는 올해 발표한 한 리뷰논문에서 ‘언어가 ... ...
아시아 최초 슬로시티 태평염전에 가다!
과학동아
l
200910
태평염전의 위용은 다시 봐도 정말 대단했다. 오후 4시. 아직 작업하기엔 이른 시간인지
사람
은 단 한 명도 보이지 않았다. 코에 익숙한 짠 내와, 고요하다 못해 적막한 광경이 두 달 전 모습 그대로였다.소금장인에게 전화를 드렸더니 염전 바로 옆에 컨테이너로 지은 숙소에서 그가 나타났다. 땅땅한 ... ...
스테로이드 약물로 ‘광명’ 되찾는다
과학동아
l
200910
환자의 27%, 4mg을 투약받은 환자의 26%가 시력이 개선됐다. 아무 약물도 받지 못한
사람
들 가운데에는 7%만이 시력이 좋아졌다.특히 연구진은 “4mg을 투약 받은 환자에게서 백내장이나 안압 증가와 같은 부작용이 많이 발생했다”며 “시력 개선 효과는 비슷하면서도 부작용은 적은 1mg 투약이 ... ...
“친환경 솔라보트 시대 주춧돌 되겠다”
과학동아
l
200910
“왜 솔라보트만 가지고 나오면 구름이 많은 거야~!”“연상아, 진국아! 배 뒤쪽부터 조심히 내려!”9월 4일, 이곳 대전 갑천에는 색다른 인터뷰 준비가 한창이다. 인 ... 말했다. 그는 또 “인력선-솔라보트 대회는 일반인에게도 개방돼 있다”며 관심 있는
사람
들의 많은 참여를 부탁했다. ... ...
사회기반시설 '평생 주치의'는 정보기술
과학동아
l
200910
고속도로의 운영과 관리, 국가 물관리 시설의 정보화 발전 방향 등 다양한 주제가 발표돼
사람
들의 관심을 끌었다.국민 대다수가 살고 있는 도시 역시 미래에는 정보기술이 접목돼 ‘U-시티’로 변화될 것이다. U-시티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기술을 도시공간에 융합한 도시다. 최근 경기화성에 ... ...
이전
576
577
578
579
580
581
582
583
5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