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
실개천
속
나
d라이브러리
"
내
"(으)로 총 10,295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적 재산의 보호와 공유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기울기에 의해 공이 굴러가 바퀴살을 돌아가게 하고 그 회전력은 다시 공을 굴려 보
내
는 운동으로 전환돼 끊임없이 회전하는 방식이다. 나름대로 일리가 있는 이야기이지만 이 역시 불가능하다. ■생각 거리 1 >> 지적재산권을 보호하려는 노력과 공유하려는 노력이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방법에 ... ...
0.05초 만에 결정되는 첫인상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내
리는 것이 아니라 안와전두엽 같은 부위와 상호작용하며 더 정교한 선호판단을
내
린다. 안와전두엽은 측핵에서 오는 정서적인 신호를 이성적으로 조율해 최종 의사결정으로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2008년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 매튜 리버만 교수팀은 흑인의 얼굴에 자동으로 반응하는 편도체의 ... ...
[생명과학]흰개미 생존의 비밀은 이중 공생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세포 안에는 CfPt1-2라는 박테리아가 무려 10만 마리나 살면서 원생생물이 만들어
내
는 당을 빨아먹는다. 이들은 흰개미 장에 살고 있는 전체 박테리아의 70%를 차지한다.일본 이화학연구소 혼고 유이치 박사팀은 CfPt1-2가 단순히 기생하는 게 아니라 질소를 고정해 원생생물과 흰개미에게 아미노산을 ... ...
‘순간’을 필름에 담는 엔지니어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편이었지만 나도 모르게 주변을 두리번거렸다. 그래도 사진은 마저 찍어야했다. 용기를
내
달과 별 촬영을 계속했다. 천체 사진을 잘 찍으려면 담력부터 키워야겠다는 생각을 하면서. 편집자 주 ‘과학계 다빈치를 찾아서’는 이번 호로 마칩니다. 그동안 ‘과학계 다빈치를 찾아서’를 지켜봐 주신 ... ...
[물리]빛이 꺾이는 원리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빗면에 해당합니다. 입자의 위치를 이용해 입자의 운동시간을 식으로 나타
내
고, 이 식이 하나의 극점을 가지려면 도함수가 단순증가 함수여야 함을 증명합니다. 극점에서는 도함수의 값이 0이라는 사실을 잘 활용해야 합니다. Q2 제시문 (다)를 참조해 다음 물음에 답하라. 1) 논제 1에서 증명한 스넬의 ... ...
[지구과학]탄소 순환 고리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이루는 석영 위주로 이뤄져 있다. 따라서 현무암질 용암에 비해 유문암질 용암은
내
부 물질의 결합력이 높아 점성이 크고 유동성이 작은 성질을 지닌다. 그 결과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고 유동성이 크며 점성이 작은 현무암질 용암은 분출한 뒤 수평으로 퍼지는 형태를 보이고, 그 반대의 성질을 지닌 ... ...
나노벽으로 나노건축물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못한다. 교수들 역시 연구업적에 매달리다보니 학생 개인의 성장 보다는 결과를 빨리
내
놓으라고 다그치기 일쑤다.“창의성은 어느 날 갑자기 무(無)에서 나오는 게 아닙니다. 창의적인 인재가 되려면 기초부터 차근차근 밟아나가야 합니다.” 이 단장의 ‘여유있는’ 실험실 방침은 사실 엄격한 ... ...
[생물]혈액형 유전자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2) CH3COOH와 CH3COONa를 섞어 만든 완충용액의 예를 살펴보자. 완충 용액에 HCl을 더하면 용액
내
에 H+가 많아진다. 그러면 공통이온 효과에 의해 역반응이 일어나 H+ 농도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평형이 이동한다. 수산화나트륨(NaOH)를 더하면 OH-가 H+와 반응해 H+가 감소하지만 정반응이 일어나 H+를 ... ...
파닥파닥~, 물고기가 하늘을 난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군. 날치를 위해서 참치를 몽땅 잡아 버리겠다고 낚싯대를 던진다.“날치! 기다려라!
내
가 너의 원수를 갚아 주마!”“그…, 그러면 안…!”이를 말리려는 닥터고글의 말이 끝나지도 않았는데 벌써 다나카 군의 낚싯대에 뭔가가 걸렸다. 다나카 군은 자신의 실력에 감탄하며 낚싯대를 ... ...
100년의역사가 흐르는 수도박물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별관을 나오기 전에 마지막으로 초음파로 물이 흐르는 양을 측정하는 걸 보고 오늘 배운
내
용을 문제로 풀어 보기도 했어. 그러고 나니 수도에 대해 박사가 된 기분이었어. 친구들도 수돗물에 대해 알고 싶다면 수도박물관에 꼭 한 번 들러 봐. 나처럼 수도박사가 될뿐만 아니라 물을 아끼는 마음까지 ... ...
이전
576
577
578
579
580
581
582
583
5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