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ET vs 에어리언과학동아 l2002년 04호
-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 이후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라던 중세 기독교적 세계관이 무너졌다. 그리고 필연적인 의문이 제기됐다. 이 넓은 우주에 인간만이 유일한 지적 생명체일까. 은하계에는 태양과 같은 항성이 수천억개 이상 존재한다. 그리고 우주에는 수천억개 이상의 은하계가 존재한다. 이렇 ... ...
- 생체기능조절물질개발사업을 찾아서과학동아 l2002년 04호
- 봄 기운이 완연한 고속도로를 달려 대전 대덕연구단지를 찾았다. 국내 신약개발의 역사를 다시 쓰겠다는 야심찬 각오로 지난 2001년 10월에 설립된 생체기능조절물질개발사업단이 있기 때문이다.사업단은 지난 30년 간 한국 화학연구를 주도해온 한국화학연구원 내에 아담한 모습으로 자리잡고 있었 ... ...
- 비커 속에 나타난 태양 에너지과학동아 l2002년 04호
- 커피 잔 두개 크기의 비커 속에서 핵융합을 일으키는데 성공했다는 연구결과를 두고 전세계 과학계가 논란에 빠졌다. 핵 시대 이후 최대의 발견이라는 찬사에서부터,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진 지난 1989년의 상온핵융합 소동과 마찬가지라는 비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고 있는 상황. ... ...
- 망원경 렌즈 제조하는 최신 회절법과학동아 l2002년 04호
- 밤에 고개를 한껏 젖히고 하늘을 향하면 위용 있게 빛을 발하고 있는 별들이 보인다. 북극성, 목성, 토성 등이 그 주인공이다. 그러나 별빛이 아무리 선명한 날이라도 맨눈으로 목성 주위를 도는 4개 위성이나 토성의 아름다운 고리를 보기는 어렵다.이런 인간 눈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발명한 것 ... ...
- 구겨진 종이에 관한 물리학과학동아 l2002년 03호
- 종이 한장을 구겨서 작은 뭉치로 만드는 과정에 어떤 비밀이 숨어있을까. 이에 대한 연구가 물리학 저널인 ‘피지컬 리뷰 레터’ 2월 18일자에 발표됐다.사실 종이를 구기는 일은 별 노력이 들지 않고 매우 간단하다. 하지만 종이를 아무리 센 힘으로 구기더라도, 구겨진 종이뭉치를 75% 이상 차지하 ... ...
- 토성과 반달의 봄맞이 랑데부과학동아 l2002년 03호
- 3월 20일 흔치 않은 우주쇼가 펼쳐진다. 토성과 반달이 봄맞이 랑데부를 시도하기 때문이다. 30여분 간 반달 뒤로 숨는 토성의 장관은 맨눈으로 봐도 신기하지만, 쌍안경이나 망원경으로 즐긴다면 평생 잊지 못할 경험이 될 것이다. 봄이 다가오기 시작한지 얼마 지나지 않은 밤하늘. 서쪽 하늘에 ... ...
- 동물의 갖가지 체온유지 비법과학동아 l2002년 03호
- 생존을 위해 자신의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야 하는 일은단지 사람만의 문제가 아니다. 개, 고양이, 닭과 같은 동물에게도심각한 문제다. 이들의 체온은 사람과 어떻게 다를까.체온조절 면에서 동물을 분류하면 항온동물과 변온동물이 있다. 이 분류에 따르면 인간은 항온동물이다. 그렇다면 항 ... ...
- 화두가 있는 자연과학과학동아 l2002년 03호
- 서울대의 명강의로 소문난‘자연과학의 세계’강의에 만화가 나오는가 하면, 수업은 학생의 열띤 논쟁으로 끝나기 일쑤다. 하지만 매년 강의평가서에서는 빠지지 않고 추천된다. 왜일까. 동장군의 심술이 채 가시기도 전인 3월 초, 오랜만에 찾은 대학교정은 꽃샘추위도 잊은 채 여기저기 모여 ... ...
- 2. 독성물 탐지하면 빛 발하는 미생물과학동아 l2002년 03호
- 하루 버려지는 하수는 약 1천만t. 1년이면 36억t이 되는 엄청난 수자원이다. 냄새나고 더러워보이는 이 하수를 생명의 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기적을 일으키는 첨단 기술인 물 재이용기술을 만나보자. ‘돈을 물 쓰듯이 한다’라는 말이 있다. 물이 소중한 자원임에도 불구하고 그 소 ... ...
- 20세기 초에 나온 끈이론의 원조과학동아 l2002년 03호
- 끈이론은 10차원에서 성립한다. 또 5종류의 끈이론을 하나로 통합하는 M이론은 11차원을 가진다. 왜 이렇게 고차원일까. 이해하기 힘들지만 수학적인 방법에서 출현한 것이다.또 끈이론가들은 4차원 이상의 추가적인 차원은 매우 촘촘하게 말려있다고 본다. 예를 들어 2차원의 종이를 돌돌 만 다음, ... ...
이전5765775785795805815825835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