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바보야, 문제는 두려움이야!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동물적인’ 공포(예를 들어 뱀 그림)는 그 어떤 현대적인 공포(예를 들어 총 그림)보다 우리를 강하게 사로잡는다. 뇌가 두려움에 민감한 탓이다. 부작용도 생겼다. 면접 때 여성이 느낀 스트레스는 바로 ‘동물적인’ 공포로 연결됐고, 그게 심각한 스트레스로 통증까지 불러왔다. 그럼 이 여성은 ... ...
- 밀가루는 무죄!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받아들이기 어렵습니다. 밀가루로 만든 빵류가 당지수가 높은 건 사실이지만, 감자나 우리 주식인 흰 쌀밥도 마찬가지로 높습니다. 그렇다고 쌀밥이 몸에 나쁘다고 이야기하나요?요즘 글루텐프리 식단이 유행하는 건 상술이라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헐리우드 여배우 같은 사람들이 글루텐프리 ... ...
- [12월]도전! 과학동아 청소년 기자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문득 히트텍의 발열원리에 대해서 궁금해졌다. 이뿐만 아니라 고어텍스, 옴니히트 등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발열제품들 속에 숨어있는 과학을 찾고, 이를 독자들에게 소개하고 싶어 기사를 작성했다. 앞으로도 기사 작성을 통해 일상 속에서 접할 수 있는 과학적 지식을 알아가고, 독자들과 ... ...
- Part 1_ 우주를 팽창시키는 힘, 암흑에너지과학동아 l2013년 12호
- 하는지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그렇다면 우주의 거대구조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까. 우리는 그 해답을 똑같은 분광광시야 관측에서 얻을 수 있었다. 은하의 적색편이는 우주의 팽창에 의해서 결정되기도 하지만, 그 고유속도에 의해서도 결정된다. 초기에 우주팽창에만 관심이 있었을 때만 ... ...
- Part 2. 메르켈 독일 총리는 어떻게 도청당했나?과학동아 l2013년 12호
- 포함해 베를린 전역의 휴대전화와 무선랜 전파를 도·감청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가 사용하는 디지털 휴대전화, 즉 부호분할다중접속(CDMA)방식은 통화 내용을 서로 다른 코드를 이용해 송수신하기 때문에도·감청했다고 해도 해독이 매우 어렵다. 그렇지만 슈퍼컴퓨터를 동원하는 NSA라면 ... ...
- 울창한 푸른 숲 겨울을 입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프랑스의 사진작가 다비드 케오슈케리앙은 적외선 카메라를 사용해 색채를 요리한다. 우리 눈으로는 볼 수 없는 적외선을 사진에 담으면 반전 필름 같은 독특한 사진을 얻을 수 있다. 대부분의 사진 배경은 그가 살고 있는 프랑스 쏨므(Somme) 지역. 그는 매일 만나는 평범한 일상이지만, 그 속에 ... ...
- [life & Tech] 이젠 그만 깨고 싶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하지 않기 때문이다.기면증은 유전되지만, 환경 요인이 더 중요하다. 일란성쌍둥이에 “우리 병원에 온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해 보니 발병에서 진단까지 평균 7년이 걸렸습니다. 미국보다 상대적으로 진단 기간이 짧은 것은 최근 기면증이 미디어를 통해 알려지면서 국내 인식도가 높아졌고, ... ...
- 시간여행이 만든 잔혹한 스릴러과학동아 l2013년 12호
- 00만 분의 45.7초씩 시간이 빨리 간다.김성원 이화여대 과학교육과 교수는 “영화에서처럼 우리가 인식할 수 있는 수준으로 시간팽창이 일어나려면 태양 정도 중력으로도 모자란다”며 “중성자별이나 블랙홀 정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중성자별의 중력은 지구 중력의 2000억 배에서 3조 배에 ... ...
- SF단편 양자의 아이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현실을 규정한다 해도 과거를 바꿀 수는 없다. 하지만 세계에 대한 인식은 바꿀 수 있다. 우리의 인식은 현재진행형이기 때문이다. 유나의 지지자들은 그 사실을 잘 알고 있었다. 그래서 양자사기꾼들을 뿌려 세계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주고 현실 왜곡과 같은 효과를 거두려는 것이다. 정화가 ... ...
- 과학 동아리를 소개합니다 - 정명고등학교 ‘STAR’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공부해, 인공 생체 조직 같은 세상에 없는 새로운 물질을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우리나라 로봇 공학의 미래를 보고 싶다면 부천 정명고의 STAR를 찾아보면 어떨까. 미래에 로봇으로 세상을 밝히고 싶은 학생들이 오늘도 밤늦게까지 과학실의 불을 환히 밝히고 ... ...
이전5765775785795805815825835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