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뉴스
"
국립
"(으)로 총 6,231건 검색되었습니다.
위암 종류 4가지, 새로운 분류법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7.23
이어 가장 많은 환자를 사망에 이르게 하는 암이다. 미국
국립
인간게놈연구소와 미국
국립
암연구소가 주도하는 ‘암게놈아틀라스(TCGA)’ 팀은 위암의 유전체를 처음으로 분석하고 위암을 기존의 임상 분류와는 다른 방법으로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내 ‘네이처’ 24일자에 ... ...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장에 김운봉 박사
과학동아
l
2014.07.22
받았다. 이후 일리노이주립대 시퀀싱 및 기능유전체 공동 연구소 센터장, 미국
국립
유전체자원센터 차세대 시퀀싱 및 생명정보 연구소 센터장을 거쳐 UC데이비스 유전체 생명정보 연구센터장을 지냈다. 김 센터장은 “미국 현지 연구현장에서의 경험과 노하우를 통해 유전체 생명정보 ... ...
[사이언스 브리핑] 2014년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外
과학동아
l
2014.07.22
523건을 대상으로 선정위원회를 거쳐 선정된 것이다. 우수성과에 대한 수여식은 24일
국립
과천과학관에서 열리며 관련 전시회가 27일까지 열린다. ◆서울대 공대는 전효택 에너지자원공학과 명예교수가 세계적인 출판사 슈프링어가 펴낸 서적 ‘잠재적 유해물질과 환경 그리고 보건(PHEs(Potentially ... ...
육지에 비 내려야 적조 줄어들어
과학동아
l
2014.07.22
경쟁에서 이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해양수산부는 이들 사항을
국립
수산과학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적조 발생예측 시스템에 적용해 8월부터 남해지역을 대상으로 적조가 양식장에 유입되기 전에 적조 발생을 예보하는 사업을 시범적으로 실시할 예정이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벼 해독 10년 만에 ‘진짜’ 밀 게놈 해독
과학동아
l
2014.07.20
주인공은 표지 중앙이 아니라 오른쪽 아래에 있는 뾰족한 장치다. 미국 로렌스리브모어
국립
연구소 길버트 콜린스 박사는 논문에서 이를 “목성 같이 거대한 행성의 내부를 계측할 수 있는 한 가지 가능성”이라고 소개했다. 거대한 행성의 내부를 연구하는 일은 만만치 않다. 행성의 내부는 ... ...
“바이오전략위원회 신설해야”
과학동아
l
2014.07.18
권한을 명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과학기술자문회의가 벤치마킹한 기관은 미국
국립
보건원(NIH)이다. 올해에만 약 301억 달러(약 31조 원)에 이르는 예산을 다루는 NIH는 미국 보건의료 연구개발(R&D) 예산의 95%를 운영하며 생명공학 분야의 강력한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일본도 ... ...
[브리지스 서울 2014] 한옥 지붕에도 수학 있다
과학동아
l
2014.07.18
처음 유치했으며 세계수학자대회와 동시에 개최하는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김선빈
국립
과천과학관장은 “브리지스 콘퍼런스가 한국에서 열리는 만큼 한국적인 특징을 살린 수학과 예술 융합 프로그램을 마련하기 위해 고심했다”면서 “일상생활에 녹아 있는 수학을 즐기고 체험하는 기회가 ... ...
1세 아기들 뇌 직접 찍어보니…
과학동아
l
2014.07.15
없는 ‘우~, 우~’ 소리 뿐이다. 아기는 언제쯤 ‘엄마!’라고 말할 수 있을까.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 14일자에는 초보 엄마의 궁금증을 풀어줄 연구 결과가 실렸다. 패트리샤 컬 미국 워싱턴대 박사는 “돌이 되면 아기는 ‘엄마’ ‘맘마’처럼 의미 있는 첫 단어를 말해 기적 같은 ... ...
동식물 직접 탐사하며 가족끼리 미션 수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7.14
친구도 두루 사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캠프는 동아사이언스가 주최하고
국립
생태원과 어린이과학동아,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에쓰-오일 과학문화재단이 주관했다. ... ...
날개만 6m, 세상에서 가장 큰 새
과학동아
l
2014.07.08
미국 브루스박물관 연구팀은 날개 길이만 6~7m나 되는 새 화석을 연구한 결과를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 7일자에 발표했다. 날개 크기에 걸맞게 새의 몸집도 지금까지 발견된 조류 중에 가장 크다. 따라서 화석의 크기도 거대해, 1983년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에서 새 화석을 발굴할 때 ... ...
이전
576
577
578
579
580
581
582
583
5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