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688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미크론 변이, 장기후유증 위험 낮지만 앓는 사람 델타보다 훨씬 많아"
동아사이언스
l
2022.06.17
장기 후유증을 겪는 경우가 나이, 백신 접종 등에 따라 20~50% 낮다는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랜싯’ 이달 18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오미크론 변이 또는 델타 변이에 감염된 영국인 9만여명을 대상으로 장기 후유증 발병 여부를 조사했다. 이들의 데이터는 연구팀이 자체 개발한 영국 코로나19 ... ...
[과기원은 지금] DGIST 연구팀, 혈액 속 암세포 자동 분리장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6.17
위한 기반 기술로 병원에서 바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테라노스틱스에 지난달 1일 공개됐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16일 신약개발회사 ‘펠레메드’가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아기유니콘 200 육성사업’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펠레메드는 김용철 GIST ... ...
혈액세포, 조혈모세포만 만드는 게 아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7
산타카타리나연방대 연구팀은 쥐의 세포 중 혈액세포를 생성하는 세포군을 발견해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이달 15일자에 발표했다. 조혈모세포는 뼈 내부의 그물형 조직인 골수나 태반 내부의 제대혈에 있는 세포다. 수는 매우 적지만 자가 복제와 분화를 통해 체내 모든 혈액세포를 생성한다고 ... ...
코로나 3차 접종, 오미크론에 효과 있지만 일시적...감염으로 형성된 면역력은 1년 이상 유지
동아사이언스
l
2022.06.16
오미크론 변이 감염 예방에 효과적이지만 효과 유지 기간이 짧다는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뉴잉글랜드의학’ 이달 15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카타르에서 지난 12월 23일부터 올해 2월 21일까지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받은 10만4490명을 대상으로 감염과 화이자와 모더나의 mRNA 백신 접종 여부 ... ...
유럽 초토화시킨 흑사병, 중앙아시아에서 시작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6
치아에서 유럽에 퍼진 페스트균의 조상으로 추정되는 균주 DNA를 발견했다고 15일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흑사병은 페스트균에 감염돼 발생하는 인수공통감염병이다. 페스트균을 갖고 있는 쥐벼룩이 옮긴다. 1347년부터 1353년 사이 유럽 전 지역에 수년간 유행해 유럽 인구 30~60%의 ... ...
빛에너지와 양자점 이용해 암모니아 합성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6
질소 고정 박테리아의 암모니아 생산 효율을 대폭 늘리는 데 성공하고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미국 화학회지’ 표지논문으로 게재했다고 16일 밝혔다. 질소 고정은 공기 중 질소 기체 분자를 암모니아 등 질소화합물로 전환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질소 고정 박테리아는 질소 고정 효소를 ... ...
핵융합硏, 플라즈마 이용한 피부 소독제 개발..."코로나19에도 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22.06.16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플라즈마기술연구소 전경. 핵융합연 제공. 국내 연구진이 플라즈마를 활용한 새로운 피부 소독제를 개발했다. 기존 알코올 소 ...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게재됐다 ... ...
코로나19 신규 치료제 개발 중단 우려 커져...임상참가자 모집 ‘난항’
동아사이언스
l
2022.06.14
진행하기 어려워 치료제 개발이 중단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제
학술
지 ‘네이처’는 13일(현지시간) 세계 곳곳에서 백신 접종률이 높아지며 중증 코로나19 환자가 줄어 임상시험에 참가할 수 있는 환자수가 감소해 치료제 개발이 난항을 겪고 있다고 보도했다. 임상시험 등록에 대한 ... ...
국내 연구진, 질병 세포만 쏙쏙 노리는 유전자 가위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6.14
마이크로RNA에 맞게 기술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핵산연구' 지난달 30일자에 온라인으로 선공개됐다. KAIST 연구팀이 개발한 유전자 가위 시스템 모식도다. 유전자 가위(Cas9)에 연결된 특정 염기서열(NES)는 질병 세포의 마이크로RNA가 특이적으로 인식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명의 기원 수수께끼 풀리나
2022.06.14
화학 지식이 없으면 이해하기가 어려워 차마 과학카페로 소개하지 못했다. 그런데
학술
지 ‘우주생물학’ 6월호에 RNA 세계 가설의 또 다른 한계를 극복한 것 같다는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이 실렸다. 이 역시 놀라운 내용이지만 앞의 결과와 달리 이해하는 데 어려움은 없고 생명의 기원 ... ...
이전
577
578
579
580
581
582
583
584
5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