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d라이브러리
"
가능
"(으)로 총 10,271건 검색되었습니다.
빛의 마술봉으로 사라지는 그림
과학동아
l
200104
물과 공기의 장난. 물 속에서 그림이 사라졌다가 나타나기도 한다는데…. 어떻게
가능
한 것일까.투명 플라스틱 컵을 이용한 빛의 트릭왜 그럴까?!눈을 통해 정보를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은 빛이 있기 때문이다. 광원에서 나온 빛이 물체에서 반사돼 눈에 들어올 때 우리는 물체를 볼 수 있다. 그래서 ... ...
생명의 파노라마
과학동아
l
200104
공통점들은 생물의 모든 형태가 약 40억년 전에 시작된 하나의 단세포 생물이라는 추론을
가능
케 한다. 생명체의 미세구조들을 현미경으로 바라보는 것처럼 면밀하게 그려낸 그림은 생물체에 대한 이해를 훨씬 쉽게 만들어준다.책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1장 보편성에서는 모든 생명체들이 지니고 ... ...
농구 막슛 65% 성공률의 비밀
과학동아
l
200103
원핸드 슛은 움직이면서 수비수의 위치에 따라 슛의 방향이나 거리를 바꾸는 일이
가능
하지만, 투핸드 슛의 위치는 이마 바로 위로 제한된다. 투핸드 슛은 수비수가 슈터의 이마 바로 위 20-30cm에 손을 내밀면 쉽게 방해받지만, 원핸드 슛은 슛하지 않는 나머지 손으로 수비자의 블로킹을 막을 수 ... ...
PART 4. 프로펠러 달고 몸 속 누비는 생체기계
과학동아
l
200103
연구가 매력적이라고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최근에 코넬대의 연구팀이 생체분자의 응용
가능
성을 보여주었다. ATPase에 기초한 나노프로펠러를 만든 것이다. ATPase는 모터처럼 돌면서 기능을 수행하는 모터분자다. 즉 ATP의 화학 에너지를 이용해 기계적 일을 한다. 코넬대 연구팀이 개발한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1 인간게놈프로젝트 성공시킨 주인공
과학동아
l
200103
감사를 표했다. 만약 이들이 개발한 게놈 분석 기술이 없었다면 인간게놈프로젝트는 불
가능
했기 때문이다. 생어박사는 2000년 6월에 인간게놈 초안이 공개됐을 때 “이렇게 빨리 완성될 줄은 생각지도 못했다”고 놀라워했다.한편 민간 바이오벤처 셀레라는 홀로 인간게놈을 해독하는데 성공했다.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4 다국적팀과 셀레라의 팽팽한 '신경전'
과학동아
l
200103
연구기관들에 돈을 받고 팔 계획이다. 자신들이 발견한 유전자에 특허권을 얻음으로써
가능
한 일이다. 그런데 2000년 2월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은 “앞으로 두달 이내에 내 인생에서 가장 영광스러운 발표를 하게 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바로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완성이었다. 그 발언의 결과는 6월 ... ...
킥보드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0103
있다. 킥보드를 타면 걷는 것보다 적은 에너지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그런데 이것이
가능
한 이유는 킥보드가 바퀴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바퀴로 된 것은 어떻게 적은 에너지로도 멀리 갈 수 있는 것일까. 굴러가는 바퀴의 운동을 살펴보자. 이때 바퀴의 움직임을 두가지로 나눠 생각하면 ... ...
비타민 C는 만병통치약인가
과학동아
l
200103
되도록 조리하지 않고 섭취해야 하며, 데치거나 찜 등 물을 사용해 조리하는 경우에는
가능
한 소량의 물을 사용한다. 또한 전자레인지를 사용할 때는 되도록 짧은 시간 동안 조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선한 주스는 냉장고에 보관하되 2일 이상 보관치 않도록 하며, 일단 자른 과일과 야채는 물과 ... ...
'사이빌'에 등장한 16개 인격체 가진 여성
과학동아
l
200103
않다. 다만 강한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좀더 공격적인 자아가 등장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가능
성은 언제나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다중인격자는 해리성 정체성 장애라는 정신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이기 때문에, 그 상태에서 저지른 범죄에 대해서는 법적 책임을 묻기 어렵다. 그래서 프라이멀 ... ...
나노과학
과학동아
l
200103
21세기 주요 과학기술 분야 중 하나로 꼽히는 나노. 인간이 정복하지 못한 원자와 분자 단위의 양자역학이 지배하는 극미세 세계다. 그래서 인간에게 무한한
가능
성을 보여주는 듯하다. 반도체의 고집적화, 꿈의 신소재, 그리고 나노생명기계 등의 문제를 풀어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이전
578
579
580
581
582
583
584
585
5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