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만약 이산화탄소가 물에 녹지 않는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변동에 의해서 지상에 올라와 석회석으로 발견돼 시멘트의 주원료가 된다.백묵은 거의 대
부분
이 탄산칼슘이다.한 자루의 백묵에도 태초 지구의 대기에 들어있던 이산화탄소가 들어있는 것이다 ... ...
현상공모 유전자 개수를 맞춰라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그 숫자는 더 작아진다고 주장했다. 두 염기서열을 비교해서 동일한 유전자가 포함된
부분
을 찾아내는 형식으로 계산했더니 인간의 유전자 개수는 2만7천7백-3만4천3백개로 추정됐다. 미국 워싱턴 대학의 필 그린 박사 역시 이와 유사한 수치를 제시했다. 심지어 미국 국립 인간게놈 연구소의 콜린스 ... ...
3. 유전자가 여는 디스토피아?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규제하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돼야 할 것이다.맞춤인간의 등장암, 노화, 치매 등 대
부분
의 질병은 유전자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이 하나둘씩 밝혀지고 있다. 인간게놈프로젝트가 완성되면 유전자와 관련된 이러한 질병치료의 새 장이 열릴 것이다. 그래서 정형외과나 내과와 같은 의학의 한 분야로 ... ...
③ 정보통신 : 남쪽 기술과 북쪽 인재의 결합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사용하려면 표준화가 선행돼야 한다. 그래서 통일을 준비할 때 제일 먼저 생각해야 할
부분
이 한글코드 같은 정보처리분야의 표준화다.이런 인식으로 민간 차원에서 1994년부터 1996년까지 3년간 ‘코리안 컴퓨터처리 국제학술회의’(ICCKL)을 개최해 남북간의 정보처리 분야의 표준화 모색을 시도했다 ... ...
1. 인간 유전자는 몇개인가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유전자라는 수치는 이미 알려진 DNA 염기서열과 단백질 데이터베이스에서 서로 연결되는
부분
을 뽑아내고, 여기에다 유전자 예측 프로그램을 가동시켜 얻은 결과 등을 합해 도출된 것이다. 그러나 현재의 데이터베이스 양과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능력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유전자 개수가 더 ... ...
대머리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진행된 탈모증의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자라고 있는 뒷
부분
의 모발을 떼어내어 탈모된
부분
에 이식하는 수술로 치료할 수 있다. 이때 이식하는 것은 머리털만이 아니라 모근과 모유두를 포함한다. 이식한 머리카락은 영양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수술 후 2-4주 사이에 거의 다 빠진다. 그렇다라도 ... ...
전문가로 똘똘 뭉친 한국의 리눅스 벤처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한글리눅스 배포판인 알짜리눅스 개발로 유명한 이만용 기술이사가 리눅스코리아의 기술
부분
을 총지휘하고 있다. 이만용 이사는 국내 리눅스 사용자들에게는 가장 신뢰를 받고 있는 인물.또 알짜리눅스를 개발했던 멤버들이 각자 해외 유닉스벤더 회사에서 3-4년간씩 경험을 쌓고 모두 ... ...
한국의 공룡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개이다. 모든 발자국들은 원형의 윤곽을 가지고 있으며, 발자국 내부에는 위로 솟아오른
부분
이 별모양으로 불규칙하게 나타난다. 이들은 발자국 중심에서 방사성으로 뻗어나가는 공통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다.발굴된 발자국은 모두 용각류의 앞발자국이며 단 한개의 뒷발자국도 남겨져 있지 않다. ... ...
파도와의 절묘한 만남, 서핑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해변 쪽으로 곧바로 향해서 파도를 타게 되면 속력이 빨라져 파도언덕의 거의 바닥
부분
에 다다르게 된다. 파도언덕의 경사면에 비해 서퍼의 진행을 방해하는 저항력이 충분히 크지 않아 서퍼가 경사각이 작아지는 골 근처까지 미끄러지기 때문이다. 서퍼는 파도언덕의 골을 향해 미끄러지고 이때 ... ...
모차르트 음악이 아름다운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짜여진 부드러운 전개(질서) 속에서 편안함을 느끼면서, 동시에 새롭고 예측하지 못했던
부분
이 주는 참신함을 즐긴다. 어려운 곡의 경우, 많이 들어보고 나름의 질서를 파악하고 나면 좋아지게 되는 것도, 또 아무리 좋은 곡도 많이 들으면 싫증이 나는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다. 1/f 음악은 불규칙한 ... ...
이전
578
579
580
581
582
583
584
585
5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