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d라이브러리
"
정도
"(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밀림을 잃은 동물 왕국 - 마다가스카르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나가야 한다. 보통 20km를 나가야 큰 고기를 잡을 수 있지만, 이렇게 파도가 셀때는 1km
정도
밖에 나가지 못한다. 그나마 배가 없는 여인들은 그물을 안고 물속에 뛰어든다. 한 번 들어갔다 나오면 멸치 크기의 작은 생선 몇 마리를 건질 수 있다. 인도양 너머로는 아무 것도 보이지 않는다. ... ...
비·커피·만년필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0.05mm)이고 종이에 옮겨지는 잉크 필름의 두께는 5μm라고 했다(이 밖에 종이의 거친
정도
와 잉크의 표면장력, 점도 값도 필요하다). 1초에 5mm 속도로 펜을 움직일 때 수식에 대입하면 선의 두께가 0.82mm가 나온다. 실제 만년필로 선을 그렸을 때 측정한 두께는 0.7mm로 이론값과 꽤 가깝다.한편 펜촉을 ... ...
진돗개는 과학적으로도 ‘한국 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9호
품종의 게놈과 비교했더니 유전적으로 0.2%
정도
다르게 나타났어요. 사람이 인종끼리 0.1%
정도
다른 것에 비하면 큰 차이랍니다. 연구팀은 사람들이 개를 인위적으로 교배하며 품종개량을 많이 해왔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어요 ... ...
태양은 완벽에 가까운 ‘구’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겨우 1700만 분의 1m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사람의 머리카락 한 개의 지름도 안 되는
정도
로 작은 크기다. 그만큼 태양은 거의 완벽에 가까운 구의 모양을 하고 있었다.쿤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11년 흑점주기에 따라 태양을 구성하는 다른 모든 것은 변할 수 있지만, 그 모양만큼은 변하지 ... ...
많으면 많을수록 더 좋을까?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거르고 가지만, 몇 접시 먹지 못하고 안타깝게 뷔페를 나선 경험이 있을 것이다. 어느
정도
먹은 이후에는 한 접시를 더 먹을수록 만족감이 떨어져 더 이상 먹을 수 없기 때문이다.그렇다면 뷔페에서 어떻게 먹어야 가장 큰 만족감을 얻을 수 있을까? ‘한계효용 균등의 법칙’에서 답을 찾을 수 있다 ... ...
버터 vs 마가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버터와 마가린, 어떤 것이 더 좋을까?버터와 마가린은 열량과 지방이 거의 같을
정도
로 서로 많이 비슷해요. 그러나 버터는 마가린보다 맛이 더 풍부하고 좋아요. 하지만 많이 먹으면 뚱뚱해지거나 혈관이 막히는 병에 걸릴 수 있는 콜레스테롤이 많답니다. 그럼 마가린이 더 좋을까요? 그렇지 ... ...
[시사] 배트맨 VS 스파이더맨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10억 개의 미세한 플라스틱 섬유로 만들어졌다. 각각의 섬유의 지름은 약 1마이크로미터
정도
이며, 게코도마뱀 발바닥을 덮고 있는 솜털 구조를 닮았다. 각각의 섬유는 탄소나노 튜브를 수억 개 꼬아 만들어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세다. 탄소 나노 튜브는 탄소 6개로 이루어진 육각형이 서로 연결 돼 관 ... ...
Part 2. 엄마가 되면 뇌는 더 똑똑해진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한 번 잠들면 누가 업어 가도 몰랐을
정도
였죠. 그런데 지금은 아이의 조그만 ‘앵’ 소리에도 잠이 깨답니다. 옆의 남편은 쿨쿨 자고 있는데 말이죠.”(3살 딸을 둔 30세 여성)“아이 둘을 키우다보니 매 순간마다 머릿속에서 자연스럽게 시간을 분배하는 습관이 생겼습니다. 처녀 때는 엄두도 못 ... ...
PART 3. 전기차보다 하이브리드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자동차와 전기 자동차 또는 연료전지자동차를 이어줄 과도기적 단계로 기껏 몇 년
정도
인기를 누릴 것으로 생각했던 시절이 있었다.그러나 전기자동차의 한계가 생각보다 커지고, 하이브리드 기술이 발달하면서 의외로 한동안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친환경 자동차의 대명사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 ...
[변신] 일곱 손가락과 여덟 발가락 문제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그림을 떠올렸다. 처음 봤을 때 팔레트와 붓을 쥔 손가락이 부자연스러울
정도
로 많다고 느꼈다. 단 두 개의 손가락이 더 있을 뿐인데 말이다. 숫자를 좋아하는 사람을 위해 백분율로 표현하면 100%의 손가락이 아니라 140%의 손가락이다. 40% 차이지만, 오랜 역사 동안 사람들은 이를 구분해왔다. ... ...
이전
578
579
580
581
582
583
584
585
5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