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뉴스
"
대학
"(으)로 총 10,338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게시판]서울대치과병원-두산, 미얀마 양곤 의료봉사
동아사이언스
l
2019.12.04
제6회 암센터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태경 암센터 소장의 ‘다학제 진료의 소개: 한양
대학
교병원 암센터의 최신 현황’에 대한 주제발표로 시작되는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총 3개의 세션에서 10여 명의 암센터 의료진들이 연구 발표와 토론을 진행할 예정이다. 첫 번째 세션은 정원상 흉부외과 교수와 ... ...
[미래융합포럼]과학을 새롭게 정의하는 난제 연구에 5년간 460억 투자
동아사이언스
l
2019.12.04
접근하는 연구 사업이다. 성창모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책연구소장(고려대 그린스쿨
대학
원 특임교수)은 4일 서울 동대문구 JW메리어트 동대문스퀘어에서 열린 ‘2019 미래융합포럼’에서 과학난제 도전 융합연구개발사업에 도전할 만한 과제 예시를 소개했다. 성 소장이 첫 번째로 소개한 ... ...
최기영 장관 "비전임 연구자 주도 연구단 설립 가능해질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12.03
연구기관에 맞춰 간접비도 별도로 지급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대학
내에 박사후연구원이 산업혁신형 연구개발(R&D)을 수행하는 대규모 연구단을 구성, 지원할 수 있는 ‘혁신성장 선도 고급 연구인재 성장지원’ 사업도 실시할 계획이다. 내년에 수소경제와 바이오, ... ...
대학
원생 지원 'BK21' 예산 1.5배 확대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3
질적 발전을 이끌고 연구중심
대학
으로의 개편을 도왔다는 평을 듣는다. 실제로 한국
대학
의 SCI급 논문 참여 교수 수는 1999년 4392명에서 2017년 2만 4968명으로 5배 이상 늘었다. 참여 학생 수는 2013년 1615명에서 2017년 1만 3687명으로 8배 이상 늘었다 ... ...
지구온난화로 죽어가는 산호초 살리는 물고기들
연합뉴스
l
2019.12.03
것이 자연적인 산호 복원을 촉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엑시터
대학
제공 동영상 화면 캡처] AIMS의 어류학자 마크 미칸 박사는 "죽은 산호초 주변에 물고기를 모은다고 해서 자동으로 살아나는 것은 물론 아니다"라면서 "그러나 물고기들이 산호초 주변을 깨끗이 하고 산호가 ... ...
홍대식 연세대 공대 학장, IEEE 석학회원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9.12.03
연세대 공과
대학
장(전기전자공학부 교수). 연세대 제공 홍대식 연세대 공과
대학
장(전기전자공학부 교수)이 국제전기전자학회(IEEE) 석학회원으로 선정됐다. 2일 연세대에 따르면 홍 학장은 통신네트워크 직교주파수분할(OFDM) 자원 관리 분야 전문가로 ‘무선 셀룰러 통신 기술’ 개발에 기여한 ... ...
태양전지 효율 이론 한계 뛰어넘을 가능성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2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이영희 나노구조물리연구단 단장 연구팀이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대학
과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를 통해 빛에너지에 비례해 전류가 늘어나는 ‘캐리어 증폭’ 현상을 2차원 물질에서 최초로 관찰하고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2일자(현지시간) ... ...
[대한민국 산업기술 100장면] 1960~1970년대 과학기술 연구기관-인재 인프라 마련
동아사이언스
l
2019.12.02
입주시켰다. 1971년에는 공학기술 분야 고급 인재 양성을 위해 이공계 특수
대학
원인 한국과학원(KAIS·현 KAIST)이 설립됐다. 1972년에는 한국 최초의 공업단지인 '울산 석유화학단지'가 설립됐고, 1973년에는 '중화학공업 육성 정책'과 '산업기지 개발 촉진법'이 제정됐다. 같은 해 '포항제철의 제 1고로 ... ...
[대한민국 산업기술 100장면] 근대~1950년대 일제 강점기와 전후 시련 극복한 과학기술의 맹아
동아사이언스
l
2019.12.02
과학기술 인재 양성의 초석이 됐던 ‘미네소타 프로젝트’는 서울대와 미국 미네소타
대학
교의 협정 체결 장면으로 100대 장면에 선정됐다. 기술연구소의 시작을 알린 ‘원자력연구소’는 현재 한국원자력연구원의 모태다. 최초의 연구용 원자로 ‘트리가 마크 투’ 건설 기공식 장면은 1959년 ... ...
줄기세포·유전자 교정 연구성과 한눈에 살펴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2
기획됐다. 생명연 제공 오전에 진행되는 오프닝 세션에서는 김성훈 서울대 융합기술
대학
원 교수가 ‘인간단백질합성효소를 중심으로 하는 질병 치료, 바이오마커 개발 경과와 기초연구성과 신약개발까지의 과정’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한다. 점심시간 동안 진행되는 ‘런천 심포지엄’에서는 ... ...
이전
578
579
580
581
582
583
584
585
5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