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문
과제
퀴즈
물음
수수께끼
제목
목표
d라이브러리
"
문제
"(으)로 총 13,165건 검색되었습니다.
근육로봇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하나는 아래 위로 움직이게 조절하고, 하나를 더 붙이면 회전까지 조절 할 수 있다.
문제
는 무게였다. 작은 파리에 엑추에이터가 무려 4개나 달려있기 때문이다. 이 무게 때문에 파리로봇은 결국 날지 못했다.하지만 미국 하버드대의 로버트 우드 교수팀이 개발한 파리로봇은 비행에 성공했다. 우드 ... ...
Part 1. 70억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인구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예측을 내놓기도 했다. 자원이 인구를 충분히 충족시킬 수 없으니 어쩔 수 없이 사회적
문제
가 오리라는 예상이었다. 오늘날 이 예측은 틀린 것으로 밝혀졌지만, 인구가 지구 자원의 한계를 언제든 넘을 수 있다는 인식은 여전히 남아 있다.인류가 사용하는 자원, 에너지 양을 토지면적으로 환산한 ... ...
Part 4. 미래 100억 지구의 적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2011년초 구제역으로 400만 마리 이상의 가축을 속수무책으로 살처분한 경험이 있다.
문제
는 가축 전염병에서 인수공통전염병(사람과 동물이 같이 걸리는 전염병)이 나올 수 있다는 사실이다. 이런 우려는 2003년 태국 방콕에서 조류에서 사람에게 전염된 H5N1형 조류 인플루엔자의 첫 사례가 나오며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이뤄지는 것이다. 김 교수는 “이 기술을 초고집적 의료센서에 응용하려면 해결해야 할
문제
가 있지만, 성공한다면 많은 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다”고 말했다.[➊ 김봉수 교수 연구팀이 한자리에 모였다. ➋ 김 교수팀이 개발한 금나노선의 모습. 병원체를 진단하면 오른쪽과 같은 모습(➌)이 ... ...
“지금 안 막으면 사방이 가시박 천지가 됩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다른 식물들을 괴롭히고 있다. 그런데 덩굴식물은 예전에도 있었는데 왜 최근에 이렇게
문제
가 될까.“정상적인 생태계라면 덩굴식물이 이렇게 번창하지는 못합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온 국토가 개발 열풍에 시달리다 보니 생태적으로 취약한 곳이 많아졌어요.”예를 들어 4대강 공사로 파헤쳐진 ... ...
1973년 허버트 보이어 교수의 제한효소를 이용한 재조합DNA 실험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대서특필했다. 즉 개구리의 DNA가 들어가도
문제
가 없다면 사람의 DNA(유전자)가 들어가도
문제
가 없다는 뜻이다.많은 사람들이 바로 주목한 건 사람의 인슐린 유전자다. 당뇨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인슐린이 쓰이기 시작한 건 1920년대부터다. 인슐린이 혈당을 낮추는 호르몬이라는게 밝혀진 뒤 소나 ... ...
유비쿼터스(Ubiquitous) 시대가 왔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방어체계가 취약해 이러한
문제
가 발생한다. 또한 사생활 보호가 안된다는 것도 큰
문제
점이다.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네트워크에 접속해 우리가 무얼 하고 있는지 어디에 있는지 모든 사생활이 다 드러날 수 있다. 모든 사람으로부터 나도 모르게 감시를 당하고 있는 사회가 될 수도 있다. 그리고 ... ...
[1월] 과동 데스크의 썰 說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주제가 없는 기사는 메시지가 없다. 또 스마트폰 사용자가 늘어나고 개인정보보호
문제
가 심각해지는 현상을 뒷받침하는 자료가 부족하다. 오히려 ‘스마트폰이 진정한 유비쿼터스 시대를 만들었다’는 주제를 정하고 뒷받침할 자료를 취재(수집)해 기사를 전개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 ...
Part1. 2049 인류 최초 화성 기지 '웰즈'의 기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새로운 집의 따뜻함을 느끼게 해주기 위해서였다.오랫동안 우주여행을 하면 여러 가지
문제
가 생긴다. 외부에서 자원을 공급받을 수 없으니 물과 공기, 노폐물 등을 최대한 재활용해야 한다. 무중력 상태의 좁은 공간에서 오래 살아야 하는 승무원의 건강과 인간관계, 심리적 안정을 유지하는 일도 ... ...
유리처럼 투명한 각막 유전자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이 사실을 밝혀내는 데 FoxC1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긴 쥐를 사용했다. 이 유전자에
문제
가 있는 쥐의 각막에는 혈관이 비정상적으로 발달해 더 이상 앞을 볼 수가 없었다. 큠 교수는 FoxC1 유전자가 쥐 각막 내 혈관 발달을 막는 ‘수비수’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FoxC1 유전자는 쥐 뿐만 아니라 ... ...
이전
579
580
581
582
583
584
585
586
5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