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시
같은시기
동기
뉴스
"
같은시간
"(으)로 총 8,668건 검색되었습니다.
놀이야? 체험으로 배우는 수학이야! '수와북 연구소'
수학동아
l
2018.10.08
독자 여러분은 수학 공부를 어떻게 하나요? 교과서에 나온 개념 위주로 관련된 문제를 푼다고요? 이것만큼 전통적이며 확실한 공부법도 없지요. 그런데 가끔은 놀이하듯 공부하면 조금 더 수학이 재밌어질 것 같습니다. 때마침 흥미로운 방법으로 수학을 공부하는 곳이 있다는 소문을 들어, 수학 ... ...
[표지로 읽는 과학] 농부,어부도 참여하는 '공유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18.10.06
마다가스카르섬에 사람들이 어떻게 터전을 잡고 살았는지 연구하는 인류 역사학자나 기후 변화의 영향을 알기 위해 열대의 맹그로브 숲을 조사하는 기후학자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현장에서 보낸다. 연구 대상 지역에서 살아가는 주민의 삶속으로 직접 뛰어들지 않으면 알아내기 어려운 것들이 ... ...
지구사랑탐사대 어벤져스 '앤트맨'과 함께 숲속 개미 찾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0.05
시원한 가을바람이 불기 시작한 지난 9월 1일, 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이 동민수 연구원과 함께 춘천 김유정역 근처에 있는 작은 산속으로 향했어요. 이곳에 숨어 있는 작은 개미 친구들을 만나기 위해서였지요. 지구사랑탐사대의 첫 개미 탐사에서 대원들은 어떤 개미들을 만났을까요? 개미를 ... ...
태양계밖 8000광년 외계위성 추정 천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10.05
가스행성 '케플러-1625b'와 주위를 도는 위성으로 추정되는 '케플러-1625b-i' 태양계 밖 외계에서 지구의 달처럼 행성 주위를 도는 ‘위성’이 처음으로 발견됐다. 지구의 달과 같은 위성은 태양계 내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화성은 데이모스와 포보스 2개의 위성을 거느리고 있다. ... ...
불거진 가짜 학술대회 논란에 ‘부실학술활동 예방 가이드’ 마련
동아사이언스
l
2018.10.04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연구자 중 상당수가 국가 연구개발(R&D) 사업비를 이용해 가짜 학술대회에 참석한 것으로 드러난 가운데, 정부가 이 같은 부실 학술활동을 예방하기 위해 연구기관과 연구자가 준수해야 할 가이드를 마련했다. 한국연구재단은 4일 연구재단 과제에 참여하는 연구 기관과 연 ... ...
올해 노벨상 받은 광학집게로 신개념 광다이오드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04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한국 과학자가 올해 노벨상을 받은 광학집게 기술로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범용 광다이오드를 처음으로 개발했다. 지금까지 광통신에서 사용되는 광다이오드는 좁은 주파수 대역별로 별도로 사용해야 했지만 이 기술을 활용하면 하나의 소자만 사용해도 된다. ... ...
인간에 이로운 단백질공장을 만들다…효소·항체설계자 3인에 노벨화학상(재종합)
2018.10.03
프랜시스 아놀드·조지 스미스·그레고리 윈터- 노벨위원회 올해 노벨 화학상은 생체 내 단백질인 효소와 항체를 공학적으로 ‘디자인’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방법을 개발한 세 명의 생화학자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화학상 선정위원회는 3일 프랜시스 아놀드(62) 미국 캘리포니아공 ... ...
"빛을 도구로 쓰는 인류의 탄생”…노벨물리학상 발표현장 이모저모
과학동아
l
2018.10.03
노벨상 발표를 기다리는 취재진들 - 노벨위원회 제공 올해 노벨물리학상은 빛으로 만든 도구를 인류에게 선사한 세 명의 과학자들에게 돌아갔다. 이들의 헌신과 아이디어 덕분에 인류는 눈에 보이지 않는 세포를 움직이고 시력을 교정하며 분자에서 일어나는 찰나의 순간을 눈으로 볼 수 있게 됐다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레이저 기술 혁신 가져온 3人
2018.10.03
이병호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레이저 물리학 분야에서 혁신적 발명으로 평가받는 두 분야에 주어졌다. '광학집게(광 핀셋)'와 이를 생물학 연구에 이용할 수 있게 한 아서 애슈킨 미국 벨연구소 박사(96)와 에너지가 크고 매우 짧은 광 펄스를 생성하는 기술을 개발한 제 ... ...
‘레이저 정밀기기 산파’ 노벨 물리학상, 3명 공동수상… 55년만에 여성도 영예
동아사이언스
l
2018.10.03
96세 美 애슈킨, 역대 최고령 수상 나노기계 쓰이는 ‘광학 집게’ 개발 佛 무루-캐나다 스트리클런드, 고출력 빔 개발 라식수술 등 활용 올해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들. - 노벨위원회 제공 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레이저를 이용해 매우 작고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를 손상시키지 않고 정밀하게 제어 ... ...
이전
579
580
581
582
583
584
585
586
5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