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뉴스
"
발견
"(으)로 총 10,19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은 예술로 통한다' 작품으로 다시 태어난 빅뱅머신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인류 역사상 최대 과학 실험장치로 2012년 7월에는 '빅뱅의 증거'인 힉스 입자의 흔적을
발견
하는 공을 세웠다. 이 공로로 뮤온압축솔레노이드(CMS) 연구팀은 2013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소속 과학자이자 예술가인 마이클 호치는 평소 일반인들이 접근하기 힘든 LHC의 ... ...
두 개의 태양 뜨고 지는 케플러-47에서 세 번째 행성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고 밝혔다. 결국 이번에 두 행성 사이 궤도에서 별을 공전하고 있는 케플러-47d를
발견
했다. 이 행성은 지구보다 7배 크며 케플러-47b와 케플러-47c보다도 각각 3.1배, 4.7배 더 크다. 하지만 세 행성의 밀도는 모두 토성보다도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토성은 태양계에서 밀도가 가장 낮은 행성이다. ... ...
뇌에 초음파 쏴서 의사결정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교수는 “의사를 결정하는 데 있어 뇌 앞부분 대상 피질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발견
한 것과 뇌 속 정확한 위치에 초음파 자극을 가해 뇌 활동을 변화시킨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며 “초기 단계이고 임상 실험도 거쳐야 하지만 치료에 이용될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말했다 ... ...
면역질환 유발 단백질 알고보니 DNA 복구도 조절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6
아주대 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생체 내 유전자 손상을 인식하고 복구하는 조절시스템을
발견
했다고 16일 밝혔다. 연구팀이 규명한 것은 DNA 이중가닥이 끊어져 손상됐을 때 이를 인지해 복구를 촉진하는 ‘펠리노1(Pellino1)’ 단백질의 작용이다. 펠리노1 단백질은 기존에 면역체계 형성이나 암 ... ...
백두산 지진 지난해 2배 늘어…"서울도 영향권 공동연구 서둘러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4.15
내려오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실제 역사 기록에는 이와 유사한 기록도
발견
됐다. 윤 교수는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1654년 함경도 쪽에서 비린내가 나는 연기가 북쪽에서 한양으로 내려왔다는 기록이 있다”고 말했다. 화산 분출로 인한 가스가 한양까지 내려왔다는 기록이다. ... ...
화성産 첫 와인은 화이트 와인
동아사이언스
l
2019.04.15
나라로도 알려져 있다. 조지아에서는 와인이 묻어 있는 기원전 6000년경의 점토 항아리가
발견
됐다. 인류가 와인을 즐겼다는 최고(最古)의 기록이다. 조자아(옛 그루지아)가 화성에서 와인 양조용 포도를 기르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고 전했다. 조지아 비즈니스앤테크놀로지대와 조지아 ... ...
하와이에서 촬영된 거대 상어
팝뉴스
l
2019.04.14
제공 미국의 다이버들이 거대한 백상아리를
발견
촬영하는 데 성공해 화제다. 최근 인스타그램에서 화제가 된 위 사진은 유명 다이버인 오션 램지의 팀이 촬영한 것으로 미국 하와이의 군항 펄하버에서 인근의 바다에서 타이거 상어를 관찰하던 중 우연히 포착한 백상아리의 모습을 담았다. 이 ... ...
AI, 과학 학술서적 썼다…저자명은 '베타 라이터'
동아사이언스
l
2019.04.14
작성했다. 하지만 아직 AI 저자와 편집자는 완성도가 다소 떨어진다. 어색한 내용이 다수
발견
되는 등 아직 일부분에서 한계가 드러났다. 헤닝 쇼넨버그 스프링거 네이처 생성자료 및 메타데이터 담당자는 리튬 이온 배터리를 주제로 선정한 이유에 대해서 “지난 3년간 5만 3000개 이상의 리튬이온 ... ...
[표지로 읽는 과학]인간 몸은 우주에서 어떤 변화를 겪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4.14
지구 귀환 뒤 평균 수준으로 돌아왔다. 하지만 정상보다 길이가 짧은 텔로미어도
발견
됐다.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장내미생물 중 피르미쿠테스와 박테로이데테스의 비율을 분석한 결과 ISS 체류 기간 피르미쿠테스가 증가했다. 하지만 지구로 돌아온 뒤에는 박테로이데테스가 늘어 우주여행 전 ... ...
[표지로 읽는 과학] 아시아에서 나온 새로운 인류의 이빨
동아사이언스
l
2019.04.13
칼라오 동굴에서 이빨 이외에도 손가락뼈, 다리뼈 등 인류화석 13점을 분석해 새 인류를
발견
했다고 네이처에 11일 공개했다. 성인 두 명, 어린이 한 명에서 나온 치아 7개와 손뼈 두 개, 발 뼈 세 개, 넓적다리뼈 하나를 분석한 결과다. 연구팀은 지역의 이름을 붙여 ‘호모 루소넨시스’라는 이름을 ... ...
이전
579
580
581
582
583
584
585
586
5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