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모양
윤곽
외형
형식
생김새
폼
뉴스
"
형태
"(으)로 총 6,445건 검색되었습니다.
“2020년까지 그래핀 핵심기술 85개 확보”
2015.04.07
국가과학기술심의회’에서 이 방안을 확정했다. 그래핀은 탄소로 이뤄진 육각형 격자
형태
의 2차원 구조다. - 위키피디아 제공 흑연의 한 층인 그래핀은 구리보다 100배 이상 전기가 잘 통하고, 반도체로 주로 쓰이는 실리콘보다 100배 이상 전자의 이동성이 빠르다. 강도는 강철보다 200배 이상 ... ...
빛으로 수소 만드는 효율 7배 높였다
2015.04.06
탄소나노소재로 코팅했다. 그래핀은 육각형 모양의 탄소원자 배열이 그물처럼 연결된
형태
이며, 풀러렌은 탄소원자가 축구공 모양의 구조를 이루고 있는 소재로 전자를 잘 이동시킨다. 탄소나노소재로 산화아연을 코팅한 결과 탄소나노소재가 산화아연 표면에 있는 산소 원자와 결합하면서 ... ...
성인 절반 분노조절 장애, 10명 중 1명은 치료 필요...혹시 나도?
동아닷컴
l
2015.04.06
분노 폭발형은 흔히 말하는 다혈질 스타일로, 도저히 화를 참을 수 없어 분노가 폭발하는
형태
로 표현된다. 습관적 분노 폭발형은 목소리 크면 이긴다는 스타일로, 분노 표출이 효과적이었던 경험을 통해 시간이 갈수록 분노 표출 빈도가 많아지는 경우다. 또 다른 분노조절장애 증상으로는 부당함의 ... ...
움직이는 ‘로봇 재료’가 온다
2015.04.03
색 변해 로봇 재료의 원조는 ‘스마트 재료’다. 스마트 재료는 주위 환경에 따라 재료의
형태
나 색깔 등 특성이 바뀌는 소재를 말한다. 구부러지거나 휘어져도 특정한 온도가 되면 원래 모양으로 돌아가는 형상기억합금이나 온도가 변하면 색도 따라 변하는 시온(示溫) 잉크 등이 스마트 재료에 ... ...
목발 대신 ‘외골격 로봇’ 신어 보세요
2015.04.02
걸으면 인체 에너지의 약 7%를 덜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은 적은 양이지만 비슷한
형태
의 동력을 이용하는 보조 장치와 큰 차이가 없는 수치다. 콜린스 교수는 “동력 없이 인체 에너지 소비를 줄여 주는 외골격 장치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에너지 효율을 더 높일 수 있을 ... ...
“오늘 내가 아낀 전기세는 얼마?”
2015.04.01
휴대전화가 신호를 주고받고 사용자 위치를 파악해 불필요한 곳의 전기를 절약하는
형태
다. 또 콘센트마다 개인별 전력사용량을 측정해 무선으로 전송하는 스마트 유틸리티 네트워크(SUN) 칩이 탑재됐다. 엘리베이터 대신 계단을 이용하면 계단 인근 신호기가 개인의 동선을 파악해 엘리베이터 ... ...
이슬 머금었다 짜내는 동자꽃의 지혜
2015.03.31
구조를 가진다(A). 하지만 건조한 상태에서는 뒤틀리며(B), 수분이 다시 닿으면 원래의
형태
로 복원된다(C). - Applied Physics Letters 제공 일본 연구진이 건조한 기후에 사는 식물이 공기 중에 있는 수분을 쉽게 흡수하고 방출하는 원리를 최초로 규명했다. 이러한 특성을 모방하면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할 ... ...
반사경이 반짝반짝! 표준연구원 우주광학센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3.31
“GMT는 8.4m짜리 주경 7장을 꽃잎처럼 붙여서 사용해요. 부경 역시 주경과 똑같이 꽃잎
형태
를 하고 있지요. 그래서 중앙 거울을 제외한 나머지 거울은 모두 곡면을 비대칭으로 깎아야 해요. 친구들이 본 부경이 바로이 비대칭 거울이에요. 거울 7장이 연결돼 매끄러운 곡면을 이루도록 세심하게 ... ...
일부다처제 동물일수록 ‘마초 유전자’ 강하다
2015.03.30
깃털, 사자의 갈기는 암컷을 유혹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존에 다소 불편한
형태
이지만 번식에 유리할 경우 진화에 성공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성선택설’의 대표적인 사례다. 최근 이를 뒷받침할만한 연구 결과가 새롭게 나왔다. 주디스 마크 영국 런던대 진화비교생물학과 ... ...
이제 과학도 요리가 대세?
2015.03.30
흰자도 반투명하고 흐물흐물하지만 70도에서는 대부분에서 변성이 일어나 백탁에 단단한
형태
가 된다는 것. 그러나 이런 개괄적인 설명만 할 수 있을 뿐 온도에 따라 구체적으로 어떤 단백질들이 변성되고 다시 뭉쳐지는가는 아직 모르는 상태다. 2_젤화제 같은 기능성 식재료나 진공회전농축기 ... ...
이전
579
580
581
582
583
584
585
586
5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