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설치류로부터 배우는 것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부부의 연(緣)을 맺을 것을 진지하게 생각할 때, 방사선 사진을 찍거나 바소프레소
양
을 검사할 것을 고려하게 될 이후의 발전이 무척이나 기다려진다. 이것과 관련해서 생각나는 것은 우리가 자식을 키우는데 암컷과 수컷 모두가 동등하게 열심히 일하는 북미산 들쥐를 본받는 것이 현명하다는 ... ...
화학- 물위에 물 쌓기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합니다. 무지개를 시험관 안에 가두어 두려면 이만한 정성은 들여야겠죠?설탕의
양
에 따라 밀도가 달라진다는 사실, 바로 이것이 물 위에 물을 쌓아 무지개 물탑을 만들 수 있게 하는 열쇠랍니다. 밀도는 액체만 가질 수 있는 성질이 아닙니다. 고체 기체 모두 밀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고체 ... ...
PART.1 CD-ROM, 이렇게 움직인다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완전히 다른 방식을 취하고 있다. 먼저 디스크에서 트랙은 디스크의 원형과 같은 다
양
한 크기의 동심원이 그려지고 가운데의 원점에서 매 각도마다 섹터가 나누어지므로 동심원의 안쪽일수록 섹터의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이에 반해 CD-ROM은 크기가 다른 여러개의 중첩된 동심원이 아니라 소라의 ... ...
테제베 일반철도와 무엇이 다른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단면적)TGV : 100㎡교량열차가 교량 위를 시속 2백㎞ 이상 고속주행하면 교량에는 상당한
양
의 상하진동, 수평진동 비틂진동 및 충격이 발생한다. 따라서 고속철도에는 횡·종방향 강성 및 비틂강성이 크고 하중 분배능력이 우수한 교량을 사용해야 한다. 이에 가장 적합한 교량이 PC(Prestressed Concrete ... ...
장님 눈뜨는 시대 곧 온다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난원창은 대단히 크게 진동한다. 난원창은 와우각(蝸牛殼)의 입구이다. 달팽이 모
양
의 완두콩만한 와우각 안에는 청각 수용기가 들어 있다. 등골이 난원창 위를 누를 때 와우각을 가득 채운 액체 안에서 압력파가 생성된다. 압력이 높을 때는 와우각의 뒷문에 해당되는 정원창에 의하여 경감된다. ... ...
PART.2 멀티미디어 첨단 기술에 관심집중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네트워크 기술의 향상이 불가피하다. 그것은 실시간으로 전송돼야 하는 엄청난
양
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 때문이다. 순조로운 화상 회의를 위해서는 초당 1백만바이트의 정보가 전송돼야 하는데, 일반적인 PC 네트워크의 전송 속도는 초당 10만내지 16만바이트 정도에 불과하다. 이런 네트워크에 ... ...
공부밖엔 할 것 없던 시절의 '짧은'여유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연구소의 연구위원이며 한국물리학회장인 이충희 박사가 그 중 하나다. 미모였던 강영자
양
(뒷줄 오른쪽에서 세번째)은 동기생인 김정욱군과 결혼해 지금은 부부가 미국 존스 홉킨스대학에서 교수로 있다.이 사진에 들어있는 13명 가운데 앞줄 한가운데 있는 필자와 그 왼쪽의 조성호 고려대 ... ...
화학 - 분자의 질량이 크면 끓는점이 높다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이루어진 고분자다. 이 단백질 분자 내에는 결합한 질소나 산소에게 전자를 빼앗겨
양
의 부분전하를 갖는 수소 원자가 존재한다. 이 수소원자가 같은 단백질 내의 질소나 산소와 만나서 수소결합을 하면 단백질이 입체적인(나선형) 구조를 이룬다(그림4) ... ...
원적외선 방출하는 TV수상기 국내 개발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흔히 '바보상자'라 불리는 텔레비전에 앞으로는 '건강상자'라는 새로운 이름이 붙을지도 모른다. 삼성전자는 지난 11월24일 신제품 설명회를 갖고 ... 했다고 밝혔다. 여기에는 원적외선 방출물질을 직접 전자빔에 의해 가열, 더욱 많은
양
의 원적외선이 방출되도록 하는 연구도 포함돼 있다 ... ...
다이어트 희소식, 식욕 억제하는 단백질 규명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약제로 주목받을 것이다.지금까지의 다이어트약들이 만복감을 줌으로써 먹는
양
을 줄이는 것이었다면 이번 것은 뇌에서의 명령을 제어한다는 점에 획기적이다 ... ...
이전
580
581
582
583
584
585
586
587
5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