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작은
눈사람 제작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달하는 장비가 필요했던 것에 비해 구씨의 방법으로는 별다른 장비 없이 간편하게
작은
소자를 만들 수 있다.이번 연구결과는 세계적인 재료공학 전문지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즈’ 2월호에 실렸다 ... ...
천문학자들, '10번째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태양까지의 거리가 1AU다태양계 초기에 가스와 티끌 등이 뭉쳐 만들어진 수km 크기의
작은
행성 나중에 응집이나 충돌을 통해 행성으로 자라나기 때문에 행성의 씨앗으로 불린다지놈(게놈), 즉 유전체(Genome)란 유전자(Gene)와 염색체(Chromosome)의 합성어로 생물이 갖고 있는 전체 유전정보를 뜻한다 인간 ... ...
10. 2억년 후 한반도는 초대륙의 중심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지각을 짜부라트릴뿐 아니라 호주판과 유라시아판 사이에 동남아의 화산열도와
작은
해양판들이 복잡하게 끼어있어 두 충돌로 야기되는 효과가 인도판과 유라시아판의 경우보다 더 크기 때문이다.그렇다면 한반도는 이 일로 어떤 영향을 받을까? 호주판과 유라시아판의 충돌은 한반도 땅덩어리를 ... ...
봇물 터지는 발명소송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공학부를 석사과정까지 마치고 1979년 형광체를 제조하는 니치아화학공업이라는
작은
회사의 개발팀에 입사했다. 10여년을 이렇다할 성과없이 보낸 1988년 어느날이었다. 그는 은퇴를 앞둔 76세의 창업자 오가와 노부오 사장을 찾아가 청색 LED를 개발해도 좋다는 허락을 얻어낸다.당시 이미 적색 LED와 ... ...
무쇠솥으로 지은 밥은 왜 맛있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부, 다리가 있는 것은 정이라 불렸다. 또 노구는 자유롭게 옮겨 걸고 사용할 수 있게 만든
작은
솥을 뜻한다.‘임원경제지’ ‘섬용지’ ‘취주팽약제기편’ 등 옛 농서와 기술서는 솥에 다리가 있으면 ‘기’(錡), 없으면 ‘부’라고 불렀다고 기술한다. 또 최근 출간된 한국고고학 사전도 무쇠솥을 ... ...
05. 백악기 경상도는 공룡 천국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5m의 오리주둥이공룡들이 떼를 지어 피난길에 오른 것이다.용각류 역시 세계에서 가장
작은
용각류 발자국으로 생각되는 뒷발 길이 9cm의 것부터 가장 큰 1백15cm에 이르는 것까지 매우 다양하다. 덩치 큰 용각류 역시 자연의 재해에는 버틸 재간이 없었다. 이들도 오리주둥이공룡들과 함께 새끼들을 ... ...
청소기 돌리면 먼지 더 난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그냥 두들길 때의 절반에 해당하는 양의 먼지를 발생시켰다. 청소기 필터가 입자크기가
작은
먼지를 흡입하지 못하기 때문이다.페로 박사는 “우리가 들이마시는 먼지의 대부분은 생활 공간에 잠복해 있는 것”이라며 “활동을 많이 할수록 공기 중에 떠다니는 먼지가 많아진다”고 말한다. 요리나 ... ...
아름다운 머리카락 속의 검은 눈 'M64'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이런 현상을 10억년 전에 주변의
작은
은하를 잡아먹은 결과로 설명했다. 물론 지금은
작은
은하가 완전히 파괴됐고 회전 방향의 차이로만 흔적을 남겼다.은하 바깥쪽의 파란 별들과 핑크빛 구름은 은하의 안쪽과 바깥쪽이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계지역에서 탄생한 것이다. 이런 경우는 흔치 ... ...
조류에서 인간으로 온 독감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시작하면서 만들어졌다 퍼그워시란 이름은 첫 모임이 열린 캐나다 노바스코샤주의
작은
마을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이그 노벨상은 '다시 할 수도 없고 해서도 안될' 기발한 연구나 업적을 수상하는 상이다 노벨상 시상식이 이뤄지는 10월에 시상된다 과학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미국 ... ...
2008년 한국 최초 우주인 탄생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거품이 일어나는 음식은 먹을 수 없다. 무중력 상태에서 거품이 계속 커지다가 터지면
작은
물방울이 돼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올해 1월 14일 부시 대통령의 발표문에는 우주인의 장기체류에 대한 연구가 언급됐다. 우주에서 오랜 기간 체류하려면 식량문제 해결이 급선무다. 그러려면 ... ...
이전
580
581
582
583
584
585
586
587
5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