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d라이브러리
"
사람
"(으)로 총 14,404건 검색되었습니다.
실전 맛보기!
수학동아
l
200909
- 3 =21정답 21실전문제 4 김밥 16줄과 음료수 20개가 있습니다. 이것을 될 수 있는 대로 많은
사람
들에게 남김없이 똑같이 나누어 주려고 합니다. 몇 명까지 나누어 줄 수 있습니까?해결 포인트 문제에서 ‘될 수 있는 대로 많은’, ‘남김없이 똑같이’라는 대목에 밑줄을 그으며 어떤상황인지 생각해 ... ...
0의 발견 숫자 가문의 영광
수학동아
l
200909
것이다.기호 ‘0’은 어디에서 처음 발견됐을까?인도보다 더 빨리 ‘0’을 발견한
사람
들이 있었다. 첫 번째는 기원전 3세기에 멕시코 남부와 과테말라의 마야문명이다. 마야인은 독자적으로 ‘비어 있음’을 뜻하는 표시로 굴껍데기를 사용했다고 한다. 모양이 눈처럼 둥그런 것이 꼭 0을 닮았다.또 ... ...
수학으로 하늘의 뜻을 알다
수학동아
l
200909
해와 달이 교점에서 15° 이내에서 만나는 날짜와 시간을 알면 예측할 수 있다. 옛날
사람
들은 해와 달이 규칙적으로 움직인다는 사실을 이용해 그게 언제인지를 계산했다. 그 결과 일식이 일정한 주기로 일어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해가 교점을 지난 뒤 다시 그 교점에 돌아오는 데는 약 346.6일이 ... ...
좌표 위에 선 χ의 변신
수학동아
l
200909
중요한 건가 봐.평면 위의 위치를 x값과 y값으로 표시하는 데카르트의 방법이 알려지면서
사람
들은 깜짝 놀랐어. 각자 머리 속에 그리고 있던 직선과 곡선의 이미지를 누구나 알 수 있는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었기 때문이야.좌표 위에서 파리가 움직일 때 x값에 따라 y값이 어떻게 변하는지 알면 ...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수학동아
l
200909
제대로 된 삼단 논법을 살펴볼까요? 여기서 '
사람
은 죽는다'를 대전제, '소크라테스는
사람
이다'를 소전제라고 합니다. 여기서 '소크라테스는 죽는다'라는 결론이 나오지요. 그런데 비둘기는 소전제와 결론을 바꾸어 썼습니다. 비둘기가 삼단논법의 형식을 갖추려명 이렇게 말했어야 합니다. 물론 ... ...
국내 하나뿐인 돼지 ‘지노’
과학동아
l
200909
훌쩍 넘었다. 단순히 날짜 수로 나누면 하루 생활비가 200만 원도 더 드는 셈이다. 보통
사람
의 100배 가까운 비용이다.식성 까다로운 동생지노가 사는 인큐베이터 옆에는 또 다른 인큐베이터가 있다. 여기엔 지노의 동생 '지노2'가 산다. 올 6월 25일 태어난 지노2 역시 알파갈 합성효소 유전자가 제거된 ... ...
엽기동물 대백과사전
과학동아
l
200909
수정 확률을 높이기 위해 암컷의 몸을 뚫고 핏속에 직접 정자를 넣는다.빈대 수컷에게는
사람
피를 빨아먹는 입도 있지만 암컷을 찔러 정자를 주입하는 바늘도 있다. 가끔은 다른 수컷의 몸에 정자를 넣기도 하는데, 그 수컷이 암컷에게 정자를 넣을 때 자기 유전자를 널리 퍼뜨리기 위해서다 ... ...
한국 과학, 아프리카에 희망을 심다
과학동아
l
200909
언제 다른 지방으로 퍼질지 모를 일이다. 과학자들의 우려도 바로 이 점이다. 체체파리는
사람
도 문다. 아직 메커니즘도 잘 모르고 별다른 해결책도 없는 열대성 질병이 인류를 공격할 가능성이 있다는 말이다. 케냐에서의 공동연구로 다행히 한국은 열대성 질병에 대한 정보를 일찌감치 확보할 수 ... ...
밤하늘 별은 얼마나 많을까요?
과학동아
l
200909
줄어든다. 이처럼 광공해가 심해지면서 가장 큰 피해를 보는 집단은 물론 별을 보는
사람
들이다.한국천문연구원 문홍규 박사는 “보현산천문대의 경우 인근 영천시와 좀 떨어진 대구시의 불빛은 물론 포항 앞바다의 오징어잡이배 불빛도 영향을 미친다”며 “이런 현상은 외국의 천문대도 ... ...
공학에서 찾는 경영의 지혜
과학동아
l
200909
연구원의 몫이다. 프로젝트 미팅과는 별도로 매주 한 번씩 주제 세미나도 연다. 여러
사람
들과 함께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어느새 문제의 해결책을 찾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연구 주제를 선정하면 6개월 동안은 자료 조사에 몰두한다. 박 교수는 이때 ‘깊이 보다는 넓이’를 강조한다. ... ...
이전
581
582
583
584
585
586
587
588
5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