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인
자신
자기
자아
내
d라이브러리
"
나
"(으)로 총 8,153건 검색되었습니다.
붉은 카펫 위로 걸으세요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구제역이 의심되는 오염물질과 식품을 모두 가려낸 덕분에 지금은 피해사례가 하
나
도 없다. 2003년부터 1조원 가까운 손실을 입힌 조류 인플루엔자도 2004년 3월 이후 국내에서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 ...
수직 기록 방식 하드디스크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그러므로 데이터의 발생에서 표의 작성에 이르는 전체 과정을 일괄 처리하는 방식(매체
나
장치의 통합화)이 등장했다 1983년에 발견된 혜성 동년 1월 미국 · 영국 · 네덜란드 3개국의 국제협동계획으로 발사된 적외선 천운관측 위성아이라스(IRAS ; Infrared Astronomy Satellite)가 4월 25일 이동하는 천체를 ... ...
날씨가 척척 디지털 예보 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당했을 경우, 즉 기상현상에 의해 피해를 입었을 때 보상을 받을 수 있다. 또 허리케인이
나
토네이도 관련 금융상품도 활발하게 거래되고 있다.날씨를 정확하게 예보하기 위한 노력이 끊임없이 계속되고 기상관측장비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어요. 그결과 도무지 속내를 알 수 없을것같던 대기의 ... ...
내 손으로 밝히는 태양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6호
갖추고 이러한 재난에 체계적으로 대비하고 있다고 해요. 그러
나
아쉽게도 우리
나
라에는 아직 이러한 예보센터가 없지요. 현재 한국천문연구원 태양우주환경연구그룹에서는 태양 활동 및 우주 환경 연구를 집중적으로 수행하고 우주 날씨를정확히 예보할 수 있는 우주환경예보센터를 마련하기 ... ...
한국 최초의 우주인은 누구?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받으며 우주왕복선 컬럼비아호에 탑승했다. 하지만 2003년 2월 1일 귀환 도중 폭발 사고가
나
순직했다.1990년 도쿄방송사의 토요히로 아키야마 기자가 일본인 최초로 러시아의 우주정거장 미르에 올라갔다. 그는 세계 최초의 민간인 승객으로 9일간의 우주생활을 생생하게 기록했다. “지구의 환경을 ... ...
성격까지 밝게 만드는 치아교정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본 뜬 모형을 삼차원으로 스캔한 뒤 특수한 프로그램을 이용해 컴퓨터에서 치아를 하
나
씩 움직이면서 가상으로 치아를 교정한다. 치아를 이동시키는 단계별로 위아래 20쌍 정도의 모형을 만들고 이를 탄력있는 투명한 플라스틱 틀로 만든다. 이 틀을 순서대로 착용하면 시뮬레이션 결과처럼 ... ...
상식을 깨자, 마음껏 즐기자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씻는 것을 늘 깜박하는 아이들을 위한 전시물이다. 천둥소리 제조기원통을 잡고 흔들거
나
뚫린 입구를 손바닥으로 치면 한여름 ‘우르르 쾅’하는 천둥소리를 들을 수 있다. 바로 원통에 매달린 용수철의 진동이 원통의 고유진동수와 공명을 일으켜 크게 들리기 때문이다. 손잡이 장화장화는 비올 ... ...
녹둔도에 가고 싶다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기록에서는 녹둔도 북단은 서쪽으로 조선사람이 ‘부자(富者)강’으로 불렀던 ‘레베지
나
강’까지 포함했을 것이다. 녹둔도의 생활권은 강으로 둘러싸인 습지로 추정되기 때문이다.또한 두만강 하구에서 조선, 중국, 소련의 영토가 철책으로 분리된 때가 1938년 장고봉 전투 이후라는 점을 감안하면 ... ...
월드컵 응원에는 북소리가 최고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위해 북이 필요합니다.”북은 다른 악기보다 만들기 쉽고, 듣는 사람들의 마음을 하
나
로 묶어주기 때문에 옛날부터 전쟁에서 가장 적합한 악기로 꼽혔다.2006년 독일 월드컵에서도 북은 대한민국 응원단의 필수품이다. 경기장에 직접 갈 수 없다면 ‘길거리 응원’이라도 좋다. 웅장한 북소리와 함께 ... ...
논리는 수학자의 친구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증명에는 소홀한 채 신뢰도가 보증되지 않은 시뮬레이션으로 결과를 추정합니다. 그러
나
함수해석학은 정확한 증명을 해야 하기 때문에 논리가 엄밀하고 깊이가 있는 것이 예술과 같습니다.”그가 펴낸 ‘집합론 입문’에는 ‘수학자와 철학자, 전산학자, 언어학자를 위한 책’이란 부제가 ... ...
이전
581
582
583
584
585
586
587
588
5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