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20세기 수학의 방향을 제시하다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대해 자세히 이야기해 줄게.정사면체로 정육면체를 만들 수 있을까? 힐베르트가
발표
한 3번 문제는 부피가 같은 다면체가 있을 때, 하나의 다면체를 조각내 다른 하나의 다면체로 항상 만들 수 있는가를 묻고 있어. 힐베르트가 문제를 공개하고 몇 달 되지 않아 아주 쉽게 풀렸지. 힐베르트의 ... ...
호러 마니아가 '좀비'에 열광하는 까닭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2005년 KAIST에서 인간형 로봇 휴보에 아인슈타인 얼굴을 뒤집어 씌운 ‘알버트 휴보’를
발표
했을 때 사람들은 흥미와 동시에 섬뜩함을 느꼈다. 이것은 일본 로봇공학자 모리 마사히토가 말한 ‘언캐니 밸리’, 즉 로봇의 외양이 사람에 가까워질수록 우리가 느끼게 되는 거부반응이다. 차라리 곰 ... ...
좀비 만드는 '5가지 레시피'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뒤 두꺼비의 침과 독말풀같은 환각성분으로 ‘최면’에 빠져 주술사의 명령에 따랐다고
발표
했다. 좀비로 알려졌던 사람이 죽은 뒤 시신을 부검해 뇌의 전두엽이 손상됐음을 밝힌 학자도 있었다. 가사상태 동안 뇌에 공급되는 산소의 부족이 원인으로 꼽혔다.심규원 연세대 의대 신경외과 교수는 ... ...
로봇의 미래를 말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넘나들고 있다.로봇이라는 존재가 처음으로 언급된 곳은 체코 작가 카렐 차펙이 1921년
발표
한 희곡 ‘로섬의 만능로봇’이다. 희곡 속에서 로섬은 공장에서 일하는 노예로 기계 인간을 만들고 로봇이라는 이름을 붙인다. 그러나 한 과학자가 로봇에 감정을 불어넣자 반란이 일어나 결국 인간은 ... ...
인간 심판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007년 독일의 카이로스 테크놀로지는 아디다스와 함께 새로운 GLT(GoallineTechnology) 시스템을
발표
했다. 카이로스 시스템은 자기장을 이용해 공이 골라인을 넘어갔는지 판단한다. 카이로스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페널티 에어리어와 골문 뒤의 땅 속에 전선을 매설해야 한다. 전선에 전류가 흐르면 ... ...
타이탄의 호수 얕아졌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위성인 타이탄에 있는 호수의 깊이가 얕아졌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
됐다.미국 캘리포니아공대의 오데드 아론슨 교수팀은 토성탐사선인 카시니호가 촬영한 레이더 영상을 연구한 결과 타이탄의 남반구에 있는 ‘온타리오 라쿠스’ 호수의 수면이 지난 4년간 매년 약 1m씩 낮아졌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 ...
새가 ‘동성애’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새끼를 돌보는 태도와 깊은 관련이 있다고 저널 ‘동물행동’ 7월 5일 온라인 판에
발표
했다.호주 뉴캐슬대의 죠프 맥팔랜드 교수팀은 동성애가 발견됐다고 기록된 새 93개 종을 관찰했다. 그 결과 육아에 투자하는 시간이 적은 개체일수록 동성에게 구애를 하거나 교미하는 시늉을 보이는 행동이 ... ...
한국 미라에는 ‘저주’가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경기 오산시 가장2일반산업단지에서 5월 발견된 미라 두 구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7월
발표
했다. 조사 결과 한국의 미라는 거의 무균상태에서 보관됐다. 관의 뚜껑을 여는 과정에서 유입된 세균을 제외하면 병원성 세균은 발견할 수 없었다.발견된 두 구의 미라는 조선시대 한 사대부 남성의 전처와 ... ...
100살 노인 유전자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유전자’가 있다는 사실을 알아내 과학학술지 ‘사이언스’ 온라인판 7월 2일자에
발표
했다.연구팀은 장수 노인들이 갖고 있는 유전적 변이(SNPs)를 150개나 찾아냈다. 이것으로 사람이 100살까지 살 수 있는지 아닌지를 맞힐 수 있는 정확도는 77%다. 정확도가 77%에 머무는 이유에 대해 세바스티아니 ... ...
가장 빠른 반도체를 디자인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말했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을 때도 그랬다. 그는 프로젝트
발표
3일을 남겨놓고 떠오른 아이디어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물론 평소에 쏟았던 고민과 노력이 아이디어로 떠올랐을 것이다.“DVI 기술을 자세히 설명하면 이래요. 디지털 정보라는 게 결국 0과 1의 ... ...
이전
581
582
583
584
585
586
587
588
5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