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스모스
만물
스페이스
유니버스
공간
천지
외계
d라이브러리
"
우주
"(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과학 - '뉴턴사과' 지구중심낙하 정설 아니다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그의 저서 프링키피아의 제3부에 게재된 만유인력의 법칙인 것이다. 만유인력의 법칙은
우주
상의 모든 물체는 그들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고 그 크기는 두 물체의 질량의 곱에 비례하며 두 물체 사이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것이다.즉, 질량이 ${m}_{1}$, ${m}_{2}$이고 거리가 r만큼 떨어져 있다면 ... ...
밤하늘이 어두운 까닭은 은하의 나이 때문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나온 빛이 합쳐져서 밤하늘이 밝으리라고 한 추론은 틀리다. 밤하늘은 은하들이
우주
의 밤을 밝힐 만큼 충분한 양의 빛을 아직 내놓지 못했기 때문에(젊기 때문에) 어두운 것이다 ... ...
터빈없는 발전기 MHD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MHD와 궁합이 잘 맞을 것으로 예상된다. D-${ }^{3}$He 핵융합은 달에 ${ }^{3}$He가 풍부해
우주
발전방식으로 많이 연구되고 있다. 만약 그렇게 되면 달에서 화성이나 기타의 행성으로 진출하는 모든 인공위성의 연료는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또 지구로 에너지를 역수출하는 일도 가능해진다.한편 옛소련과 ... ...
바다 온도 음파측정 돌연 중단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성과를 가져올 '노다지'처럼 비쳤다.지구온난화 현상의 손꼽히는 분석가이자 고다드
우주
연구소 소장인 제임스 한센 박사는 "대양은 기후시스템의 '회전조절용 바퀴'다. 대양은 상승온난기류의 관성저항을 만들어낸다. 또한 대양은 기후변화를 찾는 가장 좋은 장소인데, 변화가 천천히 일어나기 ... ...
3. 전자보다 1천배고속 21세기 광자시대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처리할 수 있는 광자식 교환기, 지능형 가전제품, 그리고 교육 문화 예술 영상 의료 해양
우주
등 곳곳에 초고속 대용량 정보처리와 특수기능을 가능케 하는 폭발적이고 회기적인 계기들을 만들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21세기 광자과학과 광자기술에 있어서 가장 영향력이 많은 연구대상의 ... ...
물리 - 만약 세상에 마찰이 없다면…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바닥에 놓여 있는 어떤 물체를 밀 때 바닥과의 마찰을 피할 수 없다.우리는 거대한
우주
의 태양계 안에서 세번째 행성인 지구 표면에서 살고 있다. 공기는 그 지구의 표면을 얇게 싸고 있는 기체이며 우리는 그 속을 떠나서는 한시도 살수가 없다. 이렇게 우리는 더 넓은 보편적인 세상이 아니고 ... ...
2. 자유분방한 학문편력 고수하는 과학계의 '이단자'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동조하는 과학자들을 찾기가 대단히 어려웠다. 그러나 1975년 화성에 처음 안착한 바이킹
우주
선이 어떤 생물의 존재도 발견하지 못함으로써 그의 예언은 마침내 증명됐다.발명가 러브록이처럼 처음에는 외계의 행성에서 생물의 존재를 찾는 연구에 골몰하다가 급기야는 지구로 관심을 돌려서 ... ...
PARTⅢ 의료·유전공학·에너지 분야서 2천년대 국가 경쟁력 좌우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위한 것과, 열에너지 자체를 이용해서 난방 공정열 등으로 사용하는 것, 선박이나
우주
선 등의 추진력으로 사용하는 것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방사선이나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하는 분야는 적용되는 산업분야에 따라 의학적이용 공학적이용 농학적이용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에너지 이용분야는 ... ...
밤하늘은 왜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계속 얘기해 보도록 하자. 천문소식■ 94별축제천문대와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한국
우주
소년단에서 주최하는 '94 별의 축제'가 4월16일 오후 5시부터 올림픽대교 남단 한강고수부지 용성레저타운에서 개최된다.평소 별을 보고 싶어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개방되는 이 행사는 천체와 관련된 강연 ... ...
4. 새로운 과학인가 20세기 신화인가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하더라도 그것만으로는 이 대지가 살아 있다는 증명이 되지 못함을 그는 인정한다. 그는
우주
공간으로의 여행이 지구를 육안으로 보게 해 주었을 뿐 아니라 지구상의 생물과 무생물 사이 상호작용에 관한 새로운 직관을 제공해줌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하나의 가설이 성립될 수 있게 되었다고 ... ...
이전
581
582
583
584
585
586
587
588
5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