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발
개척
경제
연구
발달
발전
발육
d라이브러리
"
개발
"(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활 속 압력과 전기의 소통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있다. 특히 휴대전화 카메라, 점자용 햅틱 장치 등에 들어가는 초소형 압전 모터를
개발
하고 있다.송현철 연구원은 고려대에서 공학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연구원으로 PZT 압전 재료, 납이 들어가지 않은 압전 재료, 초소형 압전체 소자를 연구하고 있다.▼관련기사를 ... ...
불치병 치료의 꿈 R·N·A 앱타머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앱타머로 대장암을 퇴치하겠다는 꿈을 이루는 날이 오기를 기대해본다.정선주 교수팀이
개발
하고 있는 대장암 억제제 RNA 앱타머의 정확한 구조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정 교수팀은 RNA의 염기 서열을 고려해 가장 안정된 입체 구조 2가지를 시뮬레이션으로 예측했다 ... ...
2014년 ‘수학계 올림픽’ 한국서 열린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내걸었다. 전쟁의 잿더미에서 출발해 유례없이 빠른 성장을 이룬 한국의 수학 실력이
개발
도상국에 희망의 메시지가 될 것이라는 복안이었다. 이를 위해 유치위원회는 개도국 수학자들이 비용 걱정 없이 ICM에 참가할 수 있도록 재정 지원을 하겠다는 파격적인 제안을 했다.유치위원회는 “대회 유치 ... ...
도로 위 안전 책임지는 자동차 속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운전자 전용 에어백뿐 아니라 조수석과 뒷좌석에 설치하는 에어백과 측면 에어백도
개발
돼 인명을 구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김종수 연구위원은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기계과에서 자동차안전기술로 석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 자동차회사에 잠시 근무하다 교통안전공단으로 자리를 옮겼다. ... ...
찰나에 깜박이는 초강력 레이저로 세계에 도전!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포토닉스 측에서는 논문뿐 아니 라 저자인 이종민 교수 인터뷰와 함께 소형가속기
개발
가 능성을 보여준 획기적 성과라고 평한 세계 초고강도 레이저 위원회 의장인 타지마 도시키 교수의 해설도 실었다. 이 교 수는 “탁자에 올려놓을 정도로 작은 전자가속기를 실용화 할 수 있을 것”이라고 ... ...
초고전압 투과전자현미경으로 3차원 구조 밝힌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작게는 세포와 그 안의 생체 물질, 나아가 원자 수준까지 볼 수 있는 융합 분석기기를
개발
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세포나 원자의 구조를 입체적으로 들여다 볼 수는 없을까.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초고전압 투과 전자현미경은 시료를 시소처럼 움직이면서 여러 각도에서 촬영한 뒤 컴퓨터로 ... ...
‘빛 패러다임’으로 반도체 한계 돌파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현상을 발견, 이용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전기 신호를 광신호로 대체할 수 있는 소자를
개발
할 계획이다. 유선규서울대 전기공학부를 졸업한 뒤 현재 서울대 전기·컴퓨터공학부 석박사 통합과정에 다니고 있다. 수치 해석을 통한 광결정 구조 논리소자 설계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 ...
The Next Sudoku?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관심을 옮겼다. 이 게임은 도쿄의 한 교사가 어린이들이 산수를 쉽게 익히게 하려고
개발
했다. 일본어로 켄켄(賢賢)은, ‘제곱으로 현명한’이라는 뜻이다. “나는 꽤 바쁜 사람이기 때문에 더 이상 많은 퍼즐책을 풀지 않습니다. 맨 앞장에서 끝까지 푸는 일은 더더욱 없지요.” 윌 쇼츠가 1년 반 전 ... ...
몸도 마음도 튼튼해지는~건강짱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방학 동안 TV도 보고 게임도 마음껏 하며 룰루랄라 지냈던 나. 이제부터는 학교생활을 열심히 해야겠다고 다짐하며 야심차게 새 학년을 맞았지. 그런데 이게 웬일! 학교에 가니 올해부터 새로운 체력 검사가 시작된다는 소식이 들리지 않겠어? 난 오래달리기랑 윗몸일으키기가 가장 힘들고 싫은데 ... ...
DNA와 탄소나노튜브로 인공근육에 한걸음 다가간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활용해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한 아이디어를 실현하고, 또 연구단 모두의 꿈인 인공근육
개발
에 한 걸음 더 나아갈 것”이라며 포부를 밝혔다.1994년한양대 공업화학과 박사1995년~2001년산재의료관리원 재활공학연구센터 책임연구원2002년~2005년한양대 의대 의공학교실 연구부교수2005년~현재한양대 ... ...
이전
583
584
585
586
587
588
589
590
5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