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뉴스
"
100
"(으)로 총 10,399건 검색되었습니다.
"AI·로봇 연구 꿈도 꾸지마?"…늙어가는 노벨상
과학동아
l
2018.10.03
제공. 1901년 시작된 노벨상은 과학계의 가장 권위 있는 상이다. 하지만 일각에선
100
년 이상 수상 기준과 수상 분야의 틀을 고스란히 이어온 탓에 현대 과학의 흐름을 쫓아오지 못하고 있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3일 영국 일간지 가디언에 따르면 과학비평론가들은 수상 분야가 굉장히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레이저 기술 혁신 가져온 3人
2018.10.03
펄스 폭은 펨토초(
100
0조분의 1초)나 아토초 (
100
경분의 1 초), 세기는 페타와트 (PW·1PW는
100
0조W)에 이른다. 이런 극초단 초강력 레이저는 빛과 물질의 상호 작용을 탐구하는 물리학에 요긴하게 사용된다. 특히 이보다는 훨씬 약한 빛의 경우(그래도 여전히 짧은 고출력 펄스)는 라식 같은 안과 ... ...
노벨상 최고령기록
100
세 육박…90살에서 96살로 껑충
동아사이언스
l
2018.10.02
아서 애슈킨, 최고령 수상자 기록 6살이나 경신 2002년 90세 수상자 후르비치 교수 기록 깨 2018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아서 애슈킨(Arthur Ashkin) 연구원 레이저 물리학자인 아서 애슈킨(96) 미국 벨연구소 전 연구원이 올해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로 선정되면서 노벨상 최고령 기록이 깨졌다. 1901년 이후 ... ...
인도네시아 지진 피해 키운 건 액상화
동아사이언스
l
2018.10.02
낮아서 액상화 확률이 큰 곳이다. 당시 진앙 주변 2㎞ 반경에서 흙탕물이 분출된 흔적
100
여곳이 발견됐다. 팔루 지역 역시 해안지역인데다 강과 지류가 많아 액상화 문제가 불거진 것이다. 신동훈 전남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는 “술라웨시섬의 이번 지진 발생지역은 바다와 만나는 강과 하천 ... ...
“뒤뚱뒤뚱 펭귄? 물속선 200m까지 나는 새”
동아사이언스
l
2018.10.02
시작했다. 남극 연구의 최적기는 남극이 여름을 맞는 11월부터 이듬해 2월 말까지다.
100
여 명 규모의 연구단이 남극 세종기지를 방문한다. 이 선임연구원도 이 ‘하계대’의 일원으로 매년 약 두 달 남극에 간다. 올해 11월부터는 남극대륙 좀더 안쪽까지 진출해 아델리펭귄과 황제펭귄도 연구할 ... ...
적 위성 요격하고 1시간만에 지구 반대편 폭격하는 '우주전' 현실로
과학동아
l
2018.10.01
우주 안보 기술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미 국방부에 따르면 우주군은 ‘지상에서
100
km 고도 이상인 우주 공간을 활용한 각종 군사 활동을 통해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군대’을 뜻한다. 우주작전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우주정보를 인공위성을 통해 생산한 다음 공중과 지상, 해상 작전에 ... ...
[2018국제우주대회]“인류에 의한, 인류를 위한 우주개발” 독일서 개막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브레멘은 소위 ‘메가 시티’가 아니지만 지구에서 가장 ‘우주화된’ 도시”라며 “
100
개국 이상에서 온 다양한 전문가가 모였으니 다양햔 협력이 일어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빨리 가려면 혼자 가라. 하지만 멀리 가려면 같이 가라”는 아프리카 격언을 소개하며 다양한 협력이 ... ...
배터리 필요없는 피부 부착 심전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위에 형성해 초소형·초박형 태양전지를 개발했다. 두께 1㎛ (마이크로미터, 1㎛는
100
만 분의 1m) 미만의 초박형 기판을 만든 다음, 그 위에 수십 ㎚(나노미터, 1㎚는 10억분의 1m)~700㎚ 수준의 ‘전자 주입 층’ 및 ‘반도체 폴리머층'을 형성하는데도 성공했다. 센서는 주변 빛의 굴절률을 조절, 태양 ... ...
뇌신경세포 모방해 더 똑똑한 AI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쓴 숫자를 알아보는 AI 프로그램을 설치한 결과 일반 컴퓨터를 이용한 AI 기능과 비교해
100
만 배 높은 학습률을 자랑했다. 에너지 효율 역시 기존 방식보다
100
0배 높다고 인텔 측은 밝혔다. 인텔은 앞으로 이 기능을 한층 더 높여 작은 동물 수준의 인공지능을 개발할 계획이다. 관련분야 연구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변덕쟁이 청색변광성 폭발 원인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30
단계 후반부에 속하는 밝은 청색변광성은 밝기 변화가 변덕스럽고 그 폭도 태양의 25만~
100
만 배까지 크다. 때문에 ‘우주의 게이샤르(간헐온천)’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질량도 매우 크지만 짧게는 수개월에서 수년 사이에 질량이 크게 줄거나 크게 늘어나는 일이 잦다. 또 반복해서 자주 폭발이 ... ...
이전
583
584
585
586
587
588
589
590
5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