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경로
경과
코스
절차
단계
진행
d라이브러리
"
과정
"(으)로 총 11,556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자번호 117번 원소 만들었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249 원자핵에 충돌시켜 얻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117번 원자 6개를 확인했다.핵융합
과정
에서 중성자 3개가 소실되며 형성된 Uus-294(양성자 117개, 중성자 177개)는 단 한 개만 확인됐는데, 0.112초 만에 알파붕괴(헬륨 핵을 내놓는 반응)로 사라졌다. 한편 중성자 4개가 소실되며 형성된 Uus-293(양성자 117개, ... ...
석유 대체할 궁극의 에너지는 무엇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발전은 연료인 우라늄을 채굴할 수 있는 90~300년간만 계속될 수 있다. 무엇보다 이용
과정
에서 발생하는 방사능은 자칫하면 다른 어떤 이익으로도 상쇄할 수 없는 비극을 불러올 수 있다. 요즘 주목받는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CCS)’기술을 이용한 석탄 발전은 잠재적인 에너지 총량의 크기가 ... ...
불가능에 도전하는 투명망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모르고 있었다. 펜드리 교수가 관련 연구를 맡았다. 펜드리 교수는 원리를 밝혀내는
과정
에서 물질의 내부 구조를 미세한 수준에서 인위적으로 바꿀 수 있다면 빛에 대한 성질도 조절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것이 바로 메타물질에 대한 초기 아이디어다. 그리고 그는 1999년 이 아이디어를 ... ...
뇌신경 연결지도 커넥톰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형광반응을 일으키는 원리를 이용해 촬영한다.리히트만 교수는 오래전부터 신경계 발달
과정
을 연구하며 포유류의 출생 초기 신경세포와 힘줄의 연결망에 대한 연구를 해다. 그는 “어린 포유류의 뇌 연결망이 성인의 것보다 더 복잡하다”며 “신경세포와 근육의 힘줄은 어떤 환경에도 적응할 수 ... ...
반도체 소자를 이해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졸업한 뒤 동 대학원에서 공학박사를 마쳤다. 현재 독일 뮌헨 연방군대학에서 박사 후
과정
을 보내고 있다. 창의적인 발상은 열린 마음에서 증폭된다. 다양한 분야의 책을 많이 읽고 자신만의 스트레스 조절법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 ...
물! 너를 파헤쳐 보자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섭취하는 물의 양과 배설하는 물의 양이 균형을 이뤄야 한다. 우리 몸은 지방을 분해하는
과정
에서 하루에 약 0.25L의 물을 만들어낼 수 있지만 호흡과 땀을 통해 약 0.4L가 빠져나간다. 그래서 매일매일 물을 보충해주지 않으면 탈수 상태가 돼 생명이 위험해진다. 사람은 물의 함량이 1~2%만 부족해져도 ... ...
인기 쑥쑥 ! 인기짱이 되는 과학적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점을 발견했다. 형제자매가 어릴 때부터 돈독하게 지내며 서로 존중하고 협동하는
과정
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키운다는 것이다.형제자매 사이가 중요한 걸 보여 주는 또 다른 연구도 있다. 이탈리아 피렌체대학교 에르실리아 메네시티 교수팀이 10~12세 어린이 195명을 조사한 결과, 동생을 ... ...
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레이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고유번호, 원산지와 기타 정보를 새기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법을 이용하면 중간 유통
과정
에서 식품의 정보를 조작하는 일을 막을 수 있고 소비자는 끈끈한 스티커를 떼는 수고를 덜게 된다. 지난해 미국농업연구소와 플로리다대가 레이저가 수분 증발과 병원균의 침투에 미치는 영향을 ... ...
외유내강 검정파리와 외강내유 전갈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새끼 전갈들은 몸이 하얗고 연약하다. 어미 등에서 자라면서 껍질인 외골격을 벗는
과정
(탈피)을 거친다. 탈피를 하면 몸 껍질이 점점 두꺼워지고 색이 짙어진다. 탈피를 많이 할수록 외골격이 단단해진다는 뜻이다. 새끼 전갈들은 최대 7번까지 탈피를 하며, 단단한 외골격이 생긴 뒤에야 어미의 ... ...
폐수에서 전기 얻는 일석이조의 미생물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재사용하기 위한 방법도 필요하다. 이 경우 미생물연료전지는 폐수나 폐기물처럼 처리
과정
에서 에너지 투입이 필요한 대상으로부터 오히려 에너지를 회수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 보존 방식의 하나로 발전돼야 할 것이다 ... ...
이전
584
585
586
587
588
589
590
591
5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