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으로 두는 신의 한 수, 바둑수학동아 l2013년 10호
- 어떻게 달라질까? 이런 궁금증을 가지고 직접 바둑판의 모양을 바꿔 본 과학자가 있다. 우리나라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의 김재완 교수다.김재완 교수는 양자역학 분야의 전문가로, 박사학위 시절 축구공과 모양이 비슷한 탄소 분자인 ${C}_{60}$의 성질을 연구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 문득 ‘축구공과 ... ...
- [hot science] 버섯으로 집을 짓는다고?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우리는 당연히 과학적인 검증을 거칠 것입니다. 탄소발자국도 계산해야죠. 우리는 에너지와 탄소발자국을 조금 개선하는 게 목표가 아닙니다. 아주 많이 좋아져야 합니다. 조만간 구체적인 수치를 가지고 플라스틱 제품과 비교하는 날이 올 겁니다 ... ...
- 나는 뒷골목 낭만고양이 입니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이런 사람들을 보고 ‘초식남’이니 ‘건어물녀’니 하는 별명을 붙이는데 육식 동물인 우리를 ‘초식묘’ 이렇게 부를 수도 없고, 거참.이상한 고양이가 늘어나면서 살기 좀 편해지긴 했어요. 일단 새끼를 잘 안 낳으니 먹이가 충분해져 사냥감을 다툴 일이 없고요. 주변에 발정하는 고양이가 ... ...
- 산호바다엔 뜨거운 남자들이 산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경험하지 못한 전혀 새로운 바다를 우리에게 안겨줄 것이다. 우리가 할 일은 물에 뜨듯 우리 몸을 완전히 바다에내맡기는 것이다.- “내년에 축으로 놀러오세요.” 센터 연구원들과 체험단이 섬에서 떠나기 전 마지막으로 기념촬영을 했다 ... ...
- 인도네시아로 날아간 GIST의 젊은이들 진화의 뿌리와 만나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맥락에 닿기 위해 노력했다. 월리스가 보았던 진화의 흔적. 그리고 이곳의 독특한 생태는 우리에게 다양한 고민거리를 안겨주었다. 생각이 깊어지면 보는 게 달라지고, 아이디어는 더 풍성해지는 것 같다.답사 내내 필립스 교수는 탐구하는 자세를 유지하려는 내게 끊임없이 질문하며 통찰력을 ... ...
- 서울공대 카페 ➓ 원자핵공학과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원자핵공학은 핵반응에너지와 방사선 그리고 아원자입자(원자보다 작은 입자)를 활용해서 인간에게 편익을 주는 기술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주한규 교수는 ... 풍부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수단”이라며 “열심히 공부해서 우리 학과에 꼭 들어오길 바란다”고 말했다 ... ...
- INTRO 도시의 미래를 세우다, 거대 중장비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도심.우리는 매일 지하철에 몸을 싣고 쾌적한 사무실에 출근하거나 높은 아파트에서 휴식을 취하며 삶을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지금 내가 발 딛고 선 이 도시가 수많은 중장비의 합작품이라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드물다. 마천루를 세우는 크레인과 중장비, 땅 깊은 곳에 지하 터널을 만드는 거대한 ... ...
- PART 1 중장비, 도시를 지탱하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지상으로 끌어올려 걸러내는 순환 시스템, 그리고 작업자 생활공간을 갖추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단 한 대의 반잠수식 시추선인 ‘두성호’가 있다. 육중한 콘크리트 기둥 6개 위에 사각형 갑판이 있고, 각종 장비와 구조물이 들어선 모양이다. 여덟 개의 앵커(닻)를 해저 바닥에 내려 고정하면 시속 ... ...
- 별 세계도 ‘저출산 고령화’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수 있는 별은 현재 있는 별의 5% 수준이라는 내용이었다. 우주의 노령화 문제가 심각하다.우리은하는 별 탄생이 활발한 편에 속한다. 하지만 아주 먼 미래에는 어떤 모습이 될까. 모든 별이 소멸하고 별이 더 태어나지 않는다면 우주는 아무 활력도 없는 어두운 공간이 될지도 모른다. 가장 끝까지 ... ...
- 보이저 1호, 태양권 탈출하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연료가 바닥나는 2025년까지 멈추지 않고 미지의 성간 우주를 탐사할 예정이다. 앞으로 우리가 몰랐던 우주의 어떤 비밀을 알려줄지, 보이저 1호의 향방이 기대된다 ... ...
이전5845855865875885895905915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