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속
지속
퍼짐
속편
결과
뒤
후편
뉴스
"
계속
"(으)로 총 6,475건 검색되었습니다.
거대 망원경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3.13
그런데 굴절망원경은 사용하는 렌즈가 두껍고 무겁기 때문에 크기를
계속
키우는 데 한계가 있다. 렌즈가 너무 커지면, 빛의 초점이 퍼지는 현상 때문에 상이 흐릿해지는 단점도 생긴다. 그래서 현재 가장 큰 굴절망원경의 대물렌즈는 직경이 1m에 불과하다. E-ELT의 육각형 거울(좌)과 내부 구조(우 ... ...
장 속 가스 보면 질병 안다
2015.03.13
정도로 증가하는지 더욱 정확한 데이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그는 “가스 센서는
계속
데이터를 초기화시켜줘야 다시 가스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데, 장 안에 들어있는 센서를 리셋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도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지적했다. 한편 이 논문에는 상대적으로 쉽게 얻을 수 ... ...
화이트데이 맞이 달콤한 당류 9종 집중 분석
2015.03.13
과학자들은 설탕만큼 달면서도 칼로리가 낮거나 혈당을 높이지 않는 설탕 대체품을
계속
개발하고 있다. 아가베시럽의 원료가 되는 선인장 용설란. - Stan Shebs 제공 ● 설탕보다 1.7배 달콤한 과당 최근 대세는 아가베시럽이다. 아가베시럽은 미국 남서부 지역이나 남미 열대지역에 자생하는 ... ...
세계 암호학 ‘핫 피플’ 된 수학도들
2015.03.13
“당신 말대로 해 보니 정말 암호가 깨지는군요! 축하합니다.” 지난해 10월 말. 서울대 수리과학부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이창민 연구원(26)은 세계 ... 국내에서 암호 전공자들이 점점 사라져 가고 있다”면서 “젊고 유능한 암호학도들을
계속
발굴해 지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무지외반증 남성환자 급증…전 연령대 남성 환자 증가율은 61% 수준
동아닷컴
l
2015.03.12
외형상 변화만 있고 증상이 없어 방치하기 쉽지만, 방치하면 발바닥에 굳은살이
계속
생기고 엉덩이나 허리 통증까지 유발할 수 있다”며 “우선 굽이 낮고 발볼이 넉넉한 신발을 신고, 교정용 깔창을 착용하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남성 무지외반증 급증 남성 무지외반증 급증 남성 무지외반증 ... ...
[초대석] “세계 10大대학의 꿈, 8년 만에 달성 가능한 목표가 됐죠”
2015.03.09
가능하다고 본다. 처음엔 동기 부여였지만 지금은 실행 가능한 목표다. 우수한 교수들을
계속
데려와야 한다. 내년 말 2000억 원을 들여 짓고 있는 첨단연구동이 완공되면 연구 여건이 훨씬 좋아진다.” - 연구성과 외에도 UNIST가 자랑할 만한 교육방식이 있나. “정말 인성교육 열심히 시키고 있다. ... ...
약하지만 센 힘 중력상수 G
과학동아
l
2015.03.05
순 힘은 커지지 않는다. 하지만 중력은 입자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더해지기만 해 힘이
계속
커진다. 티끌모아 태산이듯 중력은 엄청나게 커질 수 있다. 우주를 이루는 큰 물체들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오직 중력만 생각하면 되는 이유다. 중력은 약하지만 가장 큰 힘이다. ○ 뉴턴의 사과와 달 ... ...
밤하늘의 별은
계속
늘어날까요?
2015.03.05
온도가 올라가 소위 임계온도 이상으로 올라가면 더 이상 별을 생성하지 않고 그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그간 별을 생성할 만큼 내부 온도를 충분히 낮게 유지하는 체계가 무엇인지는 명백히 밝혀지지 않았다. 성단 내부엔 지금보다 10배 이상 많은 별을 ... ...
[요즘대세 공대가 좋아 Part3] 터치스크린 발표에 농담도 영어로
과학동아
l
2015.03.03
돌아오는 기차 안, 4년 공대 생활이 주마등처럼 머릿속을 스쳐갔다. ‘공대 공부를
계속
했더라면’ ‘요즘 시대에 공대를 다녔더라면…’ 부질없는 생각의 결론은 이랬다. 10년 전이나 지금이나 자신을 성장시키는 과정은 고되다. 하지만 고된 만큼 성장한다. ○ 시대별 인기 학과 변천사 ... ...
보글보글 공기방울에서 전기 만들었다
2015.03.03
LED)를 켤 수 있을 정도의 전기를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송 교수는 “연구를
계속
진행하면 5년 내 상용화가 가능할 것”이라며 “바다 파도 위에서 작동하는 부이(부표)의 건전지를 우선적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에너지 분야 학술지 ‘나노 에너지’ 1월호 ... ...
이전
584
585
586
587
588
589
590
591
5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