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d라이브러리
"
우리
"(으)로 총 11,111건 검색되었습니다.
"배아복제 연구 재개" 황우석 교수팀 美서 공식선언
과학동아
l
200411
우리
팀이 가장 앞서 있지만 각국 연구진이 이를 토대로 다른 연구에 몰두하고 있어
우리
가 추월 당할 수도 있다”며 연구 재개 배경을 설명했다. 문 교수는 “최근 영국 정부가 뉴캐슬대 연구팀에 대해 연구 허용 방침을 정했고 최초의 복제양 돌리를 탄생시킨 로슬린 연구소 이언 윌머트 ... ...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과학동아
l
200411
계기로 좀더 많은 관심과 지원을 받아 세계적 경쟁력을 지닌 우수한 연구결과들이
우리
과학자들 손에서 속출하기를 기대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04 노벨상 따라잡기 01. 멀수록 강해지는 이상한 힘 규명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03. 냄새 맡는 후각 유전자 찾아내 2004 엽기 ... ...
3. 첨단 나노기술로 웰빙의약품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11
안에 넣는 방법은 이미 많이 개발돼 있다. 스텔스기처럼 암세포 공격그러나 문제는
우리
몸의 방어체계다. 리포솜이 암세포에 도달하기도 전에 이를 이물질로 인식한 포식세포가 먼저 포획하기 때문이다. 스텔스 리포솜의 표면에는 포식세포가 자신을 이물질로 인식하지 못하게 만드는 스텔스 ... ...
뇌지문으로 거짓말 탐지할 수 있나
과학동아
l
200411
‘입증자료가 없다’ 는 이유로 무죄 판결을 받았다.왜 이런 결과가 나왔을까.
우리
몸이 거짓말을 하지는 않지만 검사 환경에 따라 다양한 변화가 생기기 때문이다. 여기에 거짓말 탐지기의 한계가 있다.국과수 최효택 실장은 “피검사자는 심리적신체적으로 가장 안정된 상태에서 검사받아야 ... ...
세계 3번째로 큰 공룡 한국에 왔다
과학동아
l
200411
알로 유명한 철갑상어가 한국 주위에 산다는 사실도 이곳에 와서 처음 알았다.
우리
나라는 철갑상어가 살 수 있는 북쪽 한계선이라고 한다.이곳에 전시되지는 않았지만 발가락이 7개인 개구리와 올챙이를 엄마 배에서 키우는 개구리, 50만 마리의 병정 개미가 보여주는 놀라운 ‘집단 지능’, 다른 ... ...
다채로운 색깔 띤 우주의 거대 거품
과학동아
l
200411
티코 브라헤가 또 하나의 초신성을 발견했다. 1604년 케플러 초신성 이후 지난 4백년간
우리
은하에서는 새로운 초신성이 발견되지 않았다.사진의 주인공은 ‘케플러 초신성 잔해’라 불린다. 케플러 초신성이 폭발해 남긴 잔해이기 때문이다. 초신성이 폭발한 후 뿜어져 나온 충격파가 주위의 가스와 ... ...
금성과 목성의 랑데부
과학동아
l
200411
서쪽하늘로 사라지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번에 나타난 목성은 올 겨울과 내년 봄 동안
우리
에게 화려한 모습을 보여줄 것이다.그렇다면 11월 새벽 동쪽하늘에 금성과 목성이 동시에 나타났으니 뭔가 흥미로운 일이 생기지 않을까?행성들은 천구에서 황도 면을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만남과 헤어짐을 ... ...
물 속에 빛을 가둬라
과학동아
l
200411
들어오면 수조 속의 빛이 컵 사이의 물까지 도달할 수 있어 전반사가 일어나지 않는다.
우리
가 수조 위쪽에서 컵을 관찰해도 그림을 볼수있는 이유다.전반사는 빛이 물에서 공기처럼 밀한 매질에서 소한 매질로 전달될 때 발생한다. 이동통신에 사용되는 광섬유는 전반사를 응용해 빛이 섬유 ... ...
01. 멀수록 강해지는 이상한 힘 규명
과학동아
l
200411
30년전 연구가 이제서야 인정된 이유는 무엇일까.쿼크가 멀어지면 힘은 강해진다
우리
가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모든 물질은 원자로 이뤄져 있다. 원자는 다시 핵과 전자로 나뉜다. 핵은 다시 중성자(neutron)와 양성자(proton) 그리고 이 둘의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중간자(meson)로 구성된다. 중성자, ... ...
4. DNA로 나노벽돌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411
만드는 연구 분야는 이제 막 시작단계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머지 않아 오늘날
우리
의 상상을 초월하는 재료와 소자, 기술이 개발될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미국 MIT 생물학과의 수잔 린드크스트 교수는 이를 멋진 비유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약 1만년 전, 인류는 식물을 재배하고 동물을 ... ...
이전
585
586
587
588
589
590
591
592
5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