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지
보고서
통고
알림
통보
보도
레포트
d라이브러리
"
보고
"(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08. 미래형 족집게 진단장비 생체자기센서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지도에서 산의 높이를 표시하는 등고선과 비슷하다. 곡선의 모양이나 각 부분의 색깔을
보고
뇌 신경회로에 전류가 어떻게 흐르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뇌자도는 정상인과 환자에서 다르게 나타난다. 셋째 손가락의 촉각, 입술의 움직임 등 여러 기능을 담당하는 뇌 부위가 각각 정해져 있기 때문에 ... ...
여름밤 은하수 속 독수리성운 M16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있는 암흑성운이 흡사 의자같이 생겼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이 의자를 여왕의 옥좌로
보고
있다.실제로 여름철 밤하늘에서 독수리성운을 찾으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먼저 뱀자리를 찾아야 한다.여름철 남쪽 밤하늘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뱀자리는 땅꾼에게 잡혀있는 모습이다. 이 땅꾼은 ... ...
05. 자연과 호흡하는 도시생태 복원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잡는다는 것이 과연 가능할까. 이미 세계 곳곳에서는 성공적인 도시생태계 복원 사례가
보고
되고 있다. 일본 닛케이에코21 편집장 출신인 이노우에 토시히코와 스다 아키히사가 함께 엮어 쓴 ‘세계의 환경도시를 가다’(사계절)와 박용남의 ‘꿈의 도시 꾸리찌바’(이후) 요시다 타로의 ‘생태도시 ... ...
09. 조용한 공간 창조하는 소음제거기술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미국 어린이 1백명 중 12명이 소음성 난청에 시달리고 있다는 충격적인
보고
서를 발표했다. 소음성 난청이란 허용치 이상의 소음에 지속적으로 노출됐을 경우 소리를 잘 듣지 못하게 되는 질병을 뜻한다. 세계보건기구는 전세계에서 1억2천만명 이상이 소음에 의한 여러가지 질병을 앓고 있다는 ... ...
포항공대 생명과학과 교수 이영숙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이런 미신을 깨고 싶은 마음도 있었다. 미신은 과학적으로 틀렸다는 것을 증명해
보고
싶었던 것이다.장학금은 스승의 사랑을 싣고이런 이 교수를 지금까지 이끌어준 사람들 가운데 학문적 스승이자 인생의 스승인 새터 교수를 빼놓을 수 없다. 새터 교수는 유학시절 경제적으로 어려웠던 그를 ... ...
효소가 좌우하는 노년의 운명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치매 예방을 위해 중요하다. 머리 손상이 치매의 발병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도 여러 차례
보고
된 바 있다. 따라서 머리를 다쳤을 경우 방치하지 말고 바로 전문의와 상담해야 한다.치매의 근본적인 원인은 뇌의 신경세포가 사멸돼 뇌 신경세포간의 네트워크가 손상되는 것이다. 신경세포 네트워크는 ... ...
시동걸린 과학계 '히딩크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않았다. 5월 25일 총장 후보 선임위원회가 최종 2인의 후보를 선정한뒤 이를 이사회에
보고
하기 때문이다. 결국 이사들은 불과 3일동안 자료를 검토한 뒤 선출 당일 단하루 단한번에 결정해야 하는 상황인 것이다. ‘번갯불에 콩구워 먹는 격’으로, 국내 최고의 대학 총장을 뽑는 방식으로서는 엉성한 ... ...
보물단지로 떠오른 민간요법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항알레르기 작용, 소염 진통 효과, 발모 효과, 니코틴 해독 효과 등 다양한 효과가
보고
되고 있다.또 옻칠의 소재로만 알고 있던 옻나무의 항암 및 면역 증강효과, 생선요리에 향신료로 사용하던 배초향의 항동맥경화 효과, 흔히 차로 마시던 녹차의 항당뇨 및 혈전억제 효과, 늘푸른측백나무의 발모 ... ...
02. 사랑하도록 디자인된 인체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어떤 일이 일어날까. 이제부터 ‘섹시’ 한 ‘성’ 의 세계로 들어가보자.콜라병
보고
몽정하는 사춘기 사춘기 전까지는 남성과 여성의 성징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다가 사춘기에 접어들면서 본격적으로 성호르몬이 분비돼 생식기가 급격히 발달하기 시작한다. 사춘기를 겪는 시기는 남녀뿐만 ... ...
앰배서더 강연 맛보기 - 경희대 윤무부 교수의 새 이야기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그러나 다 들킬 수밖에 없다. 머리를 뒤로 돌리지 않아도 뒤에서 오는 사람을 이미
보고
있기 때문이다. 새는 사람의 8-40배의 시력을 갖고 있어 멀리서 다가오는 것도 사람보다 훨씬 잘 본다. 이런데도 우리는 과연 새에게 ‘새대가리’ 라는 말을 붙일 수 있는 것일까 ... ...
이전
585
586
587
588
589
590
591
592
5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