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탐구자
조사자
연구원
d라이브러리
"
연구자
"(으)로 총 1,791건 검색되었습니다.
브누아 만델브로
과학동아
l
201012
대한 연구를 발전시켜, 줄리아 집합을 정의했다.그는 왓슨 연구소의 컴퓨터와 다른
연구자
의 아이디어를 접목해서 마침내 신비로운 줄리아 집합의 모양을 컴퓨터로 시각화했다. 그 안에도 무한히 반복되는 구조 속에 자기유사성이 켜켜이 쌓여 있는 프랙탈이 숨어 있었다.만델브로는 컴퓨터로 ... ...
맞춤의학
과학동아
l
201012
조 원)라는 천문학적인 돈이 들었지만 김 소장은 2억 5000만 원에 그쳤다.김 소장은 “게놈
연구자
들을 만나보면 5~10년 뒤에는 개인게놈에 기반한 맞춤의학시대가 열릴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3년 뒤면 100만 원에 게놈분석“은행직원 앞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순간 직원은 고객의 ... ...
내 안에 또 다른 나 있다
수학동아
l
201012
그 연구는 혼자 진행한 것은 아니고 먼저 ‘쥘리아 집합’을 그려내려고 시도한 다른
연구자
들로부터 아이디어를 얻어 함께했지.집합을 그린다는 게 어떤 뜻이냐고 물었던가? 쥘리아 선생은 ‘쥘리아 집합’의 각 원소가 복소평면이라는 또 다른 집합에 어떻게 대응되는지를 눈에 보이는 자료로 ... ...
‘시험관 아기’로 신의 섭리 넘어서다
과학동아
l
201011
영국 케임브리지대 생식생리학자 로버트 에드워즈 명예교수(현재 85세)가 수상했다. 공동
연구자
였던 패트릭 스텝토 교수는 이미 사망했기 때문에 수상에서 제외됐다.스웨덴 노벨상 위원회는 에드워즈 박사의 업적을 이렇게 평가했다. “많은 부부에게 고통을 안겨주고 있는 불임 치료의 새로운 길을 ... ...
한국 인공태양 핵융합 리더가 되다
과학동아
l
201011
국제원자력기구(IAEA) 핵융합에너지 컨퍼런스가 열렸다. 핵융합에너지 컨퍼런스는 핵융합
연구자
와 국제기구 담당자가 2년마다 모여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행사로 핵융합 올림픽으로 불린다. 국내 개최는 처음이다. 올해는 39개 나라에서 온 전문가 1500명이 참석해 핵융합 기술의 한계와 가능성에 ... ...
건축에 대한 발칙한 상상
과학동아
l
201011
책에서 “단백질을 너무 많이 먹으면 암이 발현되는 과정을 촉진시킬 수 있다”며 “
연구자
들은 고단백 식이요법이 좋다고만 알릴 것이 아니라, 단백질과 암 발현 사이의 관계를 상세하게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심장질환과 비만, 당뇨병, 암, 자가 면역질환 등 난치병에 대해서도 새롭고 ... ...
투명테이프가 선물한 노벨상
과학동아
l
201011
김 교수는 그래핀을 반도체에 이용할 가능성을 처음으로 밝혔다.필자를 비롯한 많은
연구자
들은 아직 그래핀의 활용가능성을 전부 알지 못한다. 그 만큼 밝혀지지 않은 특성이 많다는 뜻이다. 이번 수상이 그래핀의 비밀에 한걸음 더 다가가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110년째를 맞이한 노벨상
수학동아
l
201011
경우도 있지만 보통은 혼자서 연구하기가 쉽지 않아 함께 연구했거나 같은 주제에 많은
연구자
가 참여한 것을 뜻한다. 특히 최근 여럿이 공동으로 연구하는 협동연구나 여러 학문을 결합한 융합연구가 대세가 되고 있다. 그래서 과학상에서 수상자 수의 변화를 분석해 봤다. 물리학상은 195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11
박 박사와 헬무트 마이어 독일 보쿰대 교수, 미셸 살제 프랑스 릴대 교수를 비롯한
연구자
들은 워크샵을 열고 그 동안의 진행 상황과 향후 계획을 놓고 의견을 나눴다. 그 결과 뇌간(brain stem)과 해마(hippocampus)부터 분석을 시작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또한 말디-토프(MALDI-TOF) 질량분석기로 단백질의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
과학동아
l
201011
신맛 수용체 역시 주커 교수팀과 리바 박사팀이 발견해 2006년 ‘네이처’에 발표했다.
연구자
들은 신맛을 느끼는 데 관여하는 PKD2L1이라는 이온통로를 찾았다. 또 탄산음료를 마실 때 ‘탁 쏘는’ 느낌을 감지하는 수용체 Car4를 찾아 지난해 ‘사이언스’에 보고했다. Car4는 이산화탄소를 탄산이온과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