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담화
대화
야그
얘기
대담
회화
스토리
d라이브러리
"
이야기
"(으)로 총 4,29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
과학동아
l
201508
바위가 산 밑 계곡으로 굴러가면 산 정상이나 다른 계곡으로 돌아가기 힘들다고
이야기
했다. 와딩턴은 이것이 염색체가 아닌 다른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고 생각해 후성유전학(epigenetics)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라틴어 접두사 ‘epi’는 ‘~외에’, ‘~에 더하여’라는 뜻으로 후성유전은 유전체 외에 ... ...
PART2. 무서운 공포영화엔 이런 장면 꼭 있다!
과학동아
l
201508
장에서 실험으로 확인해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이야기
를 들려주마PART1. 공포의 대상을 찾아라PART2. 무서운 공포영화엔 이런 장면 꼭 있다!PART3. 어떤 관객을 공략해야 ... ...
PART3. 어떤 관객을 공략해야 하는가
과학동아
l
201508
반론도 가능하다, PLUS참고).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이야기
를 들려주마PART1. 공포의 대상을 찾아라PART2. 무서운 공포영화엔 이런 장면 꼭 있다!PART3. 어떤 관객을 공략해야 ... ...
[Knowledge] 한-미 협력으로 중국발 초미세먼지 밝힌다
과학동아
l
201508
연구자들과 함께 이곳을 방문했다. 특별한 대기질관측장비를 설치해 놓았다는
이야기
를 들어서다. 4층에 가려면 5층에서 어두컴컴한 회전계단을 타고 빙글빙글 내려가야 했다. 오래된 성을 탐험하는 기분이 들었다.남산 위 쪽방 연구실의 비밀4층 한쪽 구석의 작은 쪽방을 열자 빼곡하게 들어찬 ... ...
원자를 세는 영원불멸의 수
과학동아
l
201508
것이다. 더구나 2018년이 되면 화학 시간에 아보가드로의 수나 1몰을 얘기하면서 탄소 12g
이야기
를 할 필요가 없게 됐다. 1몰은 그냥 아보가드로 상수만큼의 입자 개수라고 말하면 된다. 하루는 24시간이고, 1시간은 60분인 것처럼 말이다. 겨우 이 정도 작은 숫자 하나 정하려고 그 수고를 하나 싶지만 ... ...
우주론을 바꾼 역사 뒤편의 영웅들
과학동아
l
201508
데 가모프는 거의 도움을 주지않았다. 하지만 사람들은 빅뱅이론을 말할 때 가모프를
이야기
하지 앨퍼와 허먼의 이름은 거의 언급하지 않는다. 프레드 호일과 대적할 수 있을 만큼 저명했던 가모프만이 빅뱅이론의 대변자인 것처럼 여겨지게 된 것은 또 다른 역사의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1993년 ... ...
[생활] 이종필 교수와 백북스 수학아카데미 사람들 우리도 아인슈타인이 될 수 있을까요?
수학동아
l
201508
건 홍 교사도 마찬가지였다. “쓸 데 없는 걸 뭐 하러 하냐고 하니까 굳이 모임 밖에서는
이야기
를 안 하게 되더라고요.”회를 거듭할수록 내용은 점점 어려워졌고, 중도에 포기하는 사람들은 더 많아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남을 수 있었던 건 알고자 하는 열정과 꿋꿋한 의지 덕분이었다. ... ...
세월호 인양7가지 질문
과학동아
l
201507
이
이야기
를 유가족들한테 했더니, ‘애들 빨리 꺼내달라고 하늘도 도와준 모양’이라고
이야기
하더군요.”세월호 안에는 아직 9명의 미수습자가 있다. 이들을 가족 품으로 돌려보내기 위해 수많은 기술자들이 머리를 싸매고 치열하게 연구 중이다. 세계역사에 남을 인양작업이 곧 시작된다 ... ...
메르스 공포가 이웃을 향할 때
과학동아
l
201507
인간으로 하여금 감염 위험이 있는 것들을 재빠르게 피하게 한다. 오늘은 이 혐오에 대한
이야기
를 해보자.혐오는 독재를 옹호한다?혐오와 역겨움은 잘 활용하면 우리를 지켜주지만 반대로 부작용을 낳기도 한다. 혐오가 다른 인간을 향할 때 특히 그렇다. 면역력이 저하된 상태거나 감염의 위험을 ... ...
박종화 생명과학부 교수 - 늙지 않는 세상을 꿈꾼다
과학동아
l
201507
거슬러 30년 전 고등학생 박종화의
이야기
를 들어보자. 프로그래밍을 좋아했던 부산출신의 소년은 컴퓨터로 노화와 관련한 생명 현상의 비밀을 풀겠다는 생각에 서울대 수의학과에 진학했다. 하지만 당시에는 컴퓨터라는 개념조차 생소한 시대였다. 컴퓨터와 생물을 접목해 연구를 하는 학자도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