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효
d라이브러리
"
효과적임
"(으)로 총 1,700건 검색되었습니다.
뫼비우스의 띠 0.58:1의 비밀
과학동아
l
200709
대한민국 우주인 1호가 탄생한지 수백년이 지난 먼 미래, 우주인 1858호는 세계 최초로 지구에서 관측할수없을 만큼먼우주로 나갔다가 돌아왔다. 지구에서는 그를 맞이하기 위해 지구방위대 총사령관과 각국의 취재진이 기다리고 있었다. 마침내 우주인1858호가 등장했고 취재진은 그와 총사령관이 ... ...
과학하는 당신, 국가가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708
과학만 잘 하면 평생이 보장되는 시대가 열렸다. 지난 3월 22일 과학기술부는 ‘요람에서 황혼까지’ 이공계 인력을 완벽하게 양성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과학영재의 조기 발굴부터 퇴직한 과학기술인 활용에 이르기까지 전 주기에 걸친 프로그램을 만든 것.이미 선진국에서는 ‘인력이 경쟁력’이 ... ...
군장 짊어진 로봇개
과학동아
l
200708
미국 국방성이 전장에서 병사 대신 군장을 운반할 로봇개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영국의 인터넷 기술전문지 브이엔유넷은 미국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이 사우스 캐롤라이나대와 군용 로봇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 계약을 연장했다고 지난 7월 10일 보도했다. 이번 연구를 맡을 이 대학 컴퓨 ... ...
뜨거운 도시에 부는 푸른 바람
과학동아
l
200708
“담쟁이덩굴에 붙어있는 저 잎 말이야. 마지막 한 잎이 떨어지면 나도 가는 거야.”오 헨리의 단편소설 ‘마지막 잎새’에는 폐렴에 걸린 무명 화가 존시가 등장한다. 그는 하루 종일 창밖의 해묵은 담벼락만 바라보며 담쟁이 잎이 떨어질 때마다 죽음이 한 발작씩 다가온다는 망상에 빠져있다.비 ... ...
PART2 꼭꼭 숨어있는 빛까지 잡아낸다
과학동아
l
200707
지난 5월 10일 동양건설산업은 전라남도 신안군 태천리 일대에 세계에서 가장 큰 태양광 발전소를 짓는 기공식을 열었다. 축구장 80개 넓이에 이르는 부지에 건설되는 이 발전소는 6000여 가구가 1년 동안 쓸 수 있는 전기를 생산할 예정이다. 게다가 연간 2만 톤의 온실가스를 줄여 1억8000만원의 온실 ... ...
화학반응 고삐'미니 숯'으로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07
된장을 담는 항아리에 숯을 띄운 건 조상들의 오래된 지혜다. 이렇게 하면 숯이 오염 성분을 걸러내는 ‘필터’ 역할을 해 된장을 장기간 보존할 수 있다. 이는 넓은 표면적 덕분이다. 숯에 뚫린 무수한 구멍은 엄청나게 많은 물질을 쌓아 놓는 저장고 노릇을 한다. 유해 물질이 숯 내부에 다량으로 ... ...
전기도 무선으로 전송한다
과학동아
l
200707
미국 MIT 과학자들이 전기선 없이도 전원에서 2m 떨어져 있는 전구의 불을밝히는 실험에 성공했다. MIT는 이 기술에 '무선전기' (wireless electricity)를 줄인 '와이트리시티'(WiTricity)라는 이름을 붙였다.염료분자와 크롬 등 금속이온이 착염의 형태로 결합된 가용성(可溶性) 아조염료 보통 금속착염 염료는 ... ...
몸짱보다 얼짱 돼라?
과학동아
l
200706
올 여름에 솔로를 탈출하고 싶다면 헬스클럽에서 근육을 키우기보다는 피부관리실에서 얼굴을 가꾸는 방법이 효과적이다.호주 서오스트레일리아대 마리안 피터 교수팀은 인간이 이성을 볼 때 몸 부위의 근육이나 실루엣보다 얼굴 인상을 더욱 비중 있게 보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 동물행 ... ...
왜 같은 사건도 다르게 기억할까?
과학동아
l
200706
“어, 이 영화 벌써 DVD로 나왔네.”“어떤 영화?”“이거 몰라? 두 달 전에 너랑 같이 본 영화잖아.”“난 그 영화 본 적 없는데? 오빠, 누구랑 이 영화 봤어? 사실대 로 말해.”“아니, 그게 아니고….”20대 회사원 A씨. DVD를 고르다 무심코 내뱉은 말 때문에 졸지에 바람둥이가 됐다. 진땀을 흘리며 ... ...
떠다니는 탄소를 거래한다?
과학동아
l
200706
탄소배출권 거래제에는 오염된 환경을 되살리는데 비용이 필요하다는 개념이 깔려있다. 즉 탄소를 배출할 수 있는 권리를 뜻하는‘탄소배출권’이 상품으로 등장해 국가나 기업 간에 거래가 이뤄진 것이다. 또 청정기술 개발에 투자하면 온실가스를 감축한 만큼 배출권을 인정받을 수 있다. 대수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