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각도"(으)로 총 1,544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크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불립니다. 공전주기가 247년으로 명왕성과 거의 같고 궤도도 명왕성과 거의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진 긴 타원궤도를 형성하지만 명왕성 반대편에서 서로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기 때문입니다.이 행성을 오르쿠스라고 이름붙인 것은 흥미롭습니다. 익히 알려졌지만 2006년 8월 국제천문연맹이 새 ... ...
- [수학실험실] 수학으로 빛나는 다이아몬드 만들기수학동아 l2013년 09호
- 높이는 59.3%여야 한다. 다이아몬드의 각도도 중요한데 아래쪽에 뾰족한 부분은 각도가 98.5°, 아래쪽 옆면은 40.75°, 위쪽 옆면은 34.5°여야 한다. 그리고 이때 세로축을 기준으로 완벽한 대칭을 이뤄야 한다.그런데 안타깝게도 톨코프스키가 고안한 이 방법에 딱 맞는 다이아몬드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 ...
- 이제는 네발로봇 세상!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몸무게가 쏠려 넘어지기 마련이다. 넘어지지 않으려면 남아 있는 다리 세 개의 힘, 관절각도 등을 정밀하게 조절해 무게중심을 억지로 맞춰야 한다. 이 과정을 반복하면서 한 발, 한 발 움직여야 한다. 평지라면 모르겠지만 울퉁불퉁한 길, 언덕길 등에서 이런 보행알고리듬을 개발하는 건 그야말로 ... ...
- 연금술과 화학의 경계에서 색을 만들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미세한 홈이 있는데, 이 홈에 푸른 파장의 빛이 산란되면서 깃털 전체가 푸르게 보인다. 각도에 따라 다른 색으로 보이는 것도 이 때문이다.푸른색 안료로 가장 많이 쓰인 것은 남동석으로 만든 안료 아주라이트였다. 아주라이트는 엄밀히 말해 청색이 아니라 녹색을 띈 하늘색이다. 그러나 화가들이 ... ...
- 해양학 - 해수욕 때, 상어 꼬리 주의하세요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준비 단계는 1.04초, 공격은 0.39초, 마무리는 0.51초정도 걸렸다. 몸과 꼬리 사이의 각도는 평소에 120°로 유지하다가 공격할 때는 순간적으로 -30°까지 구부렸다. 불과 0.39초 만에 허리를 약 150° 꺾는 셈이다.환도상어가 사냥할 때 꼬리 움직임은 초속14.03m로 나타났다. 꼬리가 길수록 속력이 더 빨랐고, ... ...
- 수학으로 다시 태어난 리얼입대 프로젝트 진짜 사나이수학동아 l2013년 08호
- 두 가지로, 빨간색을 오른손에, 흰색을 왼손에 쥔다. 그리고 두 깃발을 이용해 팔을 45° 각도 단위로 움직이면서 다양한 자세를 취한다. 이렇게 만들어지는 총 8×8=64가지의 서로 다른 신호에 숫자와 문자 등의 의미를 담아서 사용하는 것이다.이같은 깃발 신호는 군대뿐 아니라 인명구조 등 다양한 ... ...
- [life & Tech] 42° 고개를 들면 무지개가 보인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모두 넋을 잃었다.유리무지개의 마법수는 21°~28°다. 유리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이 각도로 그려지는 무지개가 판지 안에 쏙 들어오는 곳까지 다가가야 유리무지개가 보인다. 판지를 세워두고 뒤로 갔더니 유리무지개는 커졌고 판지에 다가갈수록 작아졌다. 더 가까이 다가가니 두 개의 원형 ... ...
- 코끼리로봇 코 구부리며 하는 말이...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때 회전 각도와 각속도를 계산한다. 자이로센서가 달린 ‘탱크봇’은 몸체가 회전하는 각도를 읽어 삼각형이나 육각형 같은 여러 경로를 정확하게 움직일 수 있다. 로봇이 계단을 오르다가 기우뚱거리면 순간적으로 기울어지는 각속도를 계산한 뒤, 그보다 빨리 모터를 회전시켜 중심을 잡는다 ... ...
- 개미가 페르마의 원리를 안다고?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원리는 빛이 물속으로 들어갈 때 굴절하는 원리로 잘 알려져 있다. 빛이 비스듬한 각도로 물속에 들어가면 수면에서 진행방향이 꺾인다. 이것은 빛이 공기 중에서보다 물속에서 속도가 더 느리기 때문이다. 빛이 가장 시간이 짧게 걸리는 경로로 가기 위해서는 물속에서 움직이는 시간을 줄이고 공기 ... ...
- 순간포착 세상에 이런 일이 수학하는 동물들이 나타났다!수학동아 l2013년 07호
- 교차시킨 ‘직교좌표’와는 다른 개념이다. 극좌표에서는 기준점으로부터의 거리와 각도로 물체의 위치를 표시한다. 또 벡터란 물체의 속도처럼 크기와 방향을 가진 정보를 손쉽게 표현하는 수학적인 개념으로, 화살표 형태에 크기와 방향에 대한 정보를 담아 한꺼번에 표현할 수 있다.공상과학 ... ...
이전545556575859606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