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SF에 묻는다] 매트릭스 vs. 사이코 패스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그런데 국장은 인간이 아닌 로봇이었습니다. 그 로봇을 움직이는 것은 시빌라 시스템.
결국
사회는 시빌라 시스템의 지배를 받고 있었던 겁니다. 아카네 역시 시빌라 시스템의 정체를 알게 됩니다. 그러나 혼자서 세상을 뒤집을 수는 없죠. 쇼고의 죽음으로 추격전이 끝난 뒤에도 아카네는 언젠가 ... ...
돌멩이 하나에 30억 원? 운석 재테크 해볼까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흐르다가 산맥을 만나면 어쩔 수 없이 멈추는데, 빙하는 계속 흐르려는 속성이 있어
결국
산맥 위로 치솟게 된다. 특히 남극은 바람이 강하고 건조해서 산맥을 따라 오른 빙하의 증발도 빠르다. 증발과 동시에 아래에서는 빙하가 계속 위로 치고 올라오니, 다른 빙하에 떨어진 운석들이 이런 빙하의 ... ...
[과동키즈] 내가 남극으로 향한 이유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에 입학했다. 그러면서 이듬해 물리천문학부에서 천문학도 복수전공했다.
결국
전기공학과 천문학,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선택을 한 셈이다. 공대 건물과 자연대 건물 사이의 가파른 산길을 매일 오가는 일은 어려운 전공 수업을 두 배로 듣는 것만큼이나 고역이었다. 대학교 4학년 때 졸업을 앞두고 ... ...
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무생물일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bacteria)는 세균을 영어로 표기한 것이다. 바이러스(virus)와는 알파벳 첫 글자부터 다르다.
결국
이들의 관계를 종합하면 ‘바이러스≠세균=박테리아’으로 요약할 수 있다. 바이러스와 세균은 유전물질을 갖고 있고,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사실 많은 부분이 다르다. 우선 세균은 ... ...
[백신 개발 비하인드] 속도 높이는 코로나19 백신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했다. 연구자들은 이에 맞서 백신의 안전성을 증명하기 위한 연구를 발표하고
결국
‘랜싯’은 2010년 2월 웨이크필드의 논문을 철회하기로 결정했지만, 12년 동안 그의 논문은 백신 반대론자들의 공식 근거로 쓰였다. 백신은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매우 까다로운 과정을 거친다. 개발 초기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2. 외계인을 어떻게 찾아?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그런데 진공상태인 우주에선 공기저항력이 없어 우주탐사선의 속도가 계속해서 빨라져
결국
빛의 속도의 15~20%까지 다다를 수 있어요. 이렇게 프록시마 b 주변에 도착한 우주탐사선은 우리에게 생명체가 존재하는지 알려줍니다. 연료를 다 사용한 우주탐사선은 행성의 대기로 떨어지는데 그때 ... ...
2008년 에이즈와 자궁경부암 바이러스를 발견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일치한다는 사실은 곧 같은 환자에게서 얻은 바이러스라는 걸 의미했다. 이 문제는
결국
소송으로 이어졌다. 소송은 합의로 끝났다. 1987년 프랑스와 미국은 에이즈 진단 시약의 특허권과 특허료를 각각 절반씩 차지하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2008년 노벨위원회는 몽타니에와 바레시누시의 손을 ... ...
성층권에 드론 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하늘 공간의 가장 앞에서 비행하기 시작하면, 제트기류의 강한 바람에 뒤로 밀리더라도
결국
성층권까지 오를 수 있겠죠. 용어정리* 제트기류 : 고도 10km 부근에서 바람이 서쪽에서 동쪽으로 강하게 부는 현상 ... ...
[이달의 과학사] 금보다 비쌌다고? 알루미늄 제련법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식기로, 신분이 낮은 사람은 금이나 은으로 만든 저질(?) 식기로 대접했다고 전해져요.
결국
알루미늄의 활용 가능성은 얼마나 저렴한 제련법을 찾느냐에 달려 있었어요. 미국의 화학자 찰스 마틴 홀은 대학생 시절 ‘알루미늄 제련법을 발견하면 엄청난 부자가 될 것’이라는 교수의 말을 듣고 ... ...
1954년 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배양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백신 접종으로 감염률이 줄긴 했지만 효과는 기대에 못 미쳤고
결국
실패로 결론 났다. 동물의 체내에서 배양된 바이러스의 한계를 깨달은 과학자들은 시험관에서 바이러스 배양에 도전했다. 바이러스는 박테리아(세균)와 달리 인공적으로 번식시킬 수 없었다. 오직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