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양이
d라이브러리
"
나비야
"(으)로 총 635건 검색되었습니다.
놀라운 식물의 방어전략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식물은 어떻게 자기 몸을 지키나, 식물도 가시, 털, 거친 잎 등으로 나름의 방어책을 강구하고 있음은 널리 알려진 일.여기 더해 식물은 분비물을 통해 자신을 먹는 곤충의 천적을 불러들여 적을 퇴치하는 전략을 쓰기도 한다.경기란 항상 대등한 상대끼리 하게 되는 것은 아니다. 신문에는 언제나 ... ...
한국곤충-삶의 신비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지구상 생물의 80%에 해당하는 1백50만종의 곤충이 극지에서 사막까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번영하고 있다. 그들이 이처럼 다양하게 번성할 수 이유는 무엇일까. 한국의 곤층을 중심으로 그들의 다양한 삶의 모습을 살펴보자.곤충이 곤충다운 것은날개가 있기 때문이다. 곤충의 날개 형태는 다양하면 ... ...
인체는 다양한 카오스 실험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80년대 들어 인체의 뇌와 심장에서 혼돈현상이 발견되면서 혼돈 연구는 그 응용의 폭을 대폭 넓혀가고 있다.오늘 북경에서 공기를 살랑거리는 나비가 다음달에 뉴욕에서 폭풍우를 몰아치게 할 수 있다. 미국의 과학저술가 제임스 글라익의 베스트셀러 '카오스'(Chaos, 1987년)에 나오는 문장으로서 혼 ... ...
세계 각국의 진기한 연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연은 하늘을 날고자 하는 인간의 욕망을 성취시킨 첫 결과물이다. 얼핏 단순하게만 보이는 이 '장난감'을 자세히 살펴보면….겨울이 되면 우리 조상들은 연 날리기를 즐겼다. 연 날리기는 날리는 이나 보는 이 모두를 무아지경에 몰아 넣어 시간가는 줄을 모르게 한다. 연은 바람을 타고 높이 올라 ... ...
백악기 절멸기에도 거의 모든 곤충 살아남았다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곤충은 이 세계에서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인가. 곤충류는 공룡과 같이 절멸이라는 운명을 맞지는 않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을 받고 있다. 스미소니언 자연사박물관의 고생물학자인 콘라드 라반데이라는 "곤충류는 거의 멸종되지 않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1억년 이상 그 계통을 이어가 ... ...
2. 카오스운동 지배하는 새로운 질서 '끌개'의 비밀을 찾아서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카오스란 보통사람들이 이해하듯이 완전히 무질서한 혼란상태가 아니라, 무질서해보이는 비예측성 속에서 일정한 규칙성을 가진 운동을 일컫는 말이다.물리학자 조셉 포드에 따르면 지금 넓은 영역에 걸쳐 과학의 혁명이 진행되고 있으며, 그 큰 갈래 중 하나가 이른바 자연의 복잡성(complexity) 연 ... ...
1. 누가 뉴턴의 세계에 돌을 던졌나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푸앵카레는 동력학계에 혼돈이 존재한다는 선구자적 발견을 이루어냈다. 그로부터 70년이 경과한 1960년대 들어 로렌츠 스메일 요크 메이 등이 차근차근 혼돈과학의 주춧돌을 쌓아 올렸다.교과서에서 배운 '45도 각도로 던지는 것이 가장 멀리 간다'는 이론적 해석은 실제 상황에서 무기력하다. 갈릴 ... ...
카오스와 퍼지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카오스와 퍼지 등 첨단과학이론을 채용한 응용제품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다. 이들은 얼마만큼 충실히 이 이론들을 채택하고 있는가? 기존제품과는 어느 정도 성능의 차이가 있는가.새로운 이론이 탄생하고(이론이 아니라 기술적 성과라고 해도 마찬 가지임) 그 이론이 인간의 실생활에 응용되기 위 ... ...
태양표면의 흑점수를 세어보자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망원경으로 태양을 관측하는 것은 항상 예상치 못한 위험이 따른다. 주의사항을 잘 지켜 태양표면의 흑점을 관측해보자.태양은 다른 천체와는 달리 대낮에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척 크고 밝아서 비교적 작은 망원경으로도 태양의 표면모습과 흑점의 변화 등을 충분히 관측할 수 있는 유일한 항 ... ...
포유류처럼 체온 가진 물고기 있다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냉혈동물로 알려진 어류 가운데도 몸 전체나 일부를 따뜻하게 유지하는 능력을 가진 25종이 있다. 일반적으로 어류는 체온이 주변의 물의 온도에 따라 오르내리는 냉혈동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근착 '뉴욕 타임스'에 따르면 적어도 25종의 어류는 조류나 포유류처럼 주변의 온도변화에 관계없이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