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휘장
커튼
장막
발
텐트
싸는 것
보자기
d라이브러리
"
막
"(으)로 총 2,033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에너지를 태워주는 너란 지방, 베이지색지방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하면 근육에서는 ‘이리신’이라는 호르몬이 만들어진다. 이리신은 FNDC5라고 하는
막
단백질이 잘린 조각이다. 근육을 쓰면 FNDC5가 잘려 이리신이 만들어지고 혈관을 통해 지방까지 이동해 백색지방을 베이지색지방으로 바꿔준다. 하지만 운동하느라 안 그래도 더운데 열을 발생시키는 ... ...
[참여] 수학의 신대륙을 찾아서 신일고 Math Pioneer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견학했다. 저녁 시간에는 학생들이 준비한 세미나를 진행하며 열띤 토론을 벌였다.“마지
막
날에는 해수욕장에서 함께 물장구를 치면서 놀기도 했습니다. 학교에서는 같이 활동해도 그럴 기회가 없잖아요. 과학창조한국대전에서는 다른 학교 학생들이 어떤 수학 부스를 준비하는지 관람객의 ... ...
PART3. 외계행성 탐사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페가수스자리의 백색왜성 V391 Peg이다. 연구팀은 이 별이 거성 단계를 거쳐서 폭발을
막
마친 노년기의 태양과 유사하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V391 Peg은 폭발 전에 비해 질량은 2분의 1이고, 온도는 15배 이상 뜨거워진 상태였다. 연구팀은 이 사실을 바탕으로 V391 Peg 주변을 도는 행성들의 폭발 전 질량과 ... ...
소똥부터 물방울까지! 별별발전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엽록소를 섞은 물컹물컹한 젤로 태양전지를 만들었어요. 연구팀은 이 젤을 얇고 투명한
막
에 발라 빛을 쪼인 뒤, 엽록소에서 생겨난 전자를 모아 전기를 만들어냈답니다.부비고 흘리면 전기가 펑펑?마찰전기로 발전기를 돌려라!서울대학교 김호영 교수와 전남대학교 박종진 교수팀은 달리는 자동차 ... ...
물의 지배자 모사사우루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바다를 호령하며 왕처럼 살았다. 하지만 횡포는 6600만 년 전, 공룡시대의 종말과 함께
막
을 내렸다. 제 아무리 무시무시한 이빨과 턱을 가진 모사사우루스라도 우주에서 날아온 소행성의 위력을 견딜 순 없었다 ... ...
[지식] 안테나, 우주의 소리를 듣다!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발견한 사람이 있다. 칼 구스 잰스키가 통신 기술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건 대학을
막
졸업할 무렵의 일이었다. 당시 미국 오클라호마대 학장이었던 아버지는 아들에게 발전가능성이 큰 통신 분야를 소개하며 공부해 볼 것을 권했다. 잰스키는 아버지의 조언에 따라 위스콘신대에서 학사학위를 ... ...
[지식] 매미의 한여름 세레나데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움직이는 것을 하나의 방정식으로 나타냈다. 이 식을 풀어낸 결과, 연구팀은 진동
막
이 내는 울음소리는 시간에 따라 점진적으로 커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리고 한 나무와 그 주변에서 우는 같은 종의 매미들은 서로 리듬을 맞춰, 결국은 하나의 커다란 소리처럼 울려 퍼진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 ...
[생활] 수학과 화학의 맛있는 만남 분자요리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들어 있는 ‘알긴산나트륨’을 이용한다. 알긴산나트륨과 칼슘이 만나면 투명한 젤라틴
막
이 생기면서 고체가 된다. 분자요리 연구자들은 과일주스에 알긴산나트륨을 섞어 주사기나 스포이트에 넣고 염화칼슘(또는 젖산칼슘) 수용액이 든 비커에 한 방울씩 똑똑 떨어뜨리면 과일주스 맛 캐비어가 ... ...
번데기 한 마리로 갈린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후 2달이 지난 시점에도 여전히 시체에 머물러 있다.우리나라에서 딱정벌레 연구는 이제
막
시작됐다. 파리보다도 한참 늦다. 시체를 찾아오는 딱정벌레의 종류와 시점을 연구하는 단계다. 신 박사는 기자를 서울 근교의 한 농장으로 데려갔다. 야외실험실이 있는 곳이다. 여기선 진짜 시체를 가지고 ... ...
[Knowledge]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이뤄졌다.그렇다면 시아노박테리아가 처음 만들어낸 산소는 어디로 갔을까? 우리의 마지
막
목적지에서 이때 만들어진 산소의 흔적을 찾을 수 있었다.최초의 산소는 아직 땅 속에 잠자고 있다우리는 카리지니 국립공원으로 향했다. 이곳에서는 25억 년 전에 쌓인 호상철광층(Banded Iron Formation, BIF)을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