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사성동위원소
동위원소
방사성물질
물질
d라이브러리
"
방사성
"(으)로 총 589건 검색되었습니다.
뇌발달의 시각화 성공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모습을 세계 최초로 시각화하는데 성공했다.PET 기술에서는 우선 양전자(陽電子)를 내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첨가한 '데옥시 글루코즈'를 주사한다. 보통의 전자가 마이너스의 전하를 띠는데 비해 양전자는 플라스이기 때문에, 두 개가 충돌하면 소멸해 버리며 이때 감마선을 방출한다. '데옥시 ... ...
'라더포드'가 들여다 본 원자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크기와 원자의 크기의 비율을 알 수 없을까 하고 생각하게 된다.다행히도 '라더포드'경은
방사성
물질의 연구를 이미 많이 했던 물리학자로서 우리들이 잘 알고 있는 α선(알파線)을 얻는 방법을 알고 있었으며, 이 α선은 양(陽)으로 대전된 입자로 구성되어 있고 그 입자의 질량 (무게라고도 흔히 ... ...
방사능, 아무리 적은 양도 안전하지 않다.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저장된 수천의 헬륨이온이나 전자를 갖는 유전정보를 때려낸다. 특히 영양소와 비슷한
방사성
동위원소는 인체조직에 쉽사리 침투해 가까운 거리에서 타격을 가한다. 예컨데 플루토늄은 생식선에 자리를 잡고 α선 입자로 정충세포에 영향을 미친다. 물론 유전자의 손상이 그렇게 쉽게 일어나는 ... ...
컴퓨터 직업병을 경계하자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조작하는 여성근로자 가운데 유산이나 기형아출산이 보이는 것은 브라운관에서 나오는
방사성
X선과 어떤 관계가 있다고 추리하는 연구도 있다. 여기서 일본 보건물리학회에서는 이에 관련한 X선의 측정을 시작하고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있다고 한다. 이 조사는 각국에서 제작된 컴퓨터 ... ...
원전의 안전성을 둘러싼 논쟁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원전 주변에서는 자연방사선의 80%에 달하는 선량이 존재한다는 보고가 있다. 기체의
방사성
폐기물 중 일부만이 처리되어 배출되며 액체폐기물도 허용농도 이하는 하천에 방류된다. 게다가 원전 내부에 방사능이 쌓이기 때문에 해가 갈수록 더 많은 양의 방사능을 외부에 누출하는 경향이 있다. ...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대참사 안전관리 무시한 예측된 사고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땅속 깊이 침투하는 것인데 체르노빌의 경우는 흑연이 타면서 산소를 빨아들인 뒤
방사성
동위원소를 공중에 마구 내뿜어 댔다. 그중의 일부는 이웃의 '키에프'시의 수원지로. 흘러 들어가는 프리피야트강을 틀림없이 오염시켰을 것으로 보인다. 약5만명으로 어림되는 체르노빌 시민들은 모두 철수 ... ...
믿을 수 없는 '과학확률' 10여년간 150여건의 중대사고 발생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1969년 스위스 : '루센스'원전의 압력튜브가 파열, 노심에 심각한 손상을 입혔고 다량의
방사성
물질이 누출됐다. 다행히 원자로가 동굴 속에 있어 피해가 적었다. 1969년 프랑스 : '생로렌' 원전이 연료장전의 실수로 부분 멜트다운을 일으켜 방사능이 외부로 누출됐다. 1979년 미국 : '드리마일' ... ...
세계에서 가장 안전하다는 스웨덴 포스마크 원전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얼마나 흡수되고 농축되는가를 알 수 있는 자료가 얻어진다. 현재까지 적은양의
방사성
물질이 포스마크 원전에서 호수로 유입되었지만 생태계의 조성이나 순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소는 외국의 과학자에게 개방되어 있어 연구계획서를 제출하고 현지연구를 수행할 수 ... ...
한국의 원전은 안전한가 「통합적이고 완전한 안전대책」모자라다는 지적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아직 완공되지 않고 있다. 앞으로 수명이 다한 원자로 폐기(또는 해체)의 문제와 함께
방사성
폐기물 처리는 원자력 안전대책의 큰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원자력 인력의 자질향상은 안전과 직결되는 문제다. 인력확보와 훈련의 내실화가 이루어져야겠지만, 그보다 앞서 모두 영문으로 ... ...
세계의 핵 에너지 개발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우라늄광상에서 자연히 핵분열반응이 발생한 케이스가 있다).한편 약한 핵력반응은
방사성
물질의 자연붕괴때 볼 수 있으나 너무 약한 반응이어서 관심이 가지 않은채 소홀히 넘겨지고 있었다. 19게기의 과학에서는 물질과 에너지가 각각 별개로 된 시스템을 이루고 있어 어떤 변화가 일어나도 ... ...
이전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