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지
보관
저장
보전
보유
보호
방부
d라이브러리
"
보존
"(으)로 총 1,899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윈이 없었다면 진화론도 없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과학의 발전이 수많은 사람들에 의한 집단적인 성취라는 사실도 강조한다. 에너지
보존
과 변환 법칙들은 “이론가들의 지적 호기심이 아니라 증기 기관의 효율성을 조금이라도 높여서 이윤을 얻기 위한 엔지니어들의 치열한 노력이 만들어낸 결과”라는 해석처럼 말이다. ‘미국 민중사’를 통해 ... ...
PART1. 단언컨대 사람도 겨울잠 잘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말하자면 후자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쿠아줄루-나탈대 생물
보존
학부의 배리 러브그루브 교수는 겨울잠을 자는 포유류를 분석한 결과 겨울잠 능력이 공통조상에서 비롯됐을 것이라는 연구결과를 2012년 ‘기후에 적응하는 삶(Living in a Seasonal World)’이라는 책을 통해 발표했다. ... ...
초파리는 경쟁자 앞에서 더 뜨거운 사랑을?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의 유전자를 후대에 남기는 일로, 이러한 교미 시간 변화는 종족
보존
의 전략일 것”이라며, “이번 연구는 하등동물인 초파리가 복잡한 환경을 인식하면서 행동한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고 말했다. 또 “초파리 연구를 통해 사회성도 신경학적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다는 ... ...
그 많던 공룡 배설물은 누가 다 치웠나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플로스원’ 12월 4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첨단 촬영 기법을 이용해 호박 속에
보존
돼 있던 바퀴벌레 화석을 3D 가상 영상으로 재현했다. 화석 안에는 바퀴벌레의 배설물도 함께 갇혀 있었는데, 연구팀은 그 안에서 나무 입자를 발견했다. 나무 입자들의 가장자리가 매끈한데다가 바퀴벌레는 ... ...
Part 2 한국인이 제안한 미스터 입자3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있다. 이 대칭은 켤레대칭(C대칭)이라고 불린다.당시의 화두는 두 대칭이 어떤 힘에서는
보존
되지 않는다는 (깨져 있다는) 사실이었다. 약한 핵력(약한 상호작용)에서는 C와 P대칭(합쳐서 CP대칭이라고 부른다)이 깨져 있다는 사실이 밝혀져 있었다. 하지만 강한 핵력에서는 관측으로 확인할 수 없었다. ... ...
전기로 대화하는 물고기를 찾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1호
땅에 질질 끌리는 똥배…, 아니 중력에 이끌리는 내장을 끌어안고 지구 일주 중인 닥터 그랜마예요.찐 살은 빼야 할 것 아냐! 한국 반대편에 있는 남 ... 오지 않을지 저도 걱정이에요. 개발도 좋지만, 생물들이 있는 그대로 살아갈 수 있도록 자연을
보존
하는 걸 잊지 말아 주었으면 좋겠어요 ... ...
너무 춥고, 너무 더운 날씨 북극에서 답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0호
세포가 죽는 일을 막아 줘요. 따라서 이 물질을 응용하면 세포를 얼려서 오랜 시간
보존
할 때 세포가 죽는 것을 막을 수 있답니다.북극이 지구 기후를 움직인다!아기 북극곰의 친절한 설명을 넋 놓고 듣고 있던 이 기자는 북극에 취재하러 온 목적이 퍼뜩 떠올랐어요. 북극 얼음 면적이 늘어서 ... ...
지구사랑탐사대가 추적한 멸종위기종 수원 청개구리의 합창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4호
익히고 곤충에 대해 깊이 배울 수 있어요. 하지만 이것보다 더 중요한 게 있어요. 자연을
보존
하는 게 왜 중요한지, 환경이 파괴되면 어떤 생물들이 사라지는지 눈이 아니라 마음으로 만날 수 있다는 점이에요.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최재천 교수는 ‘알면 사랑한다’는 말을 즐겨 쓴다고 해요. ... ...
깨볶는 과학 마지막회 우유+여드름균=맛있는 치즈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동물의 위장에 넣거나 소금을 뿌리면 훨씬 부드럽고도 단단하게 굳고 오랫동안 신선하게
보존
할 수 있다는 사실도 알아냈답니다. 당시 유목민들이 즐겨먹던 치즈는 오늘날의 페타치즈(우유 덩어리를 소금에 절인 치즈)와 비슷하다고 추정돼요. 프랑스에서는 1년 365일 다른 치즈를 먹는다치즈는 ... ...
PART2 물 건너 온 한국 음식 김치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김장김치를 맛있게 오랫동안 먹기 위해서는 적숙기에 이른 김치를 그 상태로 오랫동안
보존
하는 기술이 필요했다. 조상들은 땅을 파서 김장독을 묻었고, 현대에는 김치냉장고를 개발했다. 유산균 발효가 온도와 깊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김치는 pH 4.5까지는 빠르게 발효가 진행되다가 이 시기부터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