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래"(으)로 총 5,5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슈] 수학으로 찰칵찰칵! 엘사와 우디 얼굴로 바뀌는 비결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1호
- 비슷하게 바꾼답니다. 나와 공통점이 많은 캐릭터겠지요? 예를 들어 입꼬리의 끝이 아래 입술의 위치보다 2㎝ 이상 올라가 있다면 입꼬리의 끝이 올라간 캐릭터의 입으로 바꿔줘요. 그런데 얼굴형, 목주름, 머리 스타일, 표정, 눈, 코, 입의 위치 등은 거의 바뀌지 않기 때문에 나와 닮은 점이 더욱 ... ...
- [파고캐고 지질학자!] 운봉산에 쌓인 돌무더기, 사실은 빙하기의 증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이곳의 기후가 매우 추웠다는 증거입니다. 암석 빙하가 존재하려면 일 년 내내 암괴류 아래에 얼음이 얼어있어야 하거든요. 현재 우리나라의 평균기온이 약 10~14℃인데, 암괴류가 만들어지던 과거 운봉산은 일 년 내내 0℃ 이하인 빙하기였다는 것이죠.나아가 암괴류는 강원도 설악산, 대구 달성의 ... ...
- [창간 12주년 기념] 미궁게임 공모전이 열린다!수학동아 l2021년 10호
- 문제까지 해결하면 명예의 전당에 오르는 기쁨을 맛볼 수 있어! 아직 안 풀어본 회원은 아래 QR코드를 찍고 얼른 가서 풀어보라고~! 온라인 미궁 게임, 폴리매스 회원들의 손으로~! 작년 12월 야심 차게 공개해 엄청난 반응을 얻은 온라인 미궁 게임은 문제 풀이 시도가 10만 번을 넘을 정도로 뜨거운 ... ...
- 기술검증│인류 지식의 최전선을 시험하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소음도 제트 엔진에 비해 훨씬 작다. 프로펠러는 비행체 위의 공기를 아래로 빨아들여 아래로 내뿜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부력이 발생해 비행체가 뜰 수 있다. 물론 프로펠러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비행체 내부에 삽입해 둔다. 그리고 원기둥 옆면에는 여러 개의 구멍을 뚫고, 밸브로 이 ... ...
- 한글꼴 · 로마자꼴을 해부하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사용하기도 한다. ●한글 글자의 조합 구조한글은 닿자, 홀자, 받침이 옆 또는 위아래로 조합되는 구조를 갖고 있는 덩이 글자다. 일렬로 배열되는 로마자의 방식과 대비된다. 받침의 유무, 홀자의 종류에 따라 총 6가지 구조로 나뉜다. 로마자꼴을 해부하다 ❶ 꼭대기(apex): ‘A’의 가장 윗부분으로 ... ...
- [핫이슈] 원주율 세계 기록 달성! 소수점 아래 62조 8318억 5307만 1796번째 자리까지 계산했다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원주율을 이용하면 쉽게 구할 수 있어요. 원을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잘게 잘게 조각내면 아래와 같이 직사각형으로 만들 수 있거든요. 직사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건 가로와 세로 길이만 곱하면 되니 원의 넓이를 구하는 것보다 쉽지요. 직사각형의 세로 길이가 반지름, 가로 길이가 원의 둘레(원의 ... ...
- [매스미디어] 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수학동아 l2021년 10호
- 21, 34, 와 같다. 자연에서 관찰되는 피보나치 수열의 예로는 솔방울, 해바라기 꽃이 있다. 아래 그림에서 표시한 나선(노란색)을 기준으로, 솔방울의 포(苞)가 나선을 그리며 자리를 잡아 솔방울을 채운다. 포는 잎들이 좁은 공간 안에 압축되면서 그 모양이 변형된 부분을 말한다. 그림이나 사진에서 ... ...
- 슈퍼 컴퓨터 성능이 궁금해? 원주율 계산에 도전해 봐!수학동아 l2021년 10호
- 기술을 바탕으로 20여 개의 엔진 클러스터에서 y-크런처를 121일간 작동한 끝에 소수점 아래 31조 4159억 2653만 5897번째 자리까지 확인했습니다. 앞서 나왔던 멀리컨과 롤케 교수팀 모두 추보스키 공식과 y-크런처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π값을 계산했습니다. 멀리컨은 직접 운영하는 웹진 비트 앤 바이트 ... ...
- [한페이지 뉴스] 북해 아래 잠든 빙하기 땅이 드러났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북해 바닷속에 숨겨져 있던 빙하기의 지형이 다시 세상에 드러났다. 온난화 기후에서 빙하가 지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중요한 단서를 ... 사실도 밝혔다.켈리 호건 영국 남극조사연구소 연구원은 “기후가 따뜻해질 때 빙하 아래 지형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 기술의 변화 글꼴의 변신과학동아 l2021년 10호
- uncial)’다. 소문자 b나 h 등에서 위로 삐쭉 나온 부분인 어센더(84쪽 참조)와 y와 q 등에서 아래로 삐쭉 나온 부분인 디센더가 뚜렷하게 보인다. 로마의 황제 샤를마뉴 대제가 9세기 초반 서유럽의 대부분을 통일하며 로마제국에 필사실을 설치해 글꼴을 통일했다. 반언셜체를 바탕으로 탄생한 ... ...
이전545556575859606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