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캐릭터들은 정육면체 블록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공예 유튜버 ‘우주공간’은 클레이를
작은
정육면체로 쪼갠 뒤, 이를 쌓아올리고 붙여서 바다 신전을 만들었습니다. 바다 신전 주변에 클레이로 만든 플레이어 캐릭터와 해초, 물고기 등 다양한 생물도 볼거리입니다.구성 요소를 다 배치한 후에는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둥둥 뜨는 영화관? 플로팅 홀로그램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있는 물체에서 반사된 빛이 관찰자에게 닿지 않도록 했어요. 방패를 이루는 여러 개의
작은
렌즈는 관찰자로 향하는 빛의 방향을 양옆으로 꺾습니다. 빛이 꺾여 관찰자의 눈에 닿지 않는 탓에 관찰자는 물체를 볼 수 없죠.투명 방패처럼 자연에서 발견되지 않은 특성을 인공적으로 만들어낸 물질을 ... ...
[나도 수학쌤 문장제 문제 #7] 반지름과 중심각 알면 부채꼴은 내 손안에!
수학동아
l
2022년 09호
단원에서는 다양한 부채꼴 모양의 둘레와 넓이를 구하는 방법을 배워요. 큰 부채꼴에서
작은
부채꼴을 빼거나 다른 도형을 활용해 구하는데요. 모두 반지름의 길이와 중심각의 크기만 알면 쉽게 구할 수 있답니다. 부채꼴의 둘레와 넓이를 구하는 문제에서는 원이나 다각형 등을 활용해 부채꼴의 ... ...
[특집] 닷컴버블의 악몽, 지금 인기도 거품?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전락했다. 스마트폰이 이끈 개발자 전성시대새로운 시대는 손 안에 들어가는
작은
기기로부터 시작됐다. 2007년 애플 아이폰을 필두로 스마트폰이 등장하면서 시장은 완전히 변한다. 과거엔 통신사라는 거대기업의 허락 없이는 휴대폰에 들어가는 서비스나 기능을 만들 수 없었다. 스마트폰의 ... ...
철도 덕후가 알려주는 입덕 가이드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역무원들에게 긍정적인 역할을 한 일도 있다고 합니다.아쉬운 점도 있습니다. 최근 들어
작은
간이역이 하나둘 사라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기차의 종류도 많이 사라지면서 퇴역한 옛 기차들이 그리워지는 거죠. KTX 등 철도 공학의 발전으로 사람들이 편리함을 누리게 됐지만, 느림의 미학을 즐기는 ... ...
[시사기획] 기후위기에 잠긴 도시 ① 서울 한복판 ‘아포칼립스’ 빗물터널은 도시를 홍수에서 구원할까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늘어난 탓으로 꼽힌다.한 교수는 “빗물저류시설을 만드는 것 뿐 아니라, 빗물을 모아둘
작은
저수조를 여럿 만드는 것도 중요하다”고 짚었다. 이 경우 대규모 토목공사가 필요하지 않다는 이점도 생긴다. 이어 “개발을 하더라도 빗물이 잘 저장될 수 있는 개발을 해야 한다”며 “아스팔트를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유리 시험관에 넣고 빛을 비춰보면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콜로이드를 통과하는 빛은
작은
콜로이드 입자에 의해 흩어지며, 빛이 그대로 통과하는 용액과 달리 그 경로가 뚜렷이 보여요. 이를 ‘틴들 현상’이라고 해요. 안개 속에서 자동차 불빛이 비추는 경로를 볼 수 있는 것도 안개가 콜로이드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와 함께하는 독서활동]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9호
+본책 56쪽과 함께 보세요! 아주
작은
씨앗 하나가 뿌리를 내리면 커다랗게 우거진 나무가 된다니, 생각할수록 신비한 일이야! 그런데 어째 딱지가 자신의 임무를 잠시 잊은 모양인걸? 딱지 대신 미션을 해결해 줘!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소설가 ‘부캐’로 성공한 연구자 '곽재식 작가'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만들어 표현할 정도이니. 그를 유명하게 만든 건 SF소설이다. 직원 넷에 우주선 하나짜리
작은
회사에서 벌어지는 사건들을 다룬 ‘은하수 풍경의 효과적 공유’, 기발한 발상으로 첨단 과학 기술에 상상을 더한 SF 단편모음집 ‘토끼의 아리아’ 등 숱한 소설집을 발표했다.논픽션 작품도 많다.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식물분류학자가 보낸 연애편지 '허태임 연구원'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어려운 존재인 걸까 하는 아득함도 느꼈죠.”허 연구원이 전공한 식물분류학은 식물의
작은
부분을 보고 먼 과거를 되짚어 가는 학문이다. 허 연구원은 “식물에는 지구에 적응해 살아오면서 생긴 형태가 제각기 다른 모습으로 남아있다”며 “사람을 알아가는 과정처럼 다양한 면을 종합해 그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