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반항
반대
항거
대항
항쟁
레지스탕스
저항력
d라이브러리
"
저항
"(으)로 총 1,623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의 인공태양, 세계의 태양으로 뜨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연구진은 바로 이 점을 돌파구로 삼았다. 만일 구리 전자석 대신 초전도 자석을 사용하면
저항
이 0이므로 아무리 전류를 높여도 열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영하 268.5℃인 액체 헬륨을 흘리는 냉각시스템을 가동시키는데 3000kW 내외의 전력이 필요하지만 이는 상전도 자석을 쓸 때 예상되는 값에 ... ...
루팡도 깜짝 놀란 별난 과학 은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부족하다면 어떤 곳에서는 싹을 틔우지 못할 수도 있다. 종자마다 병해충에 견디는
저항
력과 기후에 대한 적응력이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많은 표본을 확보해 전세계 어느 국가에서라도 식량을 얻을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왜 스피츠베르겐 섬일까?❶ 천연 냉장고스피츠베르겐 섬의 산 속으로 120m ... ...
세계는 지금 ‘친환경 나노’가 대세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가능하고 용량과 수명이 늘어난 2차전지를 개발했다”며 “나노 소재로 내부의 전기
저항
을 낮췄기 때문에 가능해진 일”이라고 말했다. 라이너 뮬러 독일 무역투자진흥청 투자기획관은 “우리 정부는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는 나노 입자를 파악해 대처법을 연구하는 데 많은 노력을 쏟고 있다”며 ... ...
Part 2. 세포 구조 모방하는 미래 인터넷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외부 충격(예를 들어 실험실에서 단백질 형성 유전자를 없애는 식)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저항
한다는 사실을 밝힌 바 있다. 바이오 네트워크의 토폴로지가 실제 바이오 현상과 관련이 있다는 뜻이다. 이처럼 토폴로지, 즉 네트워크의 위치와 구조는 네트워크 자체의 기능에 강한 영향을 행사한다. ... ...
태양이 쓰고 있는 불꽃 왕관의 비밀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어떤 기체가 대기 중으로 빠르게 발산할 때 운동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바뀐다거나 기체가
저항
을 받을 때 생기는 온도 상승 등을 이유로 제시해 왔다.연구팀은 “플라스마는 온도가 2만~10만K 정도인데 부분에 따라서는 100만K를 넘는다”며 “플라스마가 초속 100Km의 빠른 속도로 코로나까지 ... ...
1987년 살바도르 몬카다 박사의 일산화질소의 근육이완 효과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밝힌 영국 런던대 울프슨생의학연구소 소장인 살바도르 몬카다 박사다. 독재에
저항
하다 고문까지 당해1944년 중미 온두라스에서 태어난 몬카다 박사는 이웃나라 엘살바도르에서 유학해 의과대학을 나왔다. 그러나 그의 앞에는 의학자로서의 평탄한 길이 놓여 있지 않았다. 엘살바도르 ... ...
비상! 슈퍼박테리아 한국 상륙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할(내성이 생길 수 있으므로) 최후의 보루’로 통했다. 하지만 2000대 초부터 카바페넴에
저항
하는 균들이 생겨 세계적으로 퍼지기 시작했다. NDM-1 생성 카바페넴 내성 다제내성균도 그 중 하나다. 페니실린 이후 계속된 세균과 항생제의 싸움에서 다시 세균이 승리한 셈이다. 카바페넴처럼 강력한 ... ...
Part2. 다강체_물질계의 엄친아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철크롬(Fe/Cr) 금속 다층막의
저항
이 자기장의 미세한 변화에도 크게 변하는 거대자기
저항
(GMR) 현상은 하드디스크에 적용돼 집적도를 획기적으로 높였다. 이 현상을 밝힌 과학자들은 그 공로로 2007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이러한 측면에서 2003년 이후로 고체물리학계에 새로운 영역을 개척했다고 ... ...
선박
저항
추진학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빠른 속도로 푸른 바다를 가르며 항해하는 요트를 보면 보는 이의 마음도 시원해진다. 자연과 하나돼 즐기는 레저스포츠인 요트에는 많은 과 ... 조선해양공학과 대학원 석사과정 2학기 재학 중이다. 특수한 학문으로 느껴지는 선박
저항
추진학에 좀 더 많은 학생들이 관심을 갖기를 바란다. ... ...
노벨사이언스 국가안보 체험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누비는 미사일, 홍상어지난 천안암 사태 때 쓰인 ‘어뢰’를 기억하지? 어뢰는 공기보다
저항
이 센 바닷속을 움직이기 때문에 속도가 느리고, 적이 어뢰의 소리를 탐지하는 바람에 공격에 실패하기도 해. 하지만 홍상어는 하늘을 날아가 바닷속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그만큼 빠르고, 탐지도 어렵단다.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