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최대량
최고
d라이브러리
"
최대
"(으)로 총 4,326건 검색되었습니다.
[독일유학일기] 낙제는 통과의례? 교수와 관계는 걱정 NO~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수 있는 학기 수가 정해진 경우가 있다)가 없거나 매우 길다. 카를스루에공대는 전공마다
최대
학기가 정해져 있다. 잦은 낙제로 졸업이 계속 늦어진 학생들은 대개 9~10학기 안에 졸업한다. 독일에선 수능을 한 번 보면 성적이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수능을 잘 본 학생들은 전학이나 전과가 쉽다. ...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NCT 유닛으로 가능한 그룹 수를 구하라!
수학동아
l
2020년 06호
조합 수★이제 18명의 NCT 전체 멤버에서 가능한 유닛의 가짓수를 구해보자. 최소 2명에서
최대
18명까지 뽑을 수 있다고 가정할 때, 한 번 뽑힌 멤버는 다시 뽑힐 수 없고 그룹에서 멤버의 순서는 상관없으니 18명 중에 원하는 r명을 뽑는 ‘조합’으로 구할 수 있다. 2명~18명까지 뽑는 가짓수를 모두 ... ...
[특집] 오래된 서고 - 아직 풀리지 않은 암호
수학동아
l
2020년 06호
있던 것과 비슷한 번호가 책에 쓰여 있다. # CIA 앞 암호 조각품 ‘크립토스’ 세계
최대
를 자랑하는 정보조직인 미국중앙정보국(CIA)의 앞마당에는 30년째 풀리지 않은 암호가 적힌 조각품이 있다. 1990년 11월 3일 세워진 이 조각품은 그리스어로 ‘숨겨진’이라는 뜻인 ‘크립토스’라 부르며, 미국 ... ...
n번방 사건, 텔레그램은 정말 아무 잘못이 없을까?
수학동아
l
2020년 05호
시점에서 마스카와 교수의 말은 다시 한번 새겨들을 만하다. 텔레그램이란?러시아
최대
규모의 SNS인 ‘브이콘탁테(VK)’를 설립한 니콜라이 두로프와 파벨 두로프 형제가 2013년 설립한 메신저다. 수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은 니콜라이 두로프가 텔레그램의 보안 시스템을 설계했다 ... ...
[제28회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고개를 들어 하늘을 보다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한국천문연구원 보현산천문대 책임연구원은 “심우주 분야의 경우 최소 며칠부터
최대
몇 달 이상 공을 들여야 촬영할 수 있는 수준의 작품들도 많았다”며 “매년 출품작의 수준이 높아져 심사하기가 상당히 까다로웠다”고 평가했다.이원정·지구와 우주 분야 금상Lost In Space우리은하는 수천억 ... ...
NASA 신입 우주인 공채, 스펙과 연봉 전격 분석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이곳에서 진행된다. 신입 우주인 후보의 연봉은 최소 10만4898달러(약 1억2800만 원)에서
최대
16만1141달러(약 1억9600만 원)다. ●고액 연봉보다 더 큰 혜택은? 고액의 연봉 만큼 매력적인 혜택이 하나 더 있다. 아르테미스 임무를 수행하는 우주인들은 2019년에 공개된 ‘신상’ 우주복을 입는다. 201 ... ...
페임랩 도전기 “내년엔 ‘노잼’은 없다”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곧 현실이 됐습니다. 페임랩(FameLab)은 파워포인트 등 발표자료 없이 과학 연구에 대해
최대
3분 동안 설명하는 과학 소통 경연대회입니다. 2005년 영국 첼트넘 과학축제에서 처음 시작됐습니다. 페임랩의 한국 대회인 페임랩 코리아는 2014년 제1회 대회가 열렸습니다. 페임랩 코리아에서 대상을 받은 ... ...
[폴리매스] 여기선 우리가 기획자 매스펀 잡담
수학동아
l
2020년 05호
수: 274개2. 100개 게시글이 나온 최단 시간: 1시간 36분3. 공지글 제외, 한 게시글에 달린
최대
댓글 수: 67개폴리매스 신문2019년 10월 19일 휠릭시스 친구가 폴리매스 홈페이지에서 일어나는 소식을 전하는 폴리매스 신문을 창간했어요. 초반에는 혼자서 만들었지만 최근 은총알, sicma 친구가 참여하면서 ... ...
지상망원경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떨어진 천체를 관측하려면 망원경의 해상도를 높여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구경을 키워
최대
한 빛을 많이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광학망원경은 초기에 대부분 렌즈를 이용한 굴절망원경이었으나, 렌즈가 커지면 빛의 초점이 퍼져 상이 흐릿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반면 반사망원경은 여러 개의 ... ...
[융복합 파트너@DIGST] 곤충처럼 기고 사람처럼 땀 흘리는 자연모사 로봇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수 있다”고 설명했다. 윤 교수팀은 수분량에 따른 마찰력의 변화를 수학적으로 분석해
최대
마찰력(3.6N)을 낼 수 있는 수분량의 최적 높이(0.2mm)를 찾아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98-019-51694-9 현재는 그리퍼의 시제품을 개발하고 있다.자연모사 로봇은 지진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