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표현"(으)로 총 4,880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공지능, 수학으로 타파]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유향 그래프는 ‘가중 그래프’라고 부릅니다. 응용수학에서는 이것을 네트워크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이제 인공신경망에서 인공 뉴런 사이의 관계가 네트워크라는 것을 잘 알겠죠? 문제 A, B, C 세 개의 노드가 있다. 노드 A에서 노드 C로 갈 때의 가중치는 0.37, 노드 B에서 노드 C로 갈 때의 ... ...
- [과학법정] 인공지능의 잘못? 책임 공방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위험’으로 여깁니다. 하지만 어떤 기계든 예측 불가능한 위험을 일으키죠. 전 이런 표현이 인공지능의 실수에 대한 책임을 외면하고 싶어하는 마음처럼 느껴져요. 인공지능을 너무 새로운 존재로 볼 필요는 없다고 생각해요. 우리가 기존 기술에 대한 책임을 잘 져 왔다면 인공지능에 대한 책임도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항원, 데이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현재 ‘데이터’의 의미는 더욱 확장되었어요. 어떤 속성을 숫자와 문자, 기호 등으로 표현한 것을 통틀어서 말해요. 또, 데이터를 해석해 특정한 의미를 도출한 것을 ‘정보’라 불러요. 정보는 또 다른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답니다.최근 컴퓨터의 저장 용량이 커지고 처리 ... ...
- [한페이지 뉴스] 표현하기 힘든 환자의 고통 AI로 찾는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병원에서 환자들에게 통증의 크기를 물을 때엔 0부터 10까지 등급을 사용한다. 이는 지극히 주관적이라 어린 아이나 고통에 무딘 환자들은 고통을 과소평가하기도 하고, 반대로 고통을 과도하게 평가해 약물 중독을 야기하는 경우도 있다. 미국 존스홉킨스대 응용물리연구소 등 공동 연구팀은 ... ...
- [과학동화] 동화 나라 인기템 ‘무지갯빛 유리구두’ 신데렐라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지난해 10월 국제학술지 ‘빛: 과학과 응용’에 앞·뒷면에 서로 다른 이미지와 색을 표현할 수 있는 유리를 개발했다고 발표했습니다. doi: 10.1038/s41377-020-00413-5연구팀이 개발한 야누스 유리는 앞면과 뒷면의 반사색이 다릅니다. 앞면은 푸른색이지만 뒷면은 주황색인 식입니다. 동시에 반대편이 ... ...
- [인터뷰] 할 수 있는 게 이렇게 많은데 놓쳐 버리는 건 너무 아깝더라고요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리튬이온 배터리의 음극재 소재를 찾는 방법을 익혔다. 후보 물질의 결정을 그래프로 표현하고 이를 딥러닝에 적용해 미리 시뮬레이션 해보는 것이다. 승재 씨는 “전체 연구에 있어서는 기본적인 과정이지만, 교재로만 배우던 것을 직접 해본다는 것 자체가 큰 경험이었다”고 말했다.사실 실험 ... ...
- [특집] 한눈에 익히는 삼각함수와 음성 인식 AI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차례대로 자세히 알아볼게. 삼각함수의 물결치는 파도 모양으로 음성 신호를 비슷하게 표현할 수 있다는 것만 기억하면 돼. 그럼 이제 시작해 볼게. 자, 어서 말해 봐. “오늘 날씨 어때?” [1단계] 학습하기 학습 단계에서 음성 인식 AI는 음향모델, 발음사전, 언어모델을 학습합니다. 음향모델은 각 ... ...
- [기획] 페로몬만 믿고 따라와!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양에 비례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즉 시간에 따른 페로몬의 증발은 ‘지수함수’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지수함수란 y=ax꼴의 함수로, 변수 x가 어떤 상수의 거듭제곱 형태(지수)인 함수를 의미합니다. 페로몬의 증발처럼 시간에 따라 처음에는 급격히 감소하다가 그 폭이 줄어드는 현상을 나타내는 데 ... ...
- [기획] 소리를 전시하다, 연출가 강신욱과학동아 l2021년 04호
- DAW)이다. 그는 “DAW와 관련 기술만 있으면 고퀄리티 음향을 공간과 매체에서 재현하거나 표현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그는 “처음 DAW와 사운드 엔지니어링 시스템을 배울 때는 정보조차 얻기 힘들어 독일 원서나 영어 논문을 단어 하나하나씩 번역해가며 독학했다”며 음향 기술이 매섭게 발전하고 ... ...
- [그래프뉴스] 10대, 성희롱에 대해 오해하고 있어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5~6학년생과 중고생, 성인 등 1만 212명을 조사한 결과예요. ‘성희롱은 ‘싫다’고 표현하지 않은 사람의 책임이 크다’, ‘성희롱은 친해서 하는 말을 오해한 데서 생긴다’, ‘성희롱 피해는 과장되는 경향이 있다’와 같은 잘못된 인식을 담은 문항에 ‘전혀 그렇지 않다(1점)’부터 ‘매우 ... ...
이전545556575859606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