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화면"(으)로 총 1,9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상이 나를 벗긴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토독, 톡톡….손가락 끝이 리드미컬하게 움직이는 만큼 새하얗던 화면이 색으로 물들어 간다.갓 나와 김이 모락모락 피며 치즈가 길게 늘어지는 피자 사진을 점심 때에 맞춰 페이스북에 올렸다. 부러움과 질투가 섞인 ‘ 좋아요’를 눌렀다는 알람이 빠른 속도로 날아든다. 생각보다 격렬한 반응에 ... ...
- 흡혈파리에 팔을 내밀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라고 속으로 계속 반복했지만 결국 촬영은 실패로 끝났다 (모기의 경우 방송 장면은 자료 화면을 이용했다).어쩔 수 없이 체체파리의 흡혈장면으로 넘어갔다. 영국서부의 항구도시인 리버풀에 있는 리버풀 열대의학전문대 학원에는 세계 최대의 체체파리 사육장(2000마리를 사육하고 있음)이 있다. ... ...
- 배터리 닳는 속도가 LTE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스마트폰보다 덩치가 큰 태블릿 제품군에서는 배터리 문제가 덜하다. LCD나 LED 같이 화면과 직접 관련된 부품을 제외하면 태블릿이나 스마트폰 모두 핵심부품이 차지하는 공간은 비슷하다. 나머지 빈 공간을 모두 배터리로 채울 수 있다는 뜻이다.공간을 최대로 활용한 아이패드 4세대는 배터리 ... ...
- [수학뉴스] 전신마비 환자의 목소리가 된 곱셈!수학동아 l2013년 09호
- ‘아니오’로 대답할 수 있는 질문들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예’라고 대답할 때만 화면 옆에 있는 두 자리 곱셈 문제를 암산하도록 했다. 만약 대답이 ‘아니오’면 가만히 있으라고 했다.연구팀은 이 과정에서 카메라로 눈을 촬영해, 동공이 커지면 ‘예’라는 표시로 인식하는 프로그램을 ... ...
- [환상 퍼즐여행2] 시간의 붕괴를 막아라수학동아 l2013년 09호
- 코드를 눌러야 해? 그냥 이동하면 안 돼?”폴의 항의에 암호와 함께 또다른 메시지가 화면에 나타났다.“코드는 수학 가디언즈를 인증하는 수단입니다. 위급한 상황일수록 악한들이 우주선을 잘못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취해진 불가피한 절차입니다. 다음의 비상 코드만 입력하면 안전 지대로 바로 ... ...
- [hot science] 동물이 보는 세상, 들쥐 소변이 형광색으로 빛나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못하기 때문에 끊김없이 TV를 본다.만약 어두운 곳에서 흑백 TV를 보면 개도 끊기지 않는 화면을 볼 수 있다. 명암만 구분하는 ‘막대세포’는 사람은 60Hz, 개는 20Hz까지 구분한다.사람보다 넓게 보지만 입체감 덜 느낀다개는 사람보다 시야가 넓다. 사람이 양쪽 눈을 모두 사용해 볼 수 있는 전체 ... ...
- Part 2. 항해 : 뇌지도를 만들기 위한 4가지 전략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정리하고 있었다. 그간의 연구 성과와 발표자료, 해외 연구동향 등이 일사불란하게 화면 뒤로 넘어갔다. 벽에는 두뇌 속을 찍은 MRI 영상 사진이 가득했다. 뇌과학연구소가 자랑하는, 세계 최고의 해상도를 자랑하는 7T(테슬라) MRI로 찍은 영상이었다.MRI는 자기장이 셀수록 세밀하게 뇌 내부를 관찰할 ... ...
- 8화 뫼비우스의 공간을 탈출하라!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오고 있어!”아까와 똑같은 상황이었다. 그런데 이번에는 길바닥에서 문제가 쓰여진 화면이 올라오지 않았다. 대신 길 바닥에 여러 선들이 그려지기 시작하더니 문제가 바닥에 쓰여졌다.미션 ❹ 메비우스 공작을 만나다“뭐라고? 우리가 어디에 갇혔다고?”문제를 풀고 간신히 위기에서 벗어난 폴이 ... ...
- 다섯 가지 과학을 입으면 IRON MAN 으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것처럼 말이지. 저장한 메모를 지우려고 손가락을 펼쳤다가 한 곳으로 모으면서 화면을 종이처럼 구겨버리기도 한단다. 스마트웨어도 팔과 다리 같은 신체를 움직여 명령을 내려야 하지. 미국 카네기멜론대학교크리스 해리슨 박사팀은 종이나 벽, 심지어 손바닥을 마우스패드 삼아 손가락으로 ... ...
- [체험] 디지털건축연구실 탐방 건축, 예술 작품이 되다!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수 있었다.3. 부품들을 조립하여 설치하기자른 전개도를 손으로 접어서 완성했다. 컴퓨터 화면 속의 도면이 실물로 변신하는 순간이었다. 독자기자단은 직육면체와 원기둥 등 간단한 모양을 만들었지만, 교수님의 작품처럼 복잡한 건축물도 비슷한 과정을 거친다. 교수님도 그림이 건축물로 완성될 ... ...
이전545556575859606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