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정
정정
캠퍼스
구내
개정
교열
보정
뉴스
"
교정
"(으)로 총 794건 검색되었습니다.
GIST연구진, 고온살균 가능한 인체 이식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9.27
첨가제를 추가하는 기존의 개선방식에서 벗어나 재료의 미세구조를 한층 더 튼튼하게
교정
했다. 흔히 쓰이는 전도성 고분자 물질의 미세구조를 분석하고, 첨가제 없이 물질의 고결정성 분자를 재배열하게 만드는데 성공했다. 이 결과 소재의 성능과 수용액상 안정성이 크게 높아져 고온과 고압을 ... ...
[조선과학기술 시네마]4관. 음악의 표준이 통치의 표준
2018.09.21
다르게 새로 정비할 때 사용됐다. 황종척을 만들 때 사용한 황종관은 저울의
교정
에 이용됐다. 황종관에 담긴 물의 무게인 88분(35.307g)을 이용해 저울의 단위인 전(錢·10분), 량(兩·10전), 근(斤·16량) 등이 정해졌다. 도량형 위조 막기 위해 중앙 정부가 집중 관리 도량형기는 국가를 지탱하는 ... ...
유전자 가위 세기의 특허戰 종지부… "최후 승자는 MIT·하버드대"
동아사이언스
l
2018.09.11
않았다. 크리스퍼는 유전체(게놈)의 특정 DNA를 정확히 찾아 잘라낼 수 있는 정밀 유전자
교정
기술이다. 농축산업에서 수확량이 많거나 병충해에 강한 작물 또는 가축을 만들 때, 유전병을 치료할 때 등에 활용 가치가 커 ‘원천기술’을 좌우할 이번 특허에 관심이 많았다. 크리스퍼 기술도 개발 ... ...
유전자 가위 특허권 빼돌리기 '갑론을박'
동아사이언스
l
2018.09.10
유전자
교정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로 불리는 김진수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
교정
연구단장(사진)이 서울대 교수 시절 개발한 수천 억 원대 가치의 기술을 개발하고도 특허권을 자신이 세운 회사로 빼돌렸다는 시비에 휘말렸다. 정부 연구비를 받고 기술을 개발할 경우 소속 기관에 소유권이 ... ...
‘중국판 황우석 사태’ 논란 “조작 의도 없다” 결론
동아사이언스
l
2018.09.09
철회되고 난 뒤에야 뒤늦게 조사위를 꾸려 진상 조사에 착수했다. 그 사이 유전체
교정
기술연구센터 건립은 물론이고 한 교수 앞으로 수여된 각종 상들도 줄줄이 취소됐다. 허베이과기대 측 조사위는 한 교수의 논문에 담긴 연구 결과가 재현되지 않는다는 점은 인정하면서도 의도적인 조작 ... ...
유전체
교정
시금치로 만든 파스타, 식탁에 오를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8.27
근거에 입각해 이뤄지지는 않는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 된다”며 “소비자가 유전체
교정
생물체에 막연한 불안감을 갖고 있다면 과학자들이 먼저 시민들을 납득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
“2∼3년 내 크리스퍼로 감염병 진단할 수 있게 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8.08.24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유전병 치료의 경우 크리스퍼로 인간 배아를
교정
하게 될 때 윤리적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식량 작물의 경우 유전공학을 이용한 기존의 유전자변형생물체(GMO)와 크리스퍼 작물을 동일선상에서 볼 것인지 여부가 최근 유럽과 일본에서 도마에 올랐다. ... ...
日 “유전체
교정
작물은 GMO 규제 대상서 제외”
동아사이언스
l
2018.08.21
다치카와 일본 나고야대 교수는 재팬뉴스와의 인터뷰에서 “규제 대상에서 유전체
교정
생물체가 제외되더라도 각국의 정부 당국은 이런 생물체를 체계적으로 관리,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은 반드시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
밀 알레르기 없이...짜장면-빵 마음껏 먹자!
동아사이언스
l
2018.08.20
목록으로 만들었다. 이들 정보는 나중에 유전자 가위인 ‘크리스퍼’를 이용해 유전자를
교정
해 원하는 특징을 가진 밀을 만들 때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전망된다. 밀가루로 만든 다양한 빵. 알레르기나 민감증에 상관없이 누구나 마음 편히 먹을 날이 올까. -사진 제공 미국농무부(USDA) 특히 이번 ... ...
부작용 걱정 없는 유전자가위 치료 길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08
안전성, 안정성, 재현성 등을 검증하기 위한 추가연구를 시행할 계획이다. 다양한 유전자
교정
연구에 사용할 근간 기술이 되는 것은 물론 실제 의료현장에서 암 치료제로 적용 가능하리란 기대다. 오승자 연구원은 “이번 기술은 암을 포함한 난치성 유전 질환에 적용 가능한 플랫폼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