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험실
사무실
서재
lab
연구소
사무소
영업소
뉴스
"
연구실
"(으)로 총 1,693건 검색되었습니다.
[랩큐멘터리] 버려지는 열로 전기와 수소를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17
이르는
연구실
을 보유한 포스텍과 함께 누구나 쉽게 연구를 이해할 수 있도록 2분 분량의
연구실
다큐멘터리, 랩큐멘터리를 매주 수요일 소개합니다. ... ...
국내 생물학 대학원생 절반 이상 코로나로 실험과 연구 제한... 비대면 학술교류 불만족
동아사이언스
l
2021.11.15
9%였다. 변경된 랩미팅 방식에 만족한다는 응답은 63%로 나타났다. 코로나19가 끝나면
연구실
미팅은 예전 방식에 변경된 방식의 장점을 섞으면 좋겠다는 응답이 67%로 가장 높았다 ... ...
김무환 포스텍 총장, 미국 위스콘신대 공대 '자랑스러운 동문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1.11.15
가능했다”며 “신장 이식으로 삶을 계속 즐길 수 있도록 헌신해준 아내와 젊은 날
연구실
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음에도 자랑스럽게 성장해준 아들들, 낳아주신 부모님께 감사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그는 레오 버스카글리아의 명언 ‘진정한 배움의 최종 목적지는 변화’라는 말을 인용하며 ... ...
"지구 궤도 도는 소행성 '카모오알레와'는 달의 파편"
동아사이언스
l
2021.11.14
희미한 별보다도 400만분의 1만큼 더 희미하다. 미국 벤자민 샤키 애리조나대 달및행성
연구실
연구원과 크리스찬 베일레 대형쌍안경망원경천문대소장 연구팀은 2017년부터 카모오알레와를 관측한 결과, 햇볕에 반사되는 분광 패턴이 월석과 비슷하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달에서 기원했을 ... ...
"코로나19에 신속 대응한 비결은 공유와 협력"
동아사이언스
l
2021.11.10
말했다. 김 교수는 "코로나19 발생 초기에도 공기로 전염된다는 소문이 확산됐지만 우리
연구실
에서 레이저를 이용해 재채기 한 번에 비말이 얼마나 멀리 나가는지 시각적으로 연구하는 등 과학자들의 노력으로 현재는 정확한 정보를 알 수 있게 됐다"고 말하며 "전 세계 과학자들의 집단지성이 ... ...
[랩큐멘터리] 쓰다버린 물, 지구 살리는 에너지로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10
이르는
연구실
을 보유한 포스텍과 함께 누구나 쉽게 연구를 이해할 수 있도록 2분 분량의
연구실
다큐멘터리, 랩큐멘터리를 매주 수요일 소개합니다. ... ...
모더나 창업자 로버트 랭거 교수 "mRNA 치료제가 의약계 혁신적인 전략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1.11.04
등 수많은 수상 경력도 갖고 있다. MIT 랭거연구소는 세계에서 가장 큰 생명공학
연구실
로 꼽힌다. 이런 랭거 교수도 연구 초창기 무시 받기 일수였다. 랭거 교수는 이날 강연에서 “27살이었던 1976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모든 크기의 분자를 체내에 전달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들고 유명 ... ...
비만 늘고 일상회복 중 확진자 늘어난다는데…코로나19 기저질환 없어도 비만에 치명적
동아사이언스
l
2021.11.04
스탠퍼드대 의대 면역학과 교수와 알렉산다르 잔코프 스위스 바젤대병원 유전학및병리학
연구실
교수 공동연구팀은 스위스 바젤대학병원과 독일 튀빙겐대학병원에서 코로나19 감염으로 사망한 환자를 부검한 결과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주로 지방조직 내에 있는 대식세포를 감염시킨다는 사실을 ... ...
[랩큐멘터리]기술과 예술을 융합하는 실험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03
올해 포스텍에 문을 연 ‘포항 체인지업 그라운드’ 3층에는 메이커스페이스라는 창업 공간이 있다. 수많은 나무 조각들로 엮어진 ... 이르는
연구실
을 보유한 포스텍과 함께 누구나 쉽게 연구를 이해할 수 있도록 2분 분량의
연구실
다큐멘터리, 랩큐멘터리를 매주 수요일 소개합니다 ... ...
[프리미엄 리포트]벌레잡이풀·벌집 닮은 표면이 '바이러스' 잡는다
과학동아
l
2021.10.30
지난 2017년 니콜라스 팡 MIT 기계공학과 교수가 이끄는 나노광공학 및 3D나노프린팅 기술
연구실
에서 김 교수와 인연을 맺었다. 이후 각자의 분야에서 활약하던 세 연구자는 이번 연구 아이디어를 통해 다시 뭉쳤다. 이 센터장은 현재 통용돼 쓰이는 항바이러스 필름의 문제점도 지목했다. 최근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